• Title/Summary/Keyword: 지역적 맥락

Search Result 35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Qualitative study on Daily Life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Welfare Recipients: Focused on Time and Space on Daily lives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시간과 공간적 맥락을 중심으로)

  • Ju, Kyong Hee;Kim, Hee Joo;Kim, Se Won;Oh, Hye 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5
    • /
    • pp.200-218
    • /
    • 201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daily lives of elderly welfare recipients and their experiences with social welfare services.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1 elderly welfare recipients. A major theme in the time context was "Daily lives enduring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s alone and mismatches of social welfare services": 'Starting same tedious days: trading diligent work for basic living assistance', 'Forced ritual of having meals', 'Struggle with depressing night: not attentive welfare services at closing hours', 'Welfare services suspended in holidays', 'Mind and body withered by economic hardship in winter', 'Social support for enduring weary lives'. In the space context, a major themes was "Inadequate welfare services and social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social isolation": 'Unhygienic and unsafe living environment', 'Hiding places: spending tedious days in vacant lots', 'Community welfare centers useful only for healthy elderl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Receiving restricted medical services at hospitals', 'Hard-to-reach public institutions', 'ambivalence about living as welfare recipi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propos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elderly welfare recipients' quality of life.

초임 중등 과학교사의 교수활동에서 나타나는 과학 내용에 대한 질적 연구

  • An, Yu-Min;Choe, Seung-Eon;Kim, Chan-Jong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269-275
    • /
    • 2005
  • 중등 교육의 질을 확보하기 위한 가장 핵심적인 변인은 교사이며 교사의 자질 향상과 전문성 개발은 교육에 있어 중요한 화두이다.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보다도 교사의 가르치는 능력에서 확보되어야 하며 교과 내용 지식의 확보가 이를 위한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과 심층면담에서 드러나는 초임 교사의 내용 지식(knowledge), 실천 행위(practice), 의미 이해 전략(sense-making strategy)을 분석하여 교사의 과학 내용에 대한 전문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중등학교에서 근무하는 여섯 명의 중등 초임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각각 두 차례의 수업 관찰과 구조화된 면담, 한 차례의 우선순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미시건 주립대학의 Knowles팀에서 개발한 분석틀을 사용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 교사들은 그들이 지향하는 교사상에 따라 과학 교수 활동에 대해 다양한 의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비전공 교과의 과학 내용 지식에 대해서는 다소 어려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대체로 교과서에 의존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과 교과서에 제시된 지도 방법에 크게 의존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교과서 수준의 개념을 중심으로 나열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다만, 교사가 스스로 재구성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내러티브로 이끌어가려는 시도가 드러나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내용 이해를 돕기 위하여 중요한 과학적 개념을 강조하고 그러한 개념을 반복하는 전략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일부 초임 교사의 사례에서는 적절한 비유와 예시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한편, 연구에 참여한 초임 교사들은 모두 전문성 개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교사 양성 과정에서 교직과 관련하여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주로 나타났으며 우리나라 교육과정수업에서는 DC-DP DP-AD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타났다. 정리활동에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반성적 교육과정보다 자료 맥락의 영역개념을 더 자주 이용하고 다양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오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학습지의 활동이나 문제는 학생들에게 익숙하고, 자료 패턴을 가지고 행동결정으로 연결짓는 활동이 명확히 제시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두 그룹의 상호작용 특징에 따른 반성적 탐구의 성향의 차이는 도입단계에서 그룹의 특징과 상관없이 A-AD,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나왔으며 전개와 정리단계에서는 N그룹에서는 DP와 관련된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가 나오는 반면 M그룹에서는 이러한 맥락의 반성적 탐구는 아주 드물게 나타나며, GN과 관련된 행동결정이 자주 보이고 있었다. 정리활동시 주로 하는 기록 활동에서 N그룹에서는 다양한 맥락에서 반성적 탐구를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비교 그룹에서는 서로 견제하고 확인하는 상호작용의 특징에서 나타나는 AD-SR맥락의 반성적 탐구가 자주 나타났다. 반성적 탐구 척도 두 그룹을 비교 했을 때 CON 상호작용의 특징이 낮게 나타나는 N그룹이 양적으로 그리고 내용적으로 더 의미 있는 반성적 탐구를 했다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지역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역량이 강화될 것이다.정 ${\rightarrow}$ 분배 ${\rightarrow}$ 최대다수의 최

  • PDF

Development of a Theoretical Model for STEAM Education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이론적 모형의 제안)

  • Kim, Sung-Won;Chung, Young-Lan;Woo, Ae-Ja;Lee, Hyun-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2 no.2
    • /
    • pp.388-401
    • /
    • 2012
  •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 theoretical model for STEAM education, entitled to the Ewha-STEAM education model, which could provide more concrete guidelines for science educators and curriculum developers to execute STEAM ideas. We identified key knowledge and key competencies to nurture future creative/convergent human resources. Key knowledge included an understanding of core ideas cutting across traditional disciplinary boundaries as well as the nature of different disciplines. And additionally, key competencies implied such abilities as to explore the scientific world, to resolve problems, and to communicate and collaborate with others. We also added creativity and character as an essential part of key competencies. In order to provide more specific guidelines when develop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STEAM curriculum, we suggested three elements of convergence to consider: 1) unit of convergence (i.e. concept/skills, problem/phenomenon, activity), 2) degree of convergence (i.e. multi-disciplinary, inter-disciplinary, extra-disciplinary), and 3) context of convergence (i.e. personal, societal, global). It is expected that the Ewha-STEAM education model would contribute towards diverse education communities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potentials.

함부르크와 항구도시의 문화적 정체성

  • Bae, Jeo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1.06a
    • /
    • pp.368-369
    • /
    • 2011
  • 북항 재개발사업에 대한 기대와 관심은 항만시설의 기능성과 효용의 차원과 나란히 지역민의 정체성에도 깊이 뿌리닿아 있는 문제다. 이러한 의미에서 북항의 이슈와 함께 해항도시는 자신의 항구적 문화적 전통과 정체성을 어떻게 유지하며 발전시켜 나가는가라는 근본적이고도 광범위한 의문이 자연스럽게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논의의 확장과 심화를 위해, 독일 함부르크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함부르크의 슈파이허슈타트와 발린슈타트, 그리고 하펜시티는 도시를 의미하는 슈타트, 시티라는 명칭을 통해서 그 공간이 단지 하나의 건물, 장소에 머무르는 것이 아님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슈파이허슈타트의 경우는 함부르크 원도시와 일종의 제유법적 관계로서 읽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슈파이허슈타트가 건설된 역사적 사회적 맥락을 논의하고, 이러한 맥락이 어떻게 공간적 시각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가를 슈파이허슈타트와 원도심간의 교각을 통하여 확인해 볼 것이다.

  • PDF

Directions of Implementing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Local Regions (지역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 Seol, Moon-Won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26
    • /
    • pp.103-149
    • /
    • 2010
  • Documentation strategy has been experimented in various subject areas and local regions since late 1980's when it was proposed as archival appraisal and selection methods by archival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Though it was criticized to be too ideal, it needs to shed new light on the potentialities of the strategy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in digit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implementation issues of documentation strategy and to suggest the directions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of Korea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trategy. The documentation strategy which was developed more than twenty years ago in mostly western countries gives us some implications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even in current digital environments. They are as follows; Firstly, documentation strategy can enhance the value of archivists as well as archives in local regions because archivist should be active shaper of history rather than passive receiver of archives according to the strategy. It can also be a solution for overcoming poor conditions of local archives management in Korea. Secondly, the strategy can encourage cooperation between collecting institutions including museums, libraries, archives, cultural centers, history institutions, etc. in each local region. In the networked environment the cooperation can be achieved more effectively than in traditional environment where the heavy workload of cooperative institutions is needed. Thirdly, the strategy can facilitate solidarity of various groups in local reg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ategy projects, it is essential to collect their knowledge, passion, and enthusiasm of related groups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strategy. It can also provide a methodology for minor groups of society to document their memorie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s of documenting local regions in consideration of current archival infrastructure of Korean as follows; Firstly, very selective and intensive documentation should be pursued rather than comprehensive one for documenting local regions. Though it is a very political problem to decide what subject has priority for documentation, interests of local community members as well as professional group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seriously. Secondly, it is effective to plan integrated representation of local history in the distributed custody of local archives. It would be desirable to implement archival gateway for integrated search and representation of local archives regardless of the location of archives. Thirdly, it is necessary to try digital documentation using Web 2.0 technologies. Documentation strategy as the methodology of selecting and acquiring archives can not avoid subjectivity and prejudices of appraiser completely. To mitigate the problems, open documentation system should be prepared for reflecting different interests of different groups. Fourth, it is desirable to apply a conspectus model used in cooperative collection management of libraries to document local regions digitally. Conspectus can show existing documentation strength and future documentation intensity for each participating institution. Using this, documentation level of each subject area can be set up cooperatively and effectively in the local regions.

Potentials of Seasonal Discrimination for Saving the Water Pollution Control Costs -The Case of Han River- (수질오염 관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계절적 차이의 잠재력: 한강의 경우)

  • Yoo, Young Se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9 no.4
    • /
    • pp.663-700
    • /
    • 2000
  • 한강은 서울 지역을 관통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의 수자원 이용과 폐수 수용체로서의 한강의 역할이 실로 막대하다. 이런 맥락에서 한강에서의 수질오염문제는 주요한 사회경제적 문제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한강 수질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 방안이 이미 시행중에 있으나 여전히 한강 수질 오염은 문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감안하여 보다 나은 관리책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기존의 수질기준을 최소비용으로 달성하는 비용 효과적인 방식을 시스템 최적화 분석 기법에 접목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 모델은 우리 나라에 두드러진 수문학적 특징, 즉 자정능력상의 계절적 차이가 지역적 특성과 오염 처리 기술상의 다양함, 그리고 기존의 법적 제도적 특정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얼마나 처리 비용상의 절약을 유도해 낼 수 있는지에 관한 정책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고안되었다. 연구의 결과치에 의하면, 표적 지천상의 지역적 안배와 처리 공정상의 기술-비용적 차이를 고려하고 비갈수기에 처리시설을 신축적으로 운영할 경우 한강 수계에서 BOD 부하량 삭감비용은 상당한 정도( 예로, 1992년 물가수준에서 매일 3,000만 원 이상) 절감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An Application of the Interpretive Social Science to the Landscape : - A Paradigm for Landscape Design - (경관해석을 위한 해석적 사회과학 개념의 응용: -조경설계를 위한 개념적 틀-)

  • Kim, S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15 no.1
    • /
    • pp.1-8
    • /
    • 1987
  • 최근 인문사회과학은 지역적 특수성과 문화적 배경(context)를 무시하고 법측과 체계(system)을 추구하는 자연과학의 개념을 인간사회에 적용하려는 여러 이론들이 인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법치주의에 의한 법인간적인 해석보다는 지역적이고 문화적 상황하에서 인간사회의 문제를 이해하려는 경향이 지금까지 행태(behavior)나 사회구조(social structure system)의 이해를 통해 인간사회를 분석하고 있다. 그 방법론으로는 전체의 맥락(context)이나 주변의 연관관계를 통해 의미를 이해하는 책(text)의 해석(interpretation)의 비유를 그 틀(paradigm)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예술과 미의 문제도 같은 체계(system)속에서 이해하여 현대의 전통, 문화와 대중으로부터 분리된 예술과 미로부터 전통, 문화, 개인과 생활이 공명할 수 있는 본래의 예술과 미를 찾으려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문화 이론의 개념을 분석하고 그 원리와 이론의 축면에서 경관(landscape)을 해석하고 경관의 의미(미를 포함한)체계(meaning system)을 분석하여 설계언어(design language)를 찾아내며 이를 설계에 응용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 틀(paradigm)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Regenerated from Unpleasant Facilities in Western Part of Seoul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Context and Local Context - (서울 서부의 기피시설에서 재탄생된 공공시설들의 특성 - 시대 및 장소적 맥락의 관계를 중심으로 -)

  • Eom, Jun-Sik;An, Dai-Wha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4 no.11
    • /
    • pp.57-65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planning for regeneration based on six representative cases of western part of Seoul that were regenerated from the unpleasant facilities since the 20th century. In particula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and the location in terms of the 1st establishment and the regeneration in each cases. As a result, looking the tendency to regenerate the unpleasant facility,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historical and the locational context when establishing and regenerating. Conside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 of the Location and the history of establishment & regeneration, we coul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facilities as extroverted tendency and intrinsic tendency analysed by a geographic and an architectural, a programmatic aspects. Therefore, when planning the project regenerated from unpleasant facilities, it should be set considering the locational context and the historical context of establishment & regeneration.

Context and Pattern of Self-Sufficiency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s: focusing on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workers and related public officers (자활사업 실무자들이 경험한 자활사업의 맥락과 패턴: 지역자활센터 실무자들과 관련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 Kwon, Ji-Sung;Jo, Joon-Yong;Jung, Sun Wook;Jang, Yeon 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232-250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xt and pattern of Korea's self-sufficiency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which was known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o provide proper and effective evaluations of self-sufficiency program.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ontext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consists of such sub-contextual components as 'market economy', 'social service system', 'self-sufficiency system', 'self-sufficiency program',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 'procedural experiences of the program', 'outcom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and 'meaning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Furthermore, such patterns as 'decreased vitality of self-sufficiency system', 'service flow', 'journey to the self-sufficiency', and 'sequences to small success', were also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nd subsequent related research topics.

Comparative Study about Interview Surveys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 Sustainability's context in Korea (지속가능성 맥락에서 국내 수자원 개발과 관리에 관한 설문조사들에 대한 비교 연구)

  • Kang, Min-Goo;Park, Seung-Woo;Kim, Hak-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15-1519
    • /
    • 2008
  • 유역, 수계, 지역, 국가 등과 같은 거대 시스템은 사회 및 경제 시스템, 자연 시스템, 생태 시스템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들은 상호작용과 피드백을 하면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기후, 구성 부시스템, 사회적 선호도, 패러다임 등의 변화에 따라 변한다. 특히, 사회적 선호도나 패러다임과 같은 가치 시스템의 변화는 수자원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요자의 요구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수자원 계획과 운영에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수요자와 전문가들의 의견을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수자원 상태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발전 방향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실시된 수자원 개발과 관리와 관련된 설문조사 결과를 수집하여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 분석에서는 지속가능성을 맥락으로 하여 설문대상과 설문시기의 변화에 따른 수자원 개발과 관리와 관련된 의견들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들을 종합하여 향후 국내 수자원 관리와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