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사회 고혈압 관리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복합만성질환의 융합적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Factors associated with Multiple Chronic Diseases among One Metropolitan Citizens)

  • 박희왕;이무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75-82
    • /
    • 2019
  • 이 연구는 일개 광역시 지역의 2015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 응답자 4,59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만성질환의 대표질환인 고혈압, 당뇨, 복합만성질환자에 대한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 복합만성질환과 유의한 관련변수로 학력, 소득, 소금섭취 및 BMI 등이 이었으며, 고혈압은 학력, 소득, 소금섭취 등이었고, 당뇨는 연령, 학력, 음주빈도, BMI 등 이었다. 복합만성질환과 고혈압, 당뇨는 인구, 사회통계적 특성과 건강행태적 특성, 건강관리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있음을 재확인하였다. 추후 복합만성질환 및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질환의 예방관리프로그램 기획과 정책개발에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보건소의 혈압이 조절되는 고혈압 환자와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의 고혈압관련 지식 및 혈액성상 (A Comparative Study on Knowledge of Hypertension and Blood Parameters Between a Well-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and an Un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Commuting to a Public Health Center)

  • 조경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0호
    • /
    • pp.1287-1292
    • /
    • 2007
  • 본 연구는 보건소를 다니는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혈압 조절군(수축기혈압 <140 mmHg 그리고 확장기혈압 <90 mmHg, n=44)과 혈압비조절군(수축기 혈압 $\geq140mmHg$ 혹은 확장기 혈압 $\geq90mmHg$, n=41)으로 분류하여 고혈압 관리 상태, 고혈압관련 지식, 고혈압의 영양지식, 건강실천 행위, 혈액성상을 조사하여 지역사회에서의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기초 자료를 수집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고혈압 관리 상태, 건강행위 실천과 고혈압관련 지식에 관한 문제는 두군 간의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고혈압의 영양지식 점수는 혈압조절군이 혈압비조절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고혈압의 영양지식중 '혈압관리를 위 한 가장 쉬운 방법은 혈압약을 먹는 것이다'를 맞춘 혈압조절군은 97.7%였으며 이는 혈압비조절군의 82.9%보다 유의적으로 많이 맞추었다(p<0.05). 그리고 두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균형된 식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 연구대상자들의 혈액성상은 정상범위에 속하였으며 두군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혈압비조절군의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공복혈당이 혈압조절군보다 높은 편이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고혈압 환자에게 규칙적인 혈압약의 복용과 혈압검사, 고혈압의 지속적인 관리와 운동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였으며 특히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에 대한 더욱 집중적인 교육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저염식의 요령, 고섬유소 식사, 콜레스테롤 함유식품, 균형된 식사에 대한 강화된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되었다.

보건진료소 고혈압 관리사업의 실태 (A Study on Hypertension Management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 Posts)

  • 권명순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8권2호
    • /
    • pp.155-169
    • /
    • 200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고혈압 관리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의 보건진료소 1,849개소를 모집단으로 하여 비례층화표출법에 의해 700개소의 보건진료소를 선정하여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2003년 3월 13일부터 5월 13일까지 두 달간 실시하여 수집된 205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보건진료원의 평균 연령은 42세였고, 근무경력은 11년에서 20년 사이가 62%를 차지하였고 20년 이상의 근무경력자도 17.2%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간호대 3년제 졸업이 61.3%이고 대학원이상이 7.0%였다. 둘째, 조사대상지역의 생업별 지리적 특성은 농촌인 곳이 77.3%, 어촌이 14.7%이고, 행정적 관할인구는 501-1,000명이 44.3%였고, 실제적 관할인구는 501-1,000명이 53.3%였다. 65세 이상인구의 비율은 평균 26.7%이고, 담당하고 있는 리는 평균 4개이고, 마을건강원의 수는 평균 6명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셋째, 기타 고혈압 사업과 관련된 특성으로는 월평균 혈압측정자 비율은 평균 25.4%, 월평균 방문가구 중 고혈압 관리를 위해 방문하는 가구 비율은 평균 42.4%, 월평균 내소자 중에서 혈압으로 인해 보건진료소를 내소하는 비율은 평균 15.6%였다. 고혈압 사업을 하는데 있어서 운영협의회의 역할이 있다고 응답한 곳은 15.7%였고, 사업을 수행하는데 마을건강원이 도움된다고 응답한 곳이 52.7%이고 보건진료원 자신이 고혈압 사업을 수행하는데 능력이 충분하다고 응답한 곳이 76.2%였다. 보건지소와의 협조는 잘 된다고 한 곳이 43.4%, 안 된다고 한 곳이 56.7%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주민을 대상으로 한 고혈압환자 예방사업 중에서 보건교육과 관련된 항목 중 보건교육내용선정과 교육시간선정은 보건진료원의 판단 하에 결정하는 경우가 50% 이상이었고, 1년 동안 4회 이상의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곳이 56.7%이며, 교육방법은 강의와 시청각 매체를 이용하고 주로 사용하는 시청각 매체는 비디오라고 83.6%가 응답하였다. 교육자료는 보건소에서 배부 받아 사용하는 경우가 64.5%였고 교육 후에 평가를 실시하는 곳은 22.1%였다. 고혈압환자 조기발견은 96.1%가 보건진료소를 내소하는 경우에 혈압측정을 통해 발견하였고, 89.3%는 가정방문을 통해 환자를 발견, 49.1%는 지역사회 보건의료기관 및 일반자원으로부터 의뢰를 통해 환자를 발견하였다. 그 외에 집단 행사를 통해 환자를 발견하는 경우는 39.5%이고, 기존 자료를 통해 환자를 발견하는 경우는 35.7%였다. 다섯째, 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한 고혈압환자 등록 및 관리사업에서 고혈압 환자만을 위해 전용기록지를 사용하는 곳이 35.6%이고, 50% 이상이 타의료기관에서 관리받는 환자까지 보건진료소에 등록해서 관리하고 있었다. 고혈압관리수첩은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34.8%였고 고혈압환자 관리를 위해 전산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는 68.5%이고, 사용용도는 월보작성이나 환자치료 및 추구관리를 위해 사용한다고 60%이상이 응답하였고 10.6%는미치료자를색출하는데사용한다고응답하였다. 여섯째, 모든 의뢰환자에게 의뢰서를 발급하는 경우가 22%이고, 반드시 회신서를 확인해서 환자기록지에 보관하는 경우가 26.2%였다. 그외에 민간의료기관과의 공식적, 비공식적인 의뢰체계를 구축한 곳이 64.7%였다. 고혈압환자 치료 및 추구관리에서 투약관리와 혈압 상태관리는 95% 이상이 수행하고 있었으나 생활요법 중에서 스트레스나 비만관리, 식이관리는 약 7%정도가 전혀 확인을 안 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작년 한해 동안 고혈압환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경우가 약 30%였고, 고혈압 환자만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한 곳은 70.7%였다.

  • PDF

농촌 보건기관의 신축이 고혈압 환자 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building of Public Health Facilities on the Hypertension Control in the Rural Area)

  • 천성아;나백주;김철웅;이무식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3권1호
    • /
    • pp.37-45
    • /
    • 2008
  • 본 연구는 시설 신축 여부에 따른 환경요인이 고혈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1994년부터 약 10여년 동안 시행되어 온 농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에 의한 보건기관 신축 여부와 인구학적 개인 요인, 전문의 여부 등 의사 요인의 영향을 함께 고려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고혈압 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천성아, 나백주, 김철웅, 이무식 7는 주로 개인 특성에 대한 연구가 이미 수행되었지만 의사의 특성 요인 및 의료 조직 및 시설의 위치 등 환경 요인에 대한 분석은 미흡하였다.조사는 충청도 일부 지역 6개 시,군으로 농어촌의료서비스 개선사업 대상지역이다. 해당 지역의 6개 보건소 및 산하 59개 보건지소에 2005년 7월 1일부터 2006년 6월 30일까지 한번이라도 고혈압 진료를 위해 환자가 내원하거나 보건소 직원이 직접 방문하여 투약 혹은 상담을 한 내용이 기록된 자료 가운데 분석에 적합한 약 2만5천건의 고혈압 환자 진료 자료를 분석하였다.연구결과 전체적인 보건기관에 혈압수치 조절율은 53.9%이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혈압이 잘 조절되었으면 60대와 70대의 혈압 조절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또한 개선지역이 미개선 지역에 비해 혈압조절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전문의 기준으로 일반의에서 혈압조절율이 다변량 분석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1). 이 연구는 진료에 적합한 시설이 환자진료 과정에서 의료진의 만족도와 환자의 안정감을 향상시키고 이는 결국 환자관리의 순응도 등을 높이는데 기여하여 진료결과의 질적 향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이 지역사회 건강결과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화 하는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연구 기금본 연구는 한국개발연구원이 발주하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수행한 “농어촌의료서비스개선사업의 심층평가” 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하였습니다.감사의 말씀본 연구에 적극 협조해 주신 프로그램 개발업체 GST 이재익 사장과 민상익 연구원에게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지역사회 고혈압·당뇨병등록관리사업 참여를 통한 주민의 건강관리경험 (Health Management Experience of Residents through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Based Hypertension and Diabetes Registry Program)

  • 박미경;박형근;김현주;김옥진;공문연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18-528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healthcare experience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the Community-Based Hypertension and Diabetes Registry Program. Methods: This study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in depth interviews of fifteen participants, who eith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 hosted by the Training Center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for more than two years or participated in an intensive one-on-one education program.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re theme in healthcare of participants was 'Proactive healthcare with attention and systematic guidance of experts'. The positive reinforcement of staffs and the improvement of self-efficacy through effective close management were found to be positive influencing factors of participation. The theme consisted of the following categories: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ith positive expectations on healthcare', 'Interest in body and health', 'Vitality in life', 'Confidence in dealing with disease', 'Thankfulness for close care and attention', and 'Desire for continuous care'. Conclusion: When establishing policies on managing chronic diseases, a strategy that refl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required. It is necessary to build up emotional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close healthcare such as one-on-one customized training, and mutual cooperation with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local community.

지역사회 거주 고혈압 노인의 자가관리행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of the Elderly with Hypertension in the Local Community)

  • 홍정주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03-311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literacy level of, the hypertension knowledge of,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of,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elf-management behaviors of the hypertensive elderly population residing in the urban and rural area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7 by the trained research staff. For two months, a total of 160 subjects in urban and rural areas who had been taking antihypertensive medications conse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157 participants completed the survey. Results: The health literacy score of the hypertensive elderly subjects was at 48.38±8.13, the hypertension knowledge score at 8.90±2.01 points, and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score at 52.96±8.08. The factor that influenced the self-management behaviors of the hypertensive elderly subjects the most was the health literacy, followed by the residential area, and the hypertension knowledge. Conclusion: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hypertensiv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alth literacy, the area of residence and the hypertension knowledge of the elderly.

보건진료소 중심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 효과 (Effects of an Experiences Sharing Self-management Program for Hypertension and Diabetes Patients in Primary Public Health Center)

  • 임정자;윤소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31-341
    • /
    • 2020
  • 본 연구는 고혈압, 당뇨 환자를 대상으로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대상자들의 생리적 지수, 지식, 자가관리 이행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유사실험연구이다. 2018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G시 보건진료소에 등록된 고혈압, 당뇨병 환자 실험군 30명, 대조군 2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실험군은 12주간의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보건진료소의 서비스를 제공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x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test, Ranked ANCOVA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험공유 자가관리 프로그램 적용 후 고혈압환자의 수축기혈압(F=14.56, p<.001), 이완기혈압((F=7.05, p=.012), 지식(F=14.30, p=.001), 자가관리 이행도(F=29.73, p<.001)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당뇨병 환자의 지식(F=7.92, p=.010), 자가관리 이행도(F=4.54, p=.044)에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 고혈압 환자의 혈압감소와 고혈압, 당뇨병 환자의 지식향상, 자가관리 이행증진을 위해 경험공유를 활용한 자가관리 프로그램은 효과적이라 생각된다.

고혈압과 당뇨병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융합적인 영향 요인 (Convergence Effect Factors of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on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

  • 이현숙;홍성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23-129
    • /
    • 2017
  • 본 연구는 강원도 일 농촌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고혈압과 당뇨병이 우울증과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5월19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으며, 30세이상의 성인 1200명의 대상자 중 970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도구는 고혈압과 당뇨병 현황과 대상자들의 정신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 우울감과 자살생각 수준을 조사하였고, 건강생활 행태를 보기 위해 흡연과 운동여부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고혈압과 당뇨병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우울감과 자살의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p<0.001>). 또한 자살의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고혈압과 우울감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중심의 고혈압, 당뇨병 관리사업에 정신보건서비스를 반드시 포함시켜 포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되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강원도 맞춤형 방문건강관리 사업 효과 - 고혈압.당뇨 사례관리 중심 - (The Effects of Customized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in Gangwon-do - Focused on Hypertension and DM Clients -)

  • 양순옥;안수연;임은실;권명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88-10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ffects of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on hypertension and DM clients. Method: The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pplied to 127 hypertension and 116 DM clients. To evaluate the effects of visiting nursing service, biological indexes and self-care abilities were measured from April to July, 2007. Result: Biological indexes and self-care abilities were improved in the hypertension and DM clients who received visiting nursing service. Especially,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sugar showed a dramatic decrease. Conclusion: Home visiting health service by public health centers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nursing service in Gangwon-do. Therefore, case management is demanded not only for hypertension and DM but also for other chronic diseases.

  • PDF

지역사회 고혈압 관리 사업의 방향 재설정 (Analysis of the Current Hypertension Control Program in Public Health Centers)

  • 진영란;이인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85-396
    • /
    • 2004
  • Purpose: Hypertension has been a major cause of death in Korea since the 1970s, and has resulted in being a significant economic burden to the finances of national health ca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ade several efforts. but hypertension control programs in Korea are still non standardized and ineffective. We wan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hypertension control program in public health centers systematically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programs. Method: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cross sectional investigation.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02, we sent a set of questionnaires to all PHCs, and 179 centers responded (response rate = 74.0%).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ased on components of National health systems. Results: 1) Resources: The department responsible for hypertension control programs is the Department of Health Promotion. Health Education Center, Community Health Center, Citizen's Health Center, etc. The chief personnel of those departments are nurses. but 27.4% of PHCs have no full time nurse for hypertension management programs. PHCs had a lot of teaching materials (nine types per a PHC) and most of the recommended contents were included. But, periodical evaluation and revision were not being made, 2) Management: Nurses' (13.03 9.46 in 23 score) actions for hypertension control were not qualitative, but regular training and evaluation were seldom carried out. Need assessment (25.9%) and evaluation (about 10-20%) for the hypertension control program were indicated as low. 3) Programs: Programs focused on individuals rather than community or public, and 2nd prevention rather than 1st, 3rd prevention. Conclusion: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s to construct the infrastructure for hypertension control programs. Related scholars and committees should develop and declare standardized manuals for hypertension control and the management system, as w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