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시설

Search Result 4,89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tudy for Regionalization to Install Urban Flood Disaster Prevention Facilities (내배수 재해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지역구분 방안)

  • Park, Min-Kyu;Yoo, Chul-Sang;Lee, Ch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33-143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타당성조사 수준의 재해저감시설 계획을 위한 지역구분을 시행할 때 지형자료 등 최소한의 자료만으로 객관성이 높고, 수문학적으로 의미있는 지역구분이 설정될 수 있도록 기준을 정립하고 그에 따른 근거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내배수 침수재해와 관련하여 기존의 치수계획이 빗물펌프장 등 일부 구조물에만 한정되어 해당 홍수방어시설에 과도한 부담을 주고 있으므로 유역내 저류지, 빗물 탱크, 침투시설 등의 다양한 내배수 홍수분담시설의 설치 및 그에 따른 효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지속적으로 피해가 커지고 있고 피해원인 및 양상이 다양해지는 도시유역의 내배수 재해에 대한 대책으로 피해지역의 확인 및 관련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지역구분의 방안에 대한 연구가 최근들어 강조되고 있다. 내배수 재해에 대응하기 위해서 전체유역을 지형특성 및 재해저감 시설의 입지조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보수, 유수, 저지지역의 구분 방안을 검토하였다. 저지지역 설정을 위한 기준으로 평균침수심을 활용하였고, 아울러 유수지역과 보수지역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습윤지수를 활용한 지표의 포화여부와 한계경사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지역구분 결과는 내배수 재해저감시설의 설치를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 PDF

Analysis of regional inequal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local welfare environment (지역복지환경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지역분포 불평등 분석)

  • Lee, Yo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75-8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 100,000 population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CI)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welfar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were distributed in rural areas. And concentration of rural area was gradually decreasing. Second, the concentration index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was calculated as the negative index. Therefore,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rural areas. However, the absolute value of concentration index decreased. Finally, there are many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reas with poor economic conditions, low incomes, low welfare budget input, and poor social demoli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of regional distribution of welfare resour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welfare environment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Analysis of Local Resident'S Perception on 'Rainwater for Drinking' Project in Developing Countries : Focusing on Vietnam Case Studies (개발도상국의 빗물식수화시설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분석 : 베트남 사례를 중심으로)

  • Lee, Minju;Han, Moo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9 no.1
    • /
    • pp.1-8
    • /
    • 2017
  • Drinking water deficiency is prevalent in developing countries due to contamination of surface and ground water, difficulties of water treatment, and lack of water infrastructures. 'Rainwater For Drinking (RFD)' projects are emerging as one of the effective solutions globally since RFD systems provide safe drinking water from rainwater. In RFD projects,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toward RFD project is essential as local residents must manage their RFD systems on their own after the project finishes. This research performed survey and interview to 209 local residents, who use RFD systems, and analyzed their general perception, expected effects and feared factors toward RFD projects. Through the research, it was shown that the most of the local residents have positive perception towards RFD projects' effectiveness (41.9%) and are willing to participate (58.9%). The top three expected effect factors of the RFD projects were 'supply of safe water source', 'vitalization of local community', and 'expansion of RFD system'. The top three feared factors were 'quality of rainwater', 'technical factors of RFD system', and 'maintenance of RFD system'. The research findings indicate that development of simple water quality measuring device and education of the local residents about RFD system is necessary for better maintenance of the RFD system after the project finishes.

Analysis of Slope Characteristics Around the Location of Solar Power Plants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강원 지역 산지 태양광 발전시설이 설치된 지역의 사면특성 분석)

  • Beomjun Kim;Jiho Kim;Yongcheol Park;Chanyoung, Yune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4 no.11
    • /
    • pp.33-40
    • /
    • 2023
  • To analyze the slope characteristics of solar power plant installation region in Gangwon province, the installation status of solar power plant in Gangneung and Wonju city were investigated using GIS technique and satellite map. The solar power plant installation of Gangneung and Wonju city is 36 and 48 regions. Through topographical data of solar power plant installation region, a database for area, slope inclination, and elevation was construced. Based on the database, the slope characteristics of solar power plant installation region in Gangneung and Wonju cit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lope of Wonju city has a relatively higher slope inclination than Gangneung city. In addition, Gangneng and Wonju cities have many regions with maximum inclination of 15° and 34° or more within the solar power plant.

Analysis of Temporary Housing for the Displaced People in Rural Area Emergencies (농촌지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 Lim, Changsu;Lee, Seung-chul;Kim, Eun-Ja;Park, Mi-J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3 no.4
    • /
    • pp.413-421
    • /
    • 2017
  •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tho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country and city,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rural and urban areas. As a result,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urban areas are bigger and have higher capacity, implying the necessity to designate facilities in rural areas that can accommodate larger number of people. As to the analysis of the representativ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rural areas, different regions had different types of designated facilities and the number of facilities also showed big difference depending on regions. So it is believe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improve the process and system of designating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Analysis of flood reduction by installation virtual underground storage on Public Facilitys (공공시설 내부 가상지하저류조 설치 시 침수저감 분석)

  • Lee, Jae Gwang;Tak, Yong Hun;Kim, Yeong Do;Gang, Bu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2-132
    • /
    • 2018
  • 홍수피해 발생 시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피해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도시지역의 경우 포장도로로 인하여 불투수 면적이 넓어 배제 시설의 허용 용량을 초과하는 강우 발생 시 지표면 위로 유량이 누적된다. 특히 농촌지역에 비해 도시지역에서 국지적으로 기습적인 강우에 빈번히 침수피해가 발생한다. 우리나라 도시지역은 인구와 건물이 밀집되어 재산과 인명피해 및 교통체증 등으로 인한 간접피해 등 농촌지역에 비해 더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도시 지역의 침수 피해 저감을 위해 우수 유출 저감시설과 내수배제 시설을 설치하여 우수의 유출을 지연시키거나 인위적으로 방류부 하천으로 방류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시설의 설치에는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며, 내수배제시설이 설치된 장소에 따라 침수현상이 다르게 나타나 저감시설 설치 전 공간적, 효율적으로 설치 가능한 장소와 침수 저감 효율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림1 배수분구를 대상으로 XP-SWMM모델을 이용하였으며, 2010년 09월 21일 침수 발생 당시의 강우를 적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의 도시유출해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어린이 공원과 학교운동장에 가상지하저류조를 설치하였을 시 침수저감 효과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다양한 지하저류조 설치 시나리오에 따른 침수저감효과를 수심별 침수면적으로 나타내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심지 지하 저류시설 도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지역냉난방 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40
    • /
    • pp.84-95
    • /
    • 1993
  • 지역난방은 한 곳에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일정한 지역내 아파트, 빌딩, 공공 시설 등에 난방 및 냉방용으로 공급하는 도시 기반시설이다. 또한 지역난방은 개별난방이나 중앙난방의 간헐 난방방식과는 달리 24 시간 연속난방을 하므로써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노후된 보일러 교체비 및 유지 보수가 들지 않고, 난방순환펌프 등 각종 부대시설의 축소로 동력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보일러실을 주민복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연료탱크와 보조난방기구 등이 필요 없어 재해 발생의 우려가 없다. 본지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제공한 자료와 월간 설비기술에 게재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ubble As a Tamping for Greenhouse Keeping Warm (이중피복온실의 보온용 충전재로서 버블의 물리적 특성)

  • 윤남규;김학주;이시영;염성현;남윤일;최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355-359
    • /
    • 2003
  • 1970년대 백색혁명 이후 급속하게 확산되어온 국내 시설원예산업은 최근 들어 날로 증가하고 있는 난방비에 대한 부담으로 그 경영이 날로 위축되어 가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1년 우리나라 전체 시설원예 면적 52,135㏊ 중 난방을 하고 있는 시설원예 면적은 12,710㏊로서 약 24%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시설재배면적의 지역분포를 비교해 보면, 시설채소의 경우 중부 이북지역에 44%, 남부에 56%의 비율로 분포해 있으며, 시설화훼의 경우 중부 이북 58%, 남부 42%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따라서, 국내 시설원예의 분포는 난방비가 많이 소요되는 지역이라도 수도권을 중심으로 유통이나 지리적 면에서 유리한 지역에 시설재배면적이 많이 분포해 있는 소비지중심형 분포임을 알 수 있다. (중략)

  • PDF

Potential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농촌지역 공공보건시설의 잠재적 접근성 측정)

  • Lee, Jun Mo;Cho, Soon Chul;Hwang, Jeong Im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0 no.2
    • /
    • pp.431-450
    • /
    • 2013
  •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potential accessibility of public healthcare facilities in rural areas. Population is prepared and analyzed in spatially microscopic level using dasymetric mapping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accessibility to public facilities which is conducted using shortest distance, Gun areas and Eup/Myeon areas are 1,845m and 1,777m from residential areas respectively. Areas in Gangwon-do and Gyeongsangbuk-do have relatively low accessibility while Eup areas tend to have higher accessibility.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e status quo of and regional differences of potential accessibility of rural public facilities in Korea. Furthermore, the findings are also meaningful as they can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to locate the facilities and improve the service delivery of medical facilities.

Analysis on the Effects of Disaster Mitigation Facility Using Debris Flow Numerical Model (토석류 수치모형을 이용한 재해 저감시설의 효과 분석)

  • Kang, Bae Dong;Jun, Kye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68-168
    • /
    • 2021
  •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의 발생 증가로 국토의 64%가 산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 산사태와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토석류는 물과 흙, 자갈, 유목 등이 계곡을 따라 이동하여 하류 지역에 위치한 주거 및 공공시설, 도로, 하천 그리고 인명에 피해를 입히는 자연재해이다. 본 연구대상 지역인 강원도 삼척시를 기준으로 2019년 10월에 발생한 태풍 '미탁'은 시간당 최대 110mm/hr, 누적강수량 487mm를 기록하였으며, 태풍으로 인한 강풍, 폭우, 홍수뿐만 아니라 산사태, 토석류와 같은 산지 재해로 사망 13명, 실종 2명, 이재민 910세대 1,442명의 인명 피해와 공공시설 1,835건, 사유시설 3,700건 등의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연구대상 지역에 높이 2m의 기설치된 저감시설이 있었으나 당시의 토석류 발생량을 저감하기에 규모가 작아 주택, 도로와 주민들이 있는 하류 지역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피해가 발생한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Hyper KANAKO 모형의 입력 매개변수로 사용하였다. 실측 자료를 모형에 적용하여 최대 유동심과 유속이 발생한 지점을 분석한 후 기설치된 재해 저감시설과 동일한 제원의 재해 저감시설을 설치하였을 때와 재해 저감시설의 높이와 종류를 변경하였을 때를 비교·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