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생태학적 특성

검색결과 335건 처리시간 0.028초

위해성에 근거한 정화목표 산정 및 복원전략 수립 (Determination of Target Clean-up Level and Risk-Based Remediation Strategy)

  • 류혜림;한준경;남경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2권1호
    • /
    • pp.73-86
    • /
    • 2007
  •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 전략(risk-based remediation strategy, RBRS)은 위해성평가를 통하여 오염지역의 위해성 또는 오염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의사결정과정 중의 일부로서, 토양에 존재하는 독성물질이 인간이나 생태계와 같은 수용체로 전이되어 발현되는 독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토양오염에 대한 위해성평가는 토양에서 대기로 확산되어나가는 오염물질의 흡입, 토양에서 지하수로 용출된 오염물질의 섭취, 토양 자체의 섭취와 접촉 등에 의한 위해성평가를 포함하며, 오염물질의 특성뿐만 아니라 수리지질학적 자료, 토지이용용도, 수용체의 특성 등 현장의 특이적인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은 위해성산정을 위한 현장조사로부터 시작하여, 구체화된 노출경로모델(conceptual site model, CSM)의 작성, 목표위해성 수준의 결정, 오염물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독성학적 자료의 수집을 거쳐, 일반적이고 보수적인 조건 하에 가장 안전한 목표정화수준을 산정하는 Tier 1 평가와 보다 정확한 오염현장의 조사를 통하여 현장특수성을 반영하는 Tier 2 평가를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현장의 오염농도가 Tier 1으로 결정된 허용오염수준(risk-based screening level, RBSL)보다 높은 경우 Tier 2를 실시하여 현장의 특수성을 반영하는 목표정화수준(site-specific target level)을 산정하며, 이를 통하여 오염지역에 대한 과도한 정화처리나 비경제적인 복구사업 등을 피할 수 있다. 위해성에 근거한 복원전략은 이 밖에도 오염지역의 복원우선순위 결정, 토지이용용도에 따른 위해성 관리기준 수립 등 다양한 활용성을 가지지만, 여러 가지 전제조건들과 현장조사 시에 발생하는 현실적 한계 등으로 인하여 불확실성을 가진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정확한 CSM의 작성, 복합오염에 대한 고려, 오염물질의 이동과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매질의 특성과 모델 입력변수 등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하며, 신뢰할 만한 현장조사기법과 독성검사기법의 확립, 국내실정에 맞는 토양 및 지하수 특성자료와 인체 노출인자 등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남빙양 새우의 생태학적 특성 (Some Ecological Aspects of Antarctic Krill, Euphausia superba in the Antarctic Ocean)

  • 이장욱;권정노;김태익;양원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3-192
    • /
    • 1994
  • 대서양 남빙양 새우의 주된 분포역은 South George Island, Laurie/Coronation Islands와 Livingston/King George Islands 지역으로 공간적인 구분을 뚜렷이 하였다. 어획 수심은 층에서 150 m층까지 달했고, 10 m층으로 구분한 단위노력당어획량의 수직 분포는 층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심이 깊어 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수온과 단위노력당 어획량의 관계로 부터 남빙양 새우는 주로 $0.8{\sim}l.0^{\circ}C$ 범위에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남빙양 새우의 암수별 체장 조성은 큰 차이를 보여 숫컷의 비율은 작은 체장에서, 암컷의 비율은 큰 체장에서 각각 높았다. 두흉갑장과 체장관계, 체장과 체중관계가 암수별로 추정되었다. 암수별 성비조성은 숫컷이 $60.3\%$, 암컷이 $39.7\%$로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 PDF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Pisces: Cobitidae)의 서식지 특징과 연령추정 (Habitat Characteristics and Estimation of the Age of the Endangered Miho Spine Loach,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 in Ji Stream, Guem River, Korea)

  • 고명훈;방인철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6-54
    • /
    • 2018
  • 멸종위기어류인 미호종개 Cobitis choii의 서식지 특성과 연령 등의 생태적 특징을 밝혀 보전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1년 금강 지류인 지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호종개의 서식지는 하류부의 모래톱이 형성된 지역으로, 모래 입자 크기는 대부분 0.21~1.18 mm (88.7%)로 작은 편이었다. 치어는 수심이 5~20 cm로 낮고 유속은 0~15 cm/sec로 느린 곳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지만, 1년생과 2년생, 3년생 이상의 개체들은 공통적으로 수심 20~50 cm, 유속 10~25 cm/sec의 느린 여울부에 서식하고 있었다. 성장은 활동기인 4월부터 10월까지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나 월동기인 11월부터 3월까지는 성장을 멈추었다. 연령(암컷)은 6월을 기준으로 만 1년생은 전장 40~61 mm, 만 2년생은 64~79 mm, 만 3년생은 80~91 mm, 만 4년생 이상은 92~106 mm로 추정되었다.

청주시 용도지역별 가로수의 생리.생태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Ginkgo biloba와 Platanus orientalis를 중심으로-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adside Tree by Difference under Zoning of Urban Districts in Cheong-ju City -Focused on the Ginkgo biloba and Platanus orientalis-)

  • 인형민;주진희;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29-236
    • /
    • 2010
  • As air pollution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pressing urban environmental concerns, many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ir pollutants(ex: $O^3$, $NO^2$, $SO^2$, Acid rain, etc.) on roadside trees and urban grove. In Korea, population density started to increase since the industrialization. Since dense population aggravates our living conditions, it's very important for us to preserve and keep a lively and refreshing nature in order to live with green nature in harmony under the current artificial environment-dominating world. In metropolitan cities, the production of pollutants increases in proportion to population growth. The vehicle exhaust gas and air pollutants from cooling and heating systems have been the major causes of acid rain. Furthermore, tire particles which are naturally produced by tire wearing on roads and other toxic substances in exhaust gas have caused a problem in human health directly and indirectly. In fact, a lot of studies have analyzed air pollution, roadside trees and plants in Korea. However, they are mostly limited to covering the influence of air pollution on the growth of plants. No paper has clearly explained why air pollution-resistant or-vulnerable species has shown different reactions yet. Even though a lot of urban roadside trees have died or stopped to grow from time to time, this kind of problem has not been properly examined. This paper is aimed to comparatively analyze physio-ecological characteristic such as photosynthesis, chlorophyll contents, soil volume water figure out their relationship with environmental factors against the expanding roadside trees in Cheong-ju, and provide basic data for management of roadside trees and elaboration of urban environment preservation policies.

남극 King Geroge Island 토양의 종속영양 세균 분포상과 효소 활성도 (Distribution of Heterotrophic Bacterial Flora in Soil on the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and Their Enzyme Activities)

  • 김상진;이승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99-203
    • /
    • 1990
  • 남극 토양생태계 세균의 분포와 세균의 생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King George섬의 세종기지(한국)와 Te-niente Jubany기지(아르헨티나) 주변의 토양 17점을 남극 하계 기간(1989년 2월) 동안 채취하여 종속영양 세균의 수오 채외 효소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종속영양 세균수는 시료채취지역과 배양온도가 다른 조건에서 자란 세균의 경우에도 그 평균값이 비숫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protease는 $4^{\circ}C$에서 자란 세균의 경우 92%로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배양온도에 따라 매우 변화가 켰으며 산술평균값은 배양온도 $37^{\circ}C$, $25^{\circ}C$, $4^{\circ}C$에서 각각 $2.5\times 10^{4}$, $2.7\times 10^{7}$, $6.9\times 10^{5}$ CFU/$cm^{3}$soil로 나타났다

  • PDF

파드득나물 균핵병균(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핵 헝성 및 생존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Sclerotia Formation and Viability of Sclerotinia sclerotiorum Causing Sclerotiorum Rot of Cryptotaenia japonica)

  • 장석원;이한범;김성기
    • 식물병연구
    • /
    • 제9권1호
    • /
    • pp.47-51
    • /
    • 2003
  • 남양주, 양주, 양평에서 파드득나물 균핵병의 발생생태를 조사한 결과, 균핵병은 늦가을부터 초봄까지 주로 동계기간에 발생했으며, 지역별로는 양평에서 발생이 심했다. 포장에서 분리한 파드득나물 균핵병균은 기보고된 Sclerotinia sclerotiorum의 균학적 특성과 일치하였고, 균사생장은 5~3$0^{\circ}C$에서 이루어졌으며, 15~3$0^{\circ}C$에서 활발하게 생장하였다 균핵형성은 20~$25^{\circ}C$에서 많이 형성되었으며, 낮은 온도에서 형성된 균핵의 크기가 큰 경향이었다. 균핵생존율은 균핵크기가 작을수록(~2 mm > 3~4 mm > 5 mm~) 높았으며, 치상온도에서의 정치시간이 길수록 높게 나타났다.

송이 균환(菌環)의 발달(發達)에 따른 토양(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특성(特性)과 탈수소효소(脫水素酵素)의 활성(活性) 변화(變化) (Changes i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ehydrogenase Activity by the Formation of Fairy Ring of Tricholoma matsutake)

  • 허태철;박현;정진현;주성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270-275
    • /
    • 1998
  • 송이산의 관리는 송이 균환의 환경관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송이산의 관리는 송이 균환부를 건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를 요구하며, 아울러, 균환부 생태계 내의 실질적인 활성을 평가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송이 균환부를 송이균의 통과 여부에 따라 균환 통과부, 균환부, 균환 예정지의 3개 지역으로 구분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과 탈수소효소 활성에 차이가 있는지 조사, 고찰한 것이다. 송이 균환의 발달에 따라 토양내 양이온의 함량은 뚜렷한 변화가 없었지만, 유효인산이나 탄소, 질소의 함량은 균환부와 균환 예정지 사이에 차이가 인정되었다. 또한, 송이 균환부 탈수소효소의 활성도는 일반 성숙토양에 비하여 훨씬 낮아 송이 균환부는 성숙도가 낮으며 유가물이 적은 토양에 발달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송이산의 관리가 실질적으로는 송이 균환의 관리라는 것을 감안할 때, 송이산 관리의 기준으로 탈수소효소를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낙엽긁기의 처리를 위해서 유기물 분해도의 지표인 탈수소효소의 활성도 측정법을 활용하도록 추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남한에서 만병초(Rhododendron brachycarpum D. Don ex G. Don) 개체군의 식생구조와 입지 특성 (Vegetation Structure and Site Characteristics of Rhododendron brachycarpum Population in South Korea)

  • 황용;한무석;김용율;김무열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51-761
    • /
    • 2014
  • 본 연구는 만병초 개체군을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토양을 분석하였으며, 식생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분포서열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만병초 개체군은 주로 한반도 백두대간의 고산지대와 울릉도에 분포하고 해발고는 872~1466m의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만병초 개체군은 회솔나무 우점개체군, 함박꽃나무 우점개체군, 눈측백 우점개체군, 만병초 전형개체군으로 분류되었다.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유기물함량은 10.45~15.28%, 전질소함량 0.37~0.61%, 치환성 $K^+$$0.21{\sim}0.35cmol^+/kg$, $Ca^{2+}$$0.39{\sim}2.54cmol^+/kg$, $Mg^{2+}$$0.17{\sim}0.50cmol^+/kg$, 양이온치환용량 $18.28{\sim}22.81cmol^+/kg$이며, 토양 pH는 4.66~5.23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를 이용한 만병초 개체군의 식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해발고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락별 입지 특성은 회솔나무 우점개체군이 사면경사가 급하고 양료 중 전질소와 유기물함량이 낮은 지역에 분포하였고, 회솔나무 우점개체군에 비해 함박꽃 우점개체군과 눈측백 우점개체군은 사면경사가 낮고 전질소와 유기물의 양료가 높은 입지에 분포하였다. 눈측백 우점개체군은 해발고와 노암율이 높은 곳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병초의 자생지는 약초채집으로 인한 훼손으로부터 취약한 상태이다. 따라서 개체군의 생육특성 파악과 자생지의 보전을 위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형산강 수계의 수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 김유표;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3권1호
    • /
    • pp.150-160
    • /
    • 2010
  • 본 연구는 형산강 수계의 7개의 하천 지점에서 이 화학적 수질의 시 공간적 변이 파악을 위하여 1999년~2008년까지 측정된 환경부 수질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질 변수는 수온, 용존산소량(DO),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인(TP), 총질소(TN), 부유물(SS) 및 전기전도도(EC)의 8개 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질 특성은 연별, 계절별, 조사지점별로 변이를 보였다. 이온 희석현상의 지표로 이용된 EC는 계절 분석에서 장마기에 크게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고, 계절별 영양염류 (TN, TP)는 전 조사지점을 대상으로 평균했을 때 TN은 갈수기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TP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중류부에서 장마기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BOD와 COD는 강우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계절별 SS 농도는 장마기에 크게 증가하였으며, 본류의 SS는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형산강 상 중류의 BOD, COD, TP, TN, SS 및 EC는 도심지역을 관통하는 H3 지점을 지나면서 모든 변수에서 크게 증가하여 수질 악화가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경주시 및 포항시의 도심에서 흘러나오는 지천의 영향이 하류의 수질 악화에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수질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Virtual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복구 경관분석기법 개발 (Developing Landscape Analysis Method for Forest Fire Damaged Area Restoration Using Virtual GIS)

  • 조명희;이명보;김준범;임주훈;김성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75-83
    • /
    • 2004
  •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와서 산불 발생건수 및 피해지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산불피해지 복원기술은 주로 사방복구와 조림 등 녹화기술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산불피해지를 중심으로 GIS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산불피해지의 공간 특성과 입지환경을 고려하여 내화수림대를 조성기법을 개발하고 virtual GIS의 활용을 통하여 공간정보자료가 산불피해지역 복원에 있어서의 경관생태학적 접근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적용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산불방지를 위해 GIS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내화수림대를 조성하고, 조성된 내화수림대 및 연구대상지에 3D modeling 기법을 통하여 구축된 3D 수종을 적정하게 임분배치하였다. 아울러 지위지수분류곡선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에 경년에 따른 산림경관을 조성하였으며, virtual GIS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와 가장 유사한 3차원지형을 구축하고 tracking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