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시료

Search Result 1,71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부산점토의 특성 : 조간대 퇴적층의 대자율

  • 김성욱;김인수;최은경;정성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15-318
    • /
    • 2002
  • 낙동강 삼각주의 분포하는 제4기 홀로세 퇴적층 중 북부와 중부, 그리고 남부지역에 해당하는 가덕도 (신항만 조성지역), 범방리 (경마장 조성지역), 양산 (신도시 조성지역)의 조간대 퇴적층에 대한 대자율 연구를 수행하였다. 퇴적층의 층위별 대자율은 입도와 관입저항에 비례하여 대자율도 증가한다. 가덕도의 70여m의 퇴적층 중 20m, 40m의 점토층에서 대자율 변화가 나타나는데 인접한 녹산지역의 연구견과와 비교하면 고환경이 변화되는 지점과 일치한다. 삼각주의 중부에 위치하는 범방리 점토시료는 기반암까지 층위별 대자율이 일정하며, 북부의 양산지역 점토시료는 하부로 갈수록 대자율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결과는 시료의 입도 분포와 같은 양상이다. 가덕도 시료와는 달리 모든 점토층이 유사한 대자율을 보여주고 있어 퇴적 동안 환경의 변화는 인지되지 않는다. 이 지역의 시료가 가덕도에 비해 높은 고도에 위치하여 가덕도 시료의 상부 점토에 해당되는 것도 환경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연구가 요구 된다.

  • PDF

An Information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Genomic Specimens from Koreans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 양은주;신용국;김준우;김규찬;한복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76-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로부터 수집되는 한국인 유전체 시료와 이에 관련된 시료 접수 정보, 시료 보관 위치 정보, 시료 정도 관리(Quality Control) 정보, 분양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저장ㆍ관리하기 위하여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료 접수자 및 정보 관리자는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인간의 DNA, cell, serum, urine 등과 같은 유전체 시료를 접수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들 정보에 대한 집계 현황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에서 입력한 개인식별 정보, 임상 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과 유전체 시료 정보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이는 관련 연구진에게 인간 유전체 시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유전체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stant Rate-of Strain Test Method Using Undisturbed Clay (불교란 점성토를 이용한 일정변형률압밀시험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 김광태;이기세;백영식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5
    • /
    • pp.93-105
    • /
    • 2000
  • 일정변형률압밀사시험의 효율성 및 적용성을 구체화하기 위해 인공시료 또는 한정된 지역에서 채취한 불교란 점성토 시료가 아닌 광범위한 지역에서 채취한 불교란 점성토 시료에 대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의 대상지역은 우리나라의 서해안에서 동해안에 이르는 13개 지역이며, 29개의 불교란 자연시료를 채취하여 일정변형률압밀시험을 113회 실시하였다. 또한, 비교하기 위해 표준압밀시험도 병행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얻어진 압밀정수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고찰하였고, 회기분석을 통해 통계식을 제안하였다. 두 시험법에 의해 산출된 압밀정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수압비가 20% 이내인 범위에서는 일정변형률압밀시험의 변형률 속도가 압밀시험의 정수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지수 및 압밀계수는 일정면형률시험의 결과 값이 표준압밀시험의 결과 값보다 크게 산출되었으나 일관성을 보였다. 또한, 선행압밀압력에 있어서는 두 시험법에 Cassagrande의 방법을 적용할 경우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일정변형률압밀시험을 사용하여 표준압밀시험에 상용하는 상호관계식 개발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강변여과수 개발지역의 인공함양특성 평가를 위한 동위원소 기술적용에 대한 예비연구

  • 김천수;김건영;고용권;김형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9a
    • /
    • pp.343-346
    • /
    • 2002
  • 인공함양 특성평가를 위한 동위원소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지역으로 영남내륙권의 고령군과 달성군의 경계에 위치한 낙동강변의 강변여과수 개발지역을 선정하였으며, 동위원소기술적용을 위하여 연구지역내에 위치한 강변여과수 개발을 위한 양수정과 주변공들 및 지표수들에 대한 시료채취를 수행하였다. 관측공 중 한 공에 대하여는 다중패커시스템 (Multi-packer system)을 활용하여 심도별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지역내 물시료들에 대한 현재까지의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및 삼중수소 함량 분석결과는 다중패커설치공 및 일반 관측공과 지표수들간에 서로 중첩되어 구분이 어렵다. 스트론튬 동위원소비는 양수정 및 그 인접공의 시료들과 강변에서 인접한 공의 시료들간에 차이는 있으나 명확하지는 않다. 질소동위원소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화학비료로나 토양내의 유기물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재까지의 기초분석 결과는 자연수 시료들에 적용된 다양한 동위원소값들이 서로 유사한 값들을 보여서 동위원소 특성을 지하수 유동특성이나 함양특성을 해석하기 위한 추적자로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특정한 시기의 강우사건에 대해 강수, 낙동강물, 양수정 및 일련의 주변공과 다중패커시스템이 설치된 공의 심도별 구간 등에 대해 현재보다 보다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시료채취가 시도되어지거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추적자 시험이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pplicability test of broad leaf samples stored at the NESB for biomonitoring of airborne pollutants (국가환경시료은행 활엽 시료를 활용한 지역별 대기침적 오염물질 모니터링 활용성 검토)

  • Lee, Jongchun;Lee, Jangho;Park, Jong-Hyouk;Lee, Eugene;Shim, Kyuyoung;Jang, Heey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5 no.6
    • /
    • pp.532-541
    • /
    • 2016
  • The National Environmental Specimen Bank (NESB) has been collecting broad leave samples to monitor environmental pollution from five different designated sampling areas. In order to ensure the reproducibility and comparability of the results, all the procedures from selecting trees and pooling leaves to make the representative sample are defined in the standard operation procedures(the SOP). The representative samples were subjected to the chemical analyses for some heavy minerals and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The uncertainty levels involved in each step of the SOP, that is, the sampling and the chemical analysis, were derived using the Robust ANOVA, which enables the relative comparison among the different levels of pollutants concentrations with confidence.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varying degrees of precipitation on the pollutants concentration of the leaves was also examined. Overall, the biological difference estimated from the duplicate samples was found to exceed the variation across the site, implying even aerial deposition over site. Samples from Gwanak Mt. showed highest heavy metal concentrations than the other sites. Washing off effect of the pollutants adhering in the form of particles on the leaf surface was found to be affected by the cumulative precipitation.

괴산-보은일대 옥천대 분포지역의 지하수 수질 특성 연구

  • 신우식;이병선;문상기;정성욱;김연태;우남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246-249
    • /
    • 2003
  • 충북 괴산군-보은군 일대를 따라 발달된 중부 옥천대의 구룡산층과 운교리층 분포지역에서, 기반암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특성의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2년 11월에 18개 지점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기반암에 따른 지하수의 수질을 분류하였다. 구룡산층 시료와 운교리층 시료 모두 Ca-(HCO$_3$+ CO$_3$) 유형의 수질특성을 보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기반암의 종류에 따라 수질특성이 나됨을 알 수 있었다. 수질 분석결과를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와 비교 하였을때, 질산성 질소 항목만 기준치를 초과하였다. 질산성 질소의 경우,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인 10 mg/L를 초과한 시료는 한 지점이었지만, 인간 활동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여겨지는 2 mg/L이상의 시료는 전체 18개 시료 중 61%인 11개 지점으로 나타나, 이 연구지역에서 인간활동에 의한 질산성 질소의 오염이 진행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제주 한림 지역 지하수 수질 및 질산성 질소의 공간적 분포

  • 정성욱;현승규;송용학;한원식;우남칠;이광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442-446
    • /
    • 2003
  • 이 연구는 제주도 한림 지역에서 지하수의 수질과 오염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2002년 8월과 11월에 걸쳐 34개 지점에서 지하수 시료를 채취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지하수의 수질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연구지역은 주로 (Na,Mg)-HCO$_3$ 유형이 나타나며, 일부 지점에서는 Mg-(HCO$_3$+Cl), (Ca,Mg)-HCO$_3$ 유형 등이 나타난다. 이는 지하수의 유동 경로를 따라 서로 다른 수리지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며, 지표 오염물질의 유입 등이 지하수의 수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시한다. 질산성 질소의 경우, 국내 먹는물 수질기준치 10 mg/L를 초과한 시료는 전체 시료의 8월 조사에서 약 32%, 11월 조사에서 약 27% 이었고, 공간적 분포 특성은 비교적 낮은 고도 150m 이하의 저지대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주로 나타났다. 인위적인 오염물질의 유입 가능성이 있는 지점은 전체 시료의 79.4% 이었다.

  • PDF

Determination of benzo(a)pyrene in Soil, Sediment and Water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 의한 토양, 저질 및 수질시료 중 benzo(a)pyrene의 분석)

  • Jeon Ree Kyung;Choi Rae Yeon;Ryu Jae-Chu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1
    • /
    • pp.47-55
    • /
    • 2005
  • 본 연구는 GC/MS를 이용하여 수질, 토양 및 저질 시료 중의 benzo(a)pyrene(BaP)을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BaP은 수질 시료(100mL)에서 n-hexane으로 추출하였으며, 토양 및 저질 시료(l0g) 에서는 먼저 메탄올로 추출한 후 hexane으로 다시 추출하여 농축시켜 분석하였다. 수질 시료 중의 BaP 회수율은 94.8% 이상이었으며 토양에서의 회수율은 약 93%를 보였고 재현성은 10.49% 이하였다. 검정 곡선은 상관계수(R²)값이 수질과 토양 모두에서 0.996 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토양 시료의 경우 35지역 중 6지역의 토양에서 0.5~223.5㎍/kg의 농도 범위로 BaP가 검출되었으며 수질과 저질 시료에서는 모든 지역에서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이 분석방법은 환경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BaP의 분석과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Gamma-aminobutyric Acid Content in Commercial Green Tea (시판 녹차의 GABA 함량)

  • Han, Young-Sook
    •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 /
    • v.23 no.3 s.99
    • /
    • pp.409-41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ntent of bioactive component, ${\gamma}$-aminobutyric acid (GABA) in 7 commercial green teas. The teas were grown in different regions in Sourhtern Korea, and were picked during the middle of the season. The green tea extracts were each derivatized with 6-aminoquinolyl-N-hydroxy-succinimidyl carbamate(AccQ${\cdot}$Fluor), and GABA was detected by a fluorescence detector at arf excitation of 250 nm and emission of 395 nm. The GABA contents varied depending on the regions where the green tea samples were produc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ABA contents between samples A and C, where it ranged from from 45.21${\pm}$0.99 (nmol/g) to 63.83${\pm}$0.61 (nmol/g): however, a significantly different amount of GABA was found in the green tea produced in B. The highest GABA content was 210.67${\pm}$0.85 (nmol/g), whereas the lowest content was 3.88${\pm}$0.71 (nmol/g). This variation in GABA contents was probably due to the regional differences, even within the same location, as well as the processing technology, which may retain or develop more GABA components in the final green tea.

Determination of 4-Nitrotoluene Exposure in Water, Soil and Sediment by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에 의한 토양, 저질 및 수질시료 중 4-Nitrotoluene의 노출평가)

  • Jeon Hee Kyung;Choi Hae Yeon;Ryu Jae-Chu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2 s.49
    • /
    • pp.123-131
    • /
    • 2005
  • 본 연구는 GC/MS를 이용하여 수질, 토양 및 저질 시료 중의 4-Nitrotoluene(4-NT)을 분석하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4-NT은 수질 시료(100mL)에서 n-hexane으로 추출하였으며, 토양 및 저질 시료(10g)에서는 먼저 메탄올로 추출한 후 hexane으로 다시 추출하여 농축시켜 분석하였다. 수질 시료 중의 4-NT의 회수율은 $99.1\%$ 이상이였으며 토양에서의 회수율(recovery)은 약 $110\%$를 보였고 재현성 (relative standard deviation)은 $11.99\%$ 이하였다. 검정곡선은 상관계수$(R^2)$값이 수질과 토양 모두에서 0.994이상의 좋은 직선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채취한 수질 43개 지역, 토양 35개 지역 및 저질 11개 지역의 모든 시료에서 4-NT은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다. 이 분석방법은 환경 중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4-NT의 분석과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