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유형

Search Result 3,44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The Regional Mix Types and Models in Place Marketing Strategy : Focusing on Gwangju-Jeonnam Region (장소마케팅 전략의 지역믹스 유형 분석과 시론적 모델 연구 - 광주.전남 지역을 사례로 -)

  • Lee, Mu-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2
    • /
    • pp.226-249
    • /
    • 2009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regional mix types and models of place marketing strategy. For this purpose, eighty seven cases of place marketing in Gwangju-Jeonnam region during the last two years are reviewed, Twenty seven types of regional mix are abstracted according to space, theme, subject, target, and factor. There are five spatial types(urban mix, zoning mix, zoning urban mix, package urban mix, zoning mix, and space package mix), eight thematic types(culture mix, history mix, tourism mix, industry mix, administration mix, environment mix, transportation mix, and PR mix), five subject types(central government led public mix, local government led public mix, enterprise led private mix, civil society led private mix, and private public partnership mix), four target types(resident mix, tourist mix, enterprise mix, and common mix), and five factor types (organization mix, image mix, point mix, target mix, and channel mix). In the basis of these types, the twenty two primary model of regional mix, and the one hundred twenty six secondary model of regional mix are established.

  • PDF

Estimation of Area Type for Logistics Planning (물류계획을 위한 지역유형 추정)

  • Yun, Seong-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3 no.5 s.83
    • /
    • pp.65-71
    • /
    • 2005
  • Area type is often used in freight demand analysis and logistics planning models. For example, in freight transportation planning. area type variable is most often commonly used in freight generation (attraction) model. Yet a reliable, forecastable and measurable definition or area type is generally not documented. In fact, there is little literature on the subject of predicting area type in the context of freight planning models. This can be troublesome when applying models to long-range logistics planning where significant changes in population and employment result in changes in the general character of an area. Through the use of Discriminant Model,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and Delphi methods, this paper presents the successful exploration for a quantifiable means of determining area type.

The Study for Classifying Snowfall Area Types with Consideration of Snowfall Characteristics and Times (강설특성과 강설시간을 고려한 강설지역의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 Kim, Geunyo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1
    • /
    • pp.21-33
    • /
    • 2020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snowfall area types with consideration of past regional snowfall characteristics and times for the effective local snow removal response systems of 229 local government districts. Method: This research first collected snowfall data of South Korea meteorological stations, and classified regional types using successive snowfall time. This research finally produced GIS maps using regional type information of snowfalls by applying GIS analysis methods. Result: This research provides five types of snowfall regions including 'frequent heavy snowfall regions', 'frequent light snowfall regions', 'rare heavy snowfall regions', 'average snowfall regions', and 'rare light snowfall regions' based on analysis results. Conclusion: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for regional demand estimations of snow removal equipments, materials, vehicles, and personnel for the efficient snow removal response systems.

The Effect of the Types of Local Emotion-Appealed Messages on the Consumer Persuasion (지역정서소구메시지 유형별 소비자 설득효과에 관한 연구)

  • 황윤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1
    • /
    • pp.23-50
    • /
    • 2003
  • 본 연구는 최근 기업들이 광고촉진의 한 수단으로서 많이 활용하고 있는 특정 감정소구의 한 형태로서 지역정서를 이용한 광고의 설득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지역정서소구메시지 유형을 촉진형 메시지와 예방형 메시지로 구분하고, 이 메시지유형들의 설득효과에 대하여 소비자의 지식수준과 자기지역중심성향 (CLOCAL)이 어떻게 조절작용을 하는가를 탐색적으로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소비자에 대한 지역정서소구광고의 메시지유형별 설득효과는 소비자 개인특성의 조절변인으로서 지식수준과 자기지역중심성향 수준을 고려했을 경우, 촉진형 메시지와 예방형 메시지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먼저, 소비자의 정보처리능력과 관련하여 지식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는 촉진형 메시지가 더 설득적이었고, 지식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예방형 메시지가 더 설득적임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소비자의 자기지역중심성향수준에 따라서는, 높은 수준의 집단에서는 예방형 메시지가, 낮은 수준의 집단에서는 촉진형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정서소구광고의 메시지 특성과 소비자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지역정서소구광고의 설계전략방안들을 제안하였다.

  • PDF

Image Types and Experience Factor for Local Identity Brand (지역 아이덴티티 브랜드 형성을 위한 이미지 유형과 경험요인)

  • Lim, Seo-Kyung;Cho, Yong-J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637-646
    • /
    • 2009
  • This study aims at granting maximum high values to local brand images as megatrend in global markets by monitoring local differentiations which local images in each area are classified in abstraction on the side of cognitive aspects of consumers and finally achieving the redefinition of domestic markets with differentiation strategies for revitalizing cultural communication tools in terms of the creation of future local marketing strategies. This study newly classifies the cognitive aspects of domestic consumers into 4 distinguished patterns for creating an image of each local area and analyzes image creation factors for each local image in 5 aspects affecting the image creation of local brands.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a Coastal Area in Busan, Korea (부산 해안가 도심지역의 지하수 오염 특성)

  • Kim, Tae-Hyung;Chung, Sang-Yong;Park, Nam-Sik;Kim,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26-2031
    • /
    • 2010
  • 연구지역인 수영지역은 부산 동남부 해안가에 위치한 도심지역으로서 수영만과 수영강에 직접 접하고 있어 해수침입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안가에 위치한 도심지역에서 해수면 이하의 지하수 수위가 분포하고 있고, 이에 따른 지하수 수위 하강의 발생 원인과 해수침입에 의한 지하수 수질 오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 수위 및 현장 간이수질(수온, 수소이온농도, 산화-환원전위, 전기전도도, 염도, 용존산소)의 현장조사는 갈수기(2007년 12월)와 풍수기(2008년 7월과 2009년 8월)로 구분하여 약 140여개 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정밀 지하수 수질 분석을 위하여 2009년 8월에 50지점의 수질 시료(지하수 44지점, 유출지하수 1지점, 수영강 2지점, 해수 3지점)를 대상으로 지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을 조사한 결과, 갈수기와 풍수기에 상관없이 지하수 수위가 해수면 이하인 지역에서는 해수침입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지하수 수질 유형은 일반 지하수를 지시하는 $Ca(HCO_3)_2$ 유형, 해수침입이나 인위적인 오염 가능성을 지시하는 $NaHCO_3$ 유형, $CaSO_4$ 유형 및 $CaCl_2$ 유형과 직접적인 해수침입을 지시하는 NaCl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 수위 하강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하수 이용량과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량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하수 이용량 조사 결과, 306개소에서 $1,531,000m^3$/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하철의 유출지하수량은 6개의 역사에서 $751,000m^3$/년이 발생하고, 이는 지하수 개발가능량인 $951,000m^3$/년의 2.4배를 초과하여 지하수가 배출되어 지하수 수위하강을 초래하고 있다.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발생하는 지역과 비교 분석한 결과, 수영만에 위치한 광안리해수욕장의 유락시설이 밀집한 지역과 유출지하수가 발생하는 역사 주변 지역에서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크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에서는 지하수의 이용량과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에 의해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크게 일어나고, 이들 지역에 해수침입에 의한 지하수 수질 오염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영강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수영강의 유입으로 지하수가 염수화 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y on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ree Types of Local Communities (지역사회 특성에 따른 지역주민의 도서관 요구에 관한 연구: 3개의 지역유형을 중심으로)

  • Lee, HeuiSoo;Kim, G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1
    • /
    • pp.207-230
    • /
    • 2014
  •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asures to help establish a management direction and policies of local public libraries based on local residents' needs for library services based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To that end, a community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eight urbans (gus) and two rural districts (gun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distri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original urban center (Area 1), new urban center (Area 2), and urban-rural complex (Area 3). The residents in each type were analyzed in terms of library use, awareness, needs, and satisfaction. In terms of library use, awareness, and satisfaction;we identified differences among the area types. This paper suggested management directions of local public libraries based o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and Classification of Regional Types Based on Natural Resources (자연자원에 기반한 지역유형분류와 발전방안)

  • Park, Jong-Jun;Yoon, Ki-Ran;Park, Chang-Su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2
    • /
    • pp.10-17
    • /
    • 2011
  • The paradigm of the use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is changing. Wise use of natural resources can be achieved by enhancing their conservation value and, at the same time, taking them as an opportunity for regional development. It leads to an idea of pursuing regional development by making good use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paper, natural resources were classified as living species resources, ecosystem and landscape resources, and non-living resources. The resources were divided into 27 detailed analysis indices. The administrative boundaries of 165 municipalities in Korea were defined as spatial analysis units. Finally, a spatial database of natural resources was built. To classify the regional types, we conducted factor analyses with a detailed index of natural resources and a cluster analysis with the factor value.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six factors have been deduced as follows: forest resources, landscape resources, coastal ecology resources, inland water resources, landform resources, and ecology visit resources. In addition, the cluste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points of the factors drawn. The final classification consists of nine groups, and appropriate methods for each regional development have been suggested.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s for site selection and objective-setting for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and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natural resources.

신체지수 및 스트레스의 안면 피부유형간 비교

  • 류화라;박영숙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4.05a
    • /
    • pp.413.2-414
    • /
    • 2004
  • 본 연구는 건강피부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수립하기 위하여 외견상 건강하고 일상 활동을 유지하는 131명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안면 피부유형별 신체지수 및 스트레스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피부유형은 전체안면 피부 유분량으로 판정하고 피부유형별 신체계측, 체성분 구성, 비만정도, 체형 및 스트레스정도의 차이는 SPSS11.0 (for Wi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