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사회 참여

검색결과 1,537건 처리시간 0.023초

지역사회 노인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와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가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거주 노인을 중심으로 (Community-Residing Elderly's Attitude toward Own Aging and Effects of Personal Resources, Social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Focused on Elderly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최해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09-51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들이 자신의 노화에 대해 어떤 태도를 지니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인자원, 사회적 지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노화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노인복지관, 경로당, 노인회 등의 협조를 받아 유의표집으로 60세 이상 노인 19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2.0을 이용해 기술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인 지역사회 노인들은 자신의 노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화태도의 유의미한 영향 요인은 개인자원 중에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경제력이 좋을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 변수 중에는 가족의 정서적 지지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는데, 가족의 정서적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노화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넷째, 사회참여를 많이 할수록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다섯째, 모든 독립변수를 포함시킨 모델에서 가족의 정서적 지지와 사회참여 수준의 유의성이 사라져 자아존중감과 경제력만 유의미한 영향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노인들의 자신의 노화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기 위한 실천적,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원격재활서비스 참여가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증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ticipating in Tele-rehabilitation Service on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y)

  • 차예린;정봉근;이성아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169-18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재활서비스를 소개하고, 지역사회 장애인에게 적용하여 그들의 건강증진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함이다. 본 연구에서의 원격재활서비스는 재활훈련 프로그램과 원격상담으로, 최종 참여자는 천안시 C 장애인 자립생활센터 뇌병변장애인 3명이다. 연구 방법은 혼합연구로 양적 연구로는 대상자 간-다중기초선 실험설계, 질적 연구로는 원격상담을 통한 이야기식 면접을 이용하였다. 기초선, 참여 중, 참여 후의 주관적 건강수준변화, 상지기능/근력, 관절가동범위검사를 일정 간격 시행하고, 참여 전후에 삶의 질 검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심리 사회적 건강증진 요소가 향상되었고, 둘째, 신체적 건강증진(상지기능/근력, 관절가동범위) 요소가 유지 및 향상되었으나 변화가 적었다. 셋째, 삶의 질은 사전보다 사후의 평균값이 높았다. 질적 연구에서는 주관적 건강상태, 정서적 안정감, 유익성,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서비스참여에 만족을 보였다. 이로 보아, 원격재활서비스 참여가 지역사회 장애인의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국내 지역사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원격재활 서비스 구축과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장애학생이 받는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가 사회적응행동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on the Social Adaptation Behavior and Self-efficiency of Disabled students)

  • 신준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21-31
    • /
    • 2019
  • 이 연구는 장애학생이 받는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가 사회적응행동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효과성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3월 6일부터 9월 5일까지 6개월 동안 7명의 장애학생으로 구성하여 사전조사와 개입까지 참여하였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2명의 장애학생이 끝까지 참여하지 못하여 사후검사에서는 5명의 장애학생이 참여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순회교육을 받으며 지역사회서비스를 받은 장애학생들은 사회적응행동 영역에서 사회인지, 대인관계, 사회적응, 직업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에 참여함으로서 자아효능감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자신의 과제능력에 대한 자신감 및 신뢰감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재택순회교육 교사, 지역사회복지서비스를 진행했던 연구자, 장애인복지관 종사자, 자원봉사자, 장애학생의 가족 등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하므로 장애학생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사회적응행동 프로그램이 다양화 되어야 함을 기초자료로 제시하였다.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지적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occupation-centered transition program on self-efficiency and social participation for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고운;오혜원;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441-449
    • /
    • 2017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실제 사회참여가 필요한 성인기 이후의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되기 위해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 44명을 대상으로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과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눠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Self-Efficacy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사회참여를 알아보기 위해 사회참여척도(K-Community Participation Indicators; K-CPI)를 통해 평가하였다. 연구의 결과 자기효능감의 경우 실험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자기효능감의 점수가 더 많이 증가하였고, 실험군에서는 점수의 변화가 유의하였으나(p<.05), 대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사회참여의 경우 실험군에서 더 많은 증가와 함께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는 18세 이상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작업 중심 전환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 및 사회참여의 향상에 효과를 가져다 준 것으로 사료된다.

CRT 알고리즘을 이용한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활동 영향요인 예측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of Social Activity for the Elderly in Korea using CRT Algorithm)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43-248
    • /
    • 2018
  • 노년기의 사회참여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회를 제공하여 삶의 만족감을 고취시키기 때문에 성공적인 노화를 달성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노년기 사회 활동의 관련요인과 사회 참여를 예측하는 통계적 분류 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대상은 2015년도 지역사회 건강조사를 완료한 60세 이상 노인 1,864명(남 829명, 여 1,035명)이었다. 결과 변수는 지난 1달 간 사회 활동 경험(있음, 없음)으로 정의하였다. 예측모형은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CRT) 알고리즘 기반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참여의 유의미한 분류 변수는 주관적 건강, 이웃과의 만남빈도, 친척과의 만남빈도, 배우자 동거여부이었고, 그 중에서도 가장 우선적으로 관여하는 예측 요인은 주관적 건강수준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도래하는 초고령사회의 성공적인 노화를 대비하기 위해서 노인의 사회 활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이 요구된다.

노인과 지역사회의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the Elderly and the Community on the Social Job Program for the Elderly)

  • 이경욱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623-640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과 지역사회 수요처가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및 이용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노인과 지역사회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C시의 4개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 노인과 수요처를 대상으로 포커스 집단면접과 개별면접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은 일자리사업에서 소득 확보 이상으로 건강한 생활방식으로의 전환을 의미있게 보았다. 둘째, 노인은 헌신적 노력을 통해 건강과 자신감, 수입, 가족의 인정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대한 유대감과 기여의 보람을 얻었다. 셋째, 노인은 일자리 사업을 혜택인 동시에 기여인 '유급봉사'로 규정하였다. 넷째, 수요처는 초기에는 노인의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있었으나 기대이상의 품질에 만족하였고, 노인을 활동적이고 유능한 존재로 인식하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노인일자리 사업은 노인 개인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복지에도 기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자리사업에서 노인의 능력과 기여의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연하장애 인식과 중재 필요성 (A Survey About Awareness and Necessity of Community Based Dysphagia Therapy of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 민경철;김은희;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1권2호
    • /
    • pp.39-51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연하재활 인식도, 교육 및 치료 경험과 현황을 설문을 통해 확인하여 지역사회 연하재활 중재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방법 : 경기도 내 일개 보건소에 내소하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지역사회 연하장애 인식, 교육, 치료에 관한 직접 설문을 진행한 후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총 89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하였다.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에 대한 인식도 및 교육, 치료 경험은 높지 않았으나, 중요성 및 참여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하는 교육 주제로는 구강 건강 및 관리, 씹기 및 삼킴, 구강운동법으로 다양하였으며, 추후 보건소에 연하재활 프로그램이 생기면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연하재활 교육 및 치료 참여가 어려운 이유는 정보 및 기회 부족을 꼽았다. 대부분의 연하장애 증상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연하재활은 일생에 걸친 주요 일상 활동인 먹기 및 삼킴 기능을 유지시키고 삶의 질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재활의 주요 영역이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연하재활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므로, 지역사회 노인을 포함한 지역사회 대상자들에게 연하재활에 관련된 정확한 인식 제공과 체계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 더불어 지역사회 노인들의 연하장애 증상 조기 발견과 중재 제공을 통해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작업치료사들의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지역사회연계 과학이슈 교육프로그램 운영의 교육적 함의에 대한 운영 교사 및 강사, 지역 전문가의 인식 탐색 (Perceptions of Teachers, Program Instructors, and Local Experts on Implementing Community-Based Socioscientific Issues Programs)

  • 김가형;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3-464
    • /
    • 2017
  • 본 연구는 과학이슈(유기동물, 미세먼지, 재활용)를 중심으로 학교와 지역사회를 연계하는 과학교육 프로그램(SSI-COMM) 운영을 담당한 교사, 외부 강사, 지역 전문가들의 SSI-COMM의 운영 경험을 통해 실천과 참여를 강조한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의 교육적 함의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한 학기 동안 16차시로 운영이 되었으며 학생들의 과학이슈에 대한 흥미와 지역사회로의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교와 학교 밖 활동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4명의 학교 교사, 4명의 외부 강사, 6명의 지역 전문가와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수업 관찰 일지 등도 추가적으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SSI-COMM 운영에 참여한 운영자들은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본 프로그램의 적용이 가져올 수 있는 교육적 함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했을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속 과학이슈에 대해 스스로의 관심이 높아지고,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운영해보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냈다. 교사의 경우에는 본 프로그램을 통해 현재 학교교육이 학생들의 잠재된 역량이 표출되기에 제한이 있음을 인지하였으며, 학생들이 직접 학교 밖 관련 기관을 직접 방문하고 지역 전문가와 만나 소통해보는 경험을 통해 학교 지식과 실천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인지하였다. 학교 밖 교육을 담당했던 외부 강사는 자유로운 학교 밖 활동이 학교 수업에서 소외되었던 학생들에게 뿌듯함과 자신감 그리고 성취감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본 프로그램 운영에 참여한 지역 전문가들 역시 본인의 직업과 관련된 분야에서 논의되는 과학이슈에 대해 학생들과 소통하는 경험을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교육 주체로서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볼 수 있었다. SSI-COMM은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 구성원들 간의 친밀한 네트워크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leep Quality on Activity Participation in the Elderly Living in Community)

  • 홍덕기;김소연;김다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의 수면의 질이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8월 21일부터 9월 29일까지 전라북도 소재 복지기관을 이용하는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한국판 수면의 질 척도(Korea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K)와 한국형 활동분류카드(Korean-Activity Card Sort: K-ACS)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 피어슨 상관관계와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수면의 질이 높은 그룹이 낮은 그룹보다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하게 높은 활동참여를 보였다(p<.001). 그리고 수면의 질은 수단적 활동, 사회 활동과 여가 활동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1). 또한 수면의 질이 수단적 활동(R2=.224), 사회 활동(R2=.142)과 여가 활동(R2=.227)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결론 :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활동참여 증진을 위해 수면의 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향후 수면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농촌지역사회 지도자들의 사회적 네트웍;서비스 및 용역제공의 정도에 따른 지역사회간 비교 분석 (The Social Networks of Rural Community Leaders;comparison study between more and less viable rural communities)

  • 이성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5권1호
    • /
    • pp.61-70
    • /
    • 1998
  • 이 연구는 인구 4,000에서 6,000명 가량의 농촌 지역사회에서의 서비스 및 용역의 제공기능의 활성화 정도와 관련하여 지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지역사회 지도자들간의 공식적이고 수평적인 연계와 지도자들과 지역사회 외부 조직들간의 연계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성(性), 교육정도, 연령, 수입, 지역사회 출신 여부, 그리고 지역사회에서의 거주기간을 포함하는 농촌 지역사회 지도자들의 개인적 특성은 지역사회 서비스 및 용역의 제공기능과 관련이 없었다. 그러나, 농촌 지역사회의 서비스 및 용역의 제공기능 활성화 정도는 그 지역사회의 지도자들이 지역사회 외부의 사람들 및 조직들과 연계를 맺고 있는 정도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농촌 지도자들의 공식적인 지역사회 개발 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능력이 지역사회 서비스 및 용역 제공기능의 활성화 정도와 정적으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