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안전도진단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Safely Index for Community Disaster (지역안전도 진단 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 Jang, Dae-Won;Jeong, Sang-Man;Park, Moo-Jong;Kim, Hung-Soo;Seoh, Byung-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7 no.5
    • /
    • pp.119-127
    • /
    • 2007
  • We reconstructed the community disaster risk and patterns of damage magnitude using 'Annual Report of National Disaster Data'. And we developed the inspection index for damage reduction capacity of each facility or each damage prevention measure. The inspection indices include climatic and hydrological vulnerabilities, and disaster probability components. Also we considered all indices and components for DB construction on the GIS system. Then we constructed 'Inspection for Safety Degree of Community System(ISDCS)' according to the facility's criteria from the combination of damage reduction capacity of facility and damage magnitude. The safety index has designed a system that encourages communities to carry out a list of activities in the raw from natural disaster. The activities ultimately saves lives, reduce property damage, and protect disaster facilities. Damage patterns were also analyzed according to damage type using pattern analysis and GIS.

A Study on Improvements in the Method of Local Risk Assessment for Natural Disasters (자연재해 지역위험성평가 방법 개선방안 연구)

  • Choi, Sung Jo;Kang, Hwi J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5 no.2
    • /
    • pp.1-12
    • /
    • 2022
  • Based on major safety-related statistics of cities, provinces, counties, and districts across the country, social disasters manage regional safety index ratings in six areas(traffic accidents, fires, crime, life safety, suicide, and infectious diseases), and natural disasters operate a management system. The current application of the regional safety assessment of natural disasters is very insufficient to evaluate the local risk of natural disasters up to the Eup, Myeon, and Dong level, and it is marked too engineering and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Korea's natural disaster local risk assessment as an improvement model that extends to the sub-unit of Eup, Myeon, and Dong, using the local risk assessment model mixed with natural and social disasters.

Comparison of Rating Methods by Disaster Indicators (사회재난 지표별 등급화 기법 비교: 가축질병을 중심으로)

  • Lee, Hyo Jin;Yun, Hong Sic;Han, Hak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2
    • /
    • pp.319-328
    • /
    • 2021
  • Purpose: Recently, a large social disaster has called for the need to diagnose social disaster safety, and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calculates and publishes regional safety ratings such as regional safety index and national safety diagnosis every year. The existing safety diagnosis system uses equal intervals or normal distribution to grade risk maps in a uniform manner. Method: However, the equidistant technique can objectively analyze risk ratings, but there is a limit to classifying risk ratings when the distribution is skewed to one side, and the z-score technique has a problem of losing credibility if the population does not follow a normal distribution. Because the distribution of statistical data varies from indicator to indicator, the most appropriate rating should be applied for each data distribution. Result: Therefore,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data of disaster indicators and present a comparison and suitable method for traditional equidistant and natural brake techniques to proceed with optimized grading for each indicator. Conclusion: As a result, three of the six new indicators were applied differently from conventional grading techniques

Development of FDRRI Based Community Preparedness Index (지역사회 대비능력을 고려한 홍수피해저감지수 개발)

  • Yang, Seung-Man;Choi,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3-803
    • /
    • 2012
  • 최근 선진국에서는 지역사회의 지역특성, 대비능력 등을 토대로 맞춤형 재난 대비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지방정부는 지역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구체적 적응정책의 방향성 제시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 역시 재해위험에 대한 각 지역의 방재능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단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의 인구, 재정력, 시설, 인력, 자원 확보 및 계획 등 정량적 정보만을 종합하여 위험도를 진단하고 있어 재해위험에 대한 지역민과 지역사회가 느끼는 취약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 취약성 개념 틀을 정의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피해저감지수(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FDRRI)를 개발하였다. FDRRI는 지형적 기상적 요인을 고려한 홍수노출지표, 사회적요인과 과거피해 요인을 고려한 민감도지표, 지역안전도 피해저감능력지수를 고려한 피해저감능력지표, 지역민의 대비능력을 나타내는 지역사회대비능력 지표를 결합하여 평가된다. 특히, 지역사회대비능력지표는 지역민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의 역량을 정량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FDRRI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지형적 특성, 홍수피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낙동강 유역의 경북 봉화, 김천, 경남 고성, 김해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FDRRI를 산정하였으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FDRRI는 홍수위험에 대한 지역의 저감능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별 맞춤형 저감대책 및 지역사회가 참여한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Regional and Structural Safety to Each District (지자체별 지역 및 시설물별 안전도 평가 방안)

  • Park, Moo-Jong;Jun, Hwan-Don;Jung, S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361-365
    • /
    • 2007
  • 자연재난은 발생원인에 따라 바람, 강우, 적설, 파고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재난원인은 자연현상의 일부로 발생하였으나,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재해에 안전한 사회를 요구하게 되어 재해저감을 위한 투자와 방재정책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자연재난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연최대치 강우를 통계 분석하고 강우-유출관계를 이용하여 장래에 발생할 홍수량을 예측하여 자연재난을 저감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인 재난저감계획 수립으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재해예방을 위해서는 과거에 발생한 재난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여 재난발생 위험과 피해규모를 파악함으로써 재난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자연재난에 대한 대책수립은 국가차원에서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별 안전도 평가의 필요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자료를 바탕으로 풍수해 발생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와 지자체 또는 지역별 재난피해저감 능력을 수치적으로 나타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공학적인 면뿐만 아니라 행정적인 면을 동시에 고려하는 학제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풍수해에 의한 자연재난 특성을 파악하고 재난발생 확률을 고려한 재난피해규모와 재난피해 저감능력을 비교하여 전국 234개 지자체별 지역 및 시설물별 안전도를 평가하고자 한다. 과거 10년간 재해연보에 수록된 지자체별 피해현황을 지자체별 특성을 고려하여 분석, 지자체별 연평균 피해규모를 소방방재청의 지역별 안전도 지침서에 의거, 10등급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지자체별로 투자우선순위 및 방재예산편성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해 지자체별 시설물별 피해현황을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하여 지자체별 시설물별 안전도 진단지표를 설정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지자체별 시설물별 재해저감을 위한 풍수해저감 종합계획 재난보험제도 도입등의 기초자료로 적용될 수 있다.로 나타났다. 이는 두 흐름에 의해 와(vortex)가 크게 형성되어 하상의 세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보다 본질부가 차지하는 면적이 월등히 적고 제1차 및 제2차섬유가 차지하는 면적이 많았다. 따라서 고섬유함량인 대마의 품종개량에 있어서는 가능한 한 본질부가 차지하는 면적은 축소시키고 제1차 및 제2차섬유가 차지하는 면적은 증대시켜야 할 것으로 본다.우리 나라 수도의 작기는 앞으로 당기는 것이 좋다고 고찰된다. 6. 우리 나라의 현행 수도작기로 본 기온 및 일조조건은 수도의 분얼전기에 대해서는 호조건하에 놓여 있으나, 분얼후기인 7월 중ㆍ하순 경의 일조부족과 고온다습조건은 병해, 특히 도열병의 유발원인이 되고 있다. 7. 우리 나라의 현행수도작기로 본 전국각지의 수도의 출수기는 모두 일조시간이 적은 부적당한 시기에 처해 있다. 8. 출수후 40일간의 평균기온에 의한 적산온도 88$0^{\circ}C$의 출현기일은 수원에서 8월 23일이었고, 년간편차를 고려한 안전출수기일은 8월 19일로서 적산온도면에서는 관행 출수기일은 약간 늦다고 보았다. 9. 등열기의 평균기온에 의한 적산온도는 현행 수도작기로서는 최종한계시기에 놓여 있으며, 평균기온의 년간편차와 우리 나라의 최저기온이 낮은 점을 고려할 때, 현행출수기는 다소 늦은 것으로 보았다. 10. 생육단계별의 수도체내의 질소함량은 영양생장기의 질소함량이 과다하였으며, 출수 이후에 영양조락을 여하히 방지하느냐가 문제된다고 보았다. 11. 수리불안전답 및 천수답이 차지하는 전답면적의 비율은 차차 감소되고 있는데, 이와 전체 10a당 수량의 증가율과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는데, 수리불안전답과의 상관계수 (4)는 +0.525였으며, 천수답과는 r=+0.832, 그리고 수리불안전답과 천수답을 합계한 것과의 상관계수 (r)는 +0.841로서 후2자와는 고도의 정(+) 상관을 보여 천수답이 차지하는 면적비율이 작

  • PDF

Safety Diagnosis & Rainforced Countermeasure in Steel Tower (해원철탑 안전진단과 보강대책방안)

  • Park, Won-Chul;Lee, Jae-K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7.07c
    • /
    • pp.819-821
    • /
    • 1997
  • 경제발전에 따른 국민 생활향상과 산업고도화에 의해 전력은 계속하여 수요가 증가하고 대용량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와 함께 지속적이고 안정된 전력공급은 그 중요성이 더욱 대두된다. 서남해안 도서지역은 전력수요가 96년대에는 13.5%증가하였으며 전선로의 설비는 가공해월청탑과 해저케이블, 공급방식은 수지상식의 취약선로이다. 폭풍이나 태풍에 의해 해월청탑의 도괴된 사례가 발생하여 가공송전선을 설계 기준중 기준풍속을 지역별로 구분, 상향조정(87.6)되었으며 기존 해월청탑 설비에 대한 안정성 검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태풍 또는 폭퐁에 의한 해월청탑 지지물의 도괴, 또는 파손 등의 피해를 방지기존철탑 및 기초안전도를 검토하고 보강필요시 우리 실정에 맞는 경제적이고 안정된 보강방범 및 공법을 연구 개발하여 이에 의한 설계 및 시공기준을 수립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