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8.232

Context and Pattern of Self-Sufficiency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s: focusing on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workers and related public officers  

Kwon, Ji-Sung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Jo, Joon-Yong (한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Jung, Sun Wook (덕성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Jang, Yeon Jin (한양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xt and pattern of Korea's self-sufficiency program based on the experienc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the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which was known as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o provide proper and effective evaluations of self-sufficiency program. The analysis shows that the context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consists of such sub-contextual components as 'market economy', 'social service system', 'self-sufficiency system', 'self-sufficiency program',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 'procedural experiences of the program', 'outcomes of self-sufficiency program', and 'meaning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Furthermore, such patterns as 'decreased vitality of self-sufficiency system', 'service flow', 'journey to the self-sufficiency', and 'sequences to small success', were also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and subsequent related research topics.
Keywords
Self-sufficiency System; Self-sufficiency Program; Self-sufficiency Program Practitioner; Context-pattern Analysis Metho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상미, 홍송이, "현장의 시각으로부터 구조화된 자활개념 탐색 연구: 자활사업 실무자의 이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9권, 제3호, pp.5-33, 2018.   DOI
2 최상미, "이용자중심적 관점으로부터의 자활에 대한 재개념화: 지역자활센터 사업 참여자의 시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1호, pp.98-124, 2018b.
3 이충희, 자활사업에 참여하는 기초생활수급자의 탈수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4 백학영, 구인회, 김경휘, 조성은, 안서연, "자활사업 성과관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3-35, 2011.
5 조준용, 김경휘, 김자옥, 자활사업 질적.양적 성과병합을 위한 성과지표 개선방안 연구, 2018
6 정수남, "빈민통치와 '자활'의 후기자본주의적 논리," 구술사연구, 제10권, 제2호, pp.59-103, 2019a.
7 정수남, "탈빈곤 실천의 체계적 모순과 빈민의 하비투스: 자활사업 참여자의 주관적 경험을 중심으로," 구술사연구, 제10권, 제1호, pp.189-246, 2019b.
8 보건복지부, 자활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침 개정, 보건복지부, 2019c.
9 권지성, 사회복지 질적 연구방법론으로서 맥락-패턴 분석방법: 은밀한 맥락을 찾아서, 학지사, 2018.
10 E. Thaden and R. Jill, "Staff Narratives: Promising to Change 'Welfare as We Know It'," Qualitative Social Work, Vol.11, No.1, pp.23-41, 2012.   DOI
11 이상록, 진재문, "자활사회 탈빈곤 정책의 효과분석: 경남. 전북지역 자활후견기관 운영의 성과 및 한계 분석과 개선방안 모색," 한국사회복지학, 제52권, pp.241-272, 2003.
12 백학영, 김경휘, "지역자활센터 사례관리 특성이 자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 제15권, 제4호, pp.26-60, 2013.
13 김인숙, "자활 개념의 재구성에 대한 탐색-성매매여성자활현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제22권, pp.95-129, 2008.
14 중앙자활센터, 2017년-18년 지역자활센터 성과평가안내서, 중앙자활센터, 2017.
15 엄태영, 주은수,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 영향요인 연구: 서울. 경인지역 장애아동 통합교육보조원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제12권, 제2호, pp.169-187, 2011.
16 김용득, 강상경, 금현섭, 이상균, 이용표, 최원석, 지역개발형 지역사회서비스투자사업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성공회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
17 백학영, 구인회, 김경휘, 조성은, 안서연, "자활사업 성과관리에 대한 비판적 접근," 보건사회연구, 제31권, 제2호, pp.3-35, 2011.
18 이현주, "빈곤층의 근로 동기에 대한 탐색: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정책, 제39권, 제4호, pp.31-57, 2012.
19 백학영, 조성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활경로와 자활과정에서의 전략적 선택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편,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2.
20 조준용, "자활제도 참여자의 자활 경험과 전망에 대한 종단적 질적연구-근거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13-324, 2013.   DOI
21 보건복지부, 2018 보건복지백서, 보건복지부, 2019a.
22 보건복지부, 자활성공률 사전정보공표, 보건복지부, 2019b.
23 엄태영, "자활사업 참여자의 경제적 자활 장벽요인에 대한 정서적 자활의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2호, pp.229-248, 2010.
24 이형하, 조원탁, "한국 자활사업이 자활효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제적. 사회적, 정서적 자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20권, pp.217-244, 2004.
25 정원오, 김진구, "자활 사업에 대한 참여자들의 주관적 평가와 자립전망: 경기지역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28권, pp.35-67, 2005.
26 임진섭, 장용언, 공정석, "자활서비스의 질과 직무만족이 자활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1권, 제3호, pp.271-297, 2010.
27 이은정, "자활사업 참여자의 정서적 자활과 사회적 자활의 영향요인 연구: 사회적응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2권, 제2호, pp.539-548, 2014.   DOI
28 이상록, "자활사업에 대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인식과 태도가 자활사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복지연구, 제21권, pp.105-136, 2003.
29 신영신, "자활사업 참여자의 자립 의지와 인지된 고용장벽이 경제적 자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비영리연구, 제15권, 제2호, pp.19-38, 2016.
30 엄태영, 주은수, "취약계층의 경제적 자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희망리본사업 참여자들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제23권, 제3호, pp.225-250, 2016.
31 백학영, 한경훈, 이승호, 조성은, "근로빈곤층의 자활근로사업 참여유인과 걸림돌에 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3권, 제2호, pp.241-275, 2016.
32 최상미, 홍영표, 김한성, "한국형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시행과 효과성 평가-경기지역 지역자활센터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57권, pp.179-199, 2017.
33 최상미, "이용자 중심적 접근에 기반한 정서적 자활 프로그램 II 증거기반실천과 효과성,"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60권, pp.161-184, 2018a.
34 조준용, "사회정책이론의 확산에 대한 연구: 한국의 생산적 복지 사례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0권, 제4호, pp.541-575, 2009.
35 송승숙, 장승옥, "빈곤여성가장의 자활의지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7호, 제4권, pp.345-368, 2013.
36 정혜숙,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한국사회복지학, 제67권, 제4호, pp.251-277, 2015.   DOI
37 김현옥, "빈곤여성의 자활근로 참여과정과 참여경험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52권, pp.199-239, 2016.
38 지규옥, "빈곤 여성 가구주의 자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적협동조합 경험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제26권, 제4호, pp.207-231, 2018.   DOI
39 김자옥, 유태균. "자활사업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자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제49권, 제2호, pp.39-64., 2018.   DOI
40 김소형, 김경호, "20대 빈곤청년의 자활사업 참여 경험연구," 사회복지정책, 제45권, 제3호, pp.5-37, 2018.
41 하승범, 신원식, "농촌 자활사업의 방향성: 참여자들의 자활사업에 대한 인식유형," 사회복지정책, 제46권, 제3호, pp.93-119, 2019.   DOI
42 김미라, 이현숙, 이정희, "자활 게이트웨이과정 참여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공공정책연구, 제35권, 제2호, pp.145-168,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