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의식

Search Result 1,01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on Fear of Crime (지역사회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245-246
    • /
    • 2014
  • 지역사회는 단순하게 공간적 개념을 넘어,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여 각자에게 만들어진 연합감, 유대감, 친밀성이라는 의식이 공존해야 지역사회가 유지되고 성장하는 힘을 갖는다. 지역사회 의식은 지역사회 및 공동체에 대해서 개인적으로 또는 집단적으로 느끼는 심리적 유대감을 말한다. 이러한 지역사회 의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한다.

  • PDF

Impacts of Local Civic Consciousness Formation : Focused on the Yong-in City (지역시민의식 형성 영향 요인 : 용인시를 중심으로)

  • Jeon, Su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2
    • /
    • pp.785-799
    • /
    • 2011
  • This study apprehends the effect of primary causes that form civic consciousness, which mature local residents should have. Moreover, it tri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ature civic consciousness with regard to the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local community, by observing how the extent of local problem recognition, personal viewpoints, and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affect formation of civic consciousn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600 local residents, ages 20 and above, with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The study showed that high recognition of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 and aging issues, fulfillment on social achievement, self-perception, culture orientation, and higher frequency on participating on social activ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formation of sound civic consciousness.

A Comparative Study of the Local Identity among Inchon Citizens (인천시민의 특성별 지역정체성 비교)

  • 최병목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1
    • /
    • pp.93-121
    • /
    • 1999
  • 이 연구는 인천의 정체성을 알아보는 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실증적 방법과 민속학적 방법 두 가지를 병행하였다. 시민단체, 공무원, 학생을 대상으로 임의목적표본방법을 사용하여 총 613명이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은 교차통계분석 및 다중분류분석을 하였다. 정체성은 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집단결속력과 성취도를 결정하여 주며, 그 지역의 사회적 통합과도 밀접한 관련을 지니고 있어서, 지역의 문제나 관심사를 해결하고 발전시키는데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인천의 정체의식은 세 집단 모두 낮으며, 전체응답자의 절반 이상은 그저 그렇다는 중용의 의견이었다. 인천에 대한 정체의식을 응답집단의 특성별로 보면 여자보다는 남자가 높고, 기혼자보다는 미혼자가 높으며, 30세 이상으로 연령이 많을수록, 수입과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정체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문.관리.사무직보다는 판매.서비스.생산.농업직 종사자들의 정체의식이 높았다. 전문대 정도의 교육을 받은 시민의 정체의식이 상대적으로 높고, 인천의 문화.복지.환경개선을 위한 특별기금 기부의사가 있는 시민과 인천을 마음붙이고 살 곳으로 생각하는 시민의 정체의식이 높다. 총괄적인 의미에서 본 인천의 정체성에 관한 조사를 보면, 인천은 "주인의식 없음"과 "이제부터 만들어 가야 한다"는 답변이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은 "포용력", "선구적 개척정신", "긍정적인 의미의 짠물", "합중시(合衆市)적 다양성", "외세에 대한 호국정신", "세계의 관문도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응답유형으로 보아서는 인천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한마디로 딱 잘라 말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인천은 서울.경기인, 충청인, 호남인, 영남인, 이북인, 외국인 등을 가리지 않고 받아드리는 "포용력이 있는 합중시적 다양성을 가진 도시"로 지역차가 서로 다른 출신성분이 공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이는 "세계속의 도시"와 "동북아의 거점도시"를 추구하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는 지역주의를 지양하고 지역통합이슈와 세계화 물결속에서 외국인에게도 열린 상태문화를 제공하는 관문이 될 것이라는 면에서 인천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으로 시사하는 점이라고 본다.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는 지역주의를 지양하고 지역통합이슈와 세계화 물결속에서 외국인에게도 열린 상태문화를 제공하는 관문이 될 것이라는 면에서 인천이 추구해야 할 정체성으로 시사하는 점이라고 본다.

  • PDF

A Study on Research of Residents Awareness for Improving the Safety Level of Disaster in Rural Area (농촌지역 재난안전도 향상을 위한 주민의식조사 연구)

  • Koo, Won-Hoi;Choi, Won-Hoi;Shin, Ho-Joon;Baek, Won-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52-25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재난안전도 향상을 위해 첫째, 농촌지역의 개념과 재난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농촌지역의 주민을 대상으로 재난안전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농촌지역 재난안전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동서지역 특성에 맞는 이벤트 활성화 방안

  • Kim, Yeong-Gu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63-77
    • /
    • 1999
  • 지방자치단체별로 특성화된 이벤트의 개발은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치면 또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그 시너지효과는 더욱 커진다. 지역이벤트를 개최목적과 지역특성반영정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벤트개최목적을 주민공동체의식함양과 지역경제활성화로 나누고, 또한 이벤트의 내용이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이벤트의 형태를 4가지로 나누었다. 지역주민공동체의식함양을 목적이며 지역단위특성이 있는 이벤트를 지역고유이벤트라 하였고, 이는 지역의 전통문화 또는 지역의 지리적특성 등을 살리면서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벤트이다. 반면에 같은 목적을 가지면서도 지역특성이 반영되는 정도가 낮은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체육대회 등 순수 공동체의식제고에 목적을 둔 이벤트이다. 또한 문화적 요인 등 뿐만 아니라 지역산업의 특성을 지니면서 지역경제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이벤트가 있을 수 있고, 동일한 목적을 지향하지만 지역단위특성을 반영하는 정도가 낮은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과 전남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벤트들의 현황을 보고, 동서지역 특성을 살핀 다음, 동서지역 특성에 맞는 이벤트 개발방향을 모색하였다. 경남과 전남은 각기 독특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수려한 한려해상, 지리산, 섬진강과 같은 자연자원을 공유하고 있으며, 또한 전남과 경남 공히 넓은 평야를 중심으로 하는 쌀농사라는 공통점이 있고, 그리고 전남에는 제철, 석유화학 등 기간산업이 경남지역에는 중공업 산업들이 발달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결합하여 양지역의 특성을 살리면서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이벤트 개발방향이 모색되었다. 또한 충무공 이순신, 장보고, 사명대사, 허준과 같은 역사적 인물들이 동서지역을 넘자들면서 활동을 하였는 바 이를 이벤드화 하는 방안도 모색되었다.

  • PDF

Path analysis on child abuse and neglect,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among children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인식한 방임과 학대, 자아존중감, 그리고 인권의식의 경로분석연구)

  • Kim, Yong Hoi;Han, Cha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58
    • /
    • pp.141-170
    • /
    • 2017
  • As child neglect and abuse have emerged as social problems deteriorating human rights of children,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s of child neglect and abuse at community children centers on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whether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neglect and abuse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From the community children center panel data, 630 fifth-year children at elementary schools were included as a sample. Key finding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hild neglect and abuse were found to have negative impacts on children's self-esteem and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respectively; (2) self-esteem was positively related to consciousness; (3)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neglect and consciousness; (4) the impact of child abuse on consciousness of human rights was found to be perfectly mediated by self-esteem. We conclude by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to promote human right-friendly environments.

A Study on Promoting the Disaster Safety Consciousness of the Rural Residents Against the Storm and Flood (풍수해 대비 농촌 주민 재난안전 의식 고취를 위한 연구)

  • Park, Miri;Lee, Young Kun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4-94
    • /
    • 2018
  • 풍수해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대책과 함께 지역내 사회구성원이 풍수해에 대한 사전대비의 중요성 인식과 피해를 최소화 시켜야한다는 사회적 인식이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농촌의 경우, 지역 개발 정책이 우선순위에 있어 농촌의 풍수해 예방정책이 후순위에 있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농촌의 풍수해 피해는 유사한 지역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지리 지형적, 고령화 인구 비중 등 사회적으로 풍수해에 취약한 지역이다. 또한 농촌 주민들 또한 예방보다는 풍수해 발생 후 복구에 대한 대책이 풍수해 대책이라 생각하는 인식을 지니고 있다. 실제로 농촌주민의 안전 불감증은 인터뷰 및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났으며, 재난 대책에 대해 이장 혹은 관공서 직원에게만 의존하는 등 풍수해대비에 대해 무지하고 낙관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었다. 농촌 주민의 재난 대응에 대한 무지와 무관심등의 인식 변화를 고려하지 않은 채 구조적인 차원의 대응은 풍수해의 예방에 있어 한계성이 발생한다. 농촌의 재난에 대한 인식변화는 주민들의 구조 및 체제에 대한 태도를 변화하게 함으로 써 보다 실효성 있는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현 재난 대책에서는 농촌 주민의 재난대책 등에 대한 의식의 반영이 미비하며, 수준에 대한 정확한 측정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고취를 위해 현재의 주민의 재난안전 의식의 수준과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를 통해 농촌 주민의 재난안전의식에 측정 결과에 따른 각각 개선방향이 도출되어 농촌의 풍수해 대비 재난 대책에 대한 실효성이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the Ritual Ceremony (제례의식의 인지도 조사연구)

  • 김정미;김종군;장성현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13 no.3
    • /
    • pp.145-154
    • /
    • 2003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rituals and to establish the desirable ritual culture. The recognition of the ritual culture was investigated by the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background. The rituals were generally recognized as positiv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religion, gender and residential area. To succeed the tradition of the preparation and the table-setting of ritual foods and to conduct the rituals by the descendants were recognized relatively high by the Buddhists and males living In Gyeongsangbuk-do.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method of table-setting of ritual foods was higher if one was married and older, with Buddhism and the oldest daughter-in-law in a family. As above, the culture of Korean rituals showe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eral environment and regions of the individual. The reason why regional differences were shown high was mainly because tradition and conservatism wer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unique regional thought and natural environment rather than impacts of the changes of times. That some differences were shown according to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ggested that the traditional ritual culture was gradually changing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modem times. Also, the recognition on the ritual culture were identified through investigations by gen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gender, age, religion and education background.

  • PDF

The Role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by Regions: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거주 지역에 따른 가족결속력과 고령친화환경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연령통합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Chung, Soondool;Lee, Ahyoung
    • 한국노년학
    • /
    • v.41 no.4
    • /
    • pp.469-490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and perception of age-friendly environment on sense of community and the mediating role of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in those relationships by regions. To that end, we us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nation-wide survey from adults who are aged 20 to 85 (N=1,200). ANOVA,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bootstrapping mediation tests were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 cohesion and one sub-dimension of the age-friendly environment- social participation- increased sense of community in all three regions. Also, perception of age-integrat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ohesion and sense of community in the Metropolitan areas and small citie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sense of community in all three regions. Based on the results, authors discussed ways to increase family cohesion and social participation to enhance sense of community.

Effect of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Influencing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농촌 결혼이민여성들의 한국어 능력과 지역사회활동참여경험이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 Yang, Soon Mi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1 no.4
    • /
    • pp.1061-1091
    • /
    • 2014
  • Language is connected with culture, and have a function of social and cultural integration. Also social participation is known to conduct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identity of immigrant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variables such as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on community sense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n rural area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language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experience in local society activity seemed to have intermediation effect on it. In conclusion,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plans improving proficiency of Korean language of the immigrants and participation in local society activitie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