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사회 건강 프로그램

Search Result 62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ects of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Health Promotion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지역사회 재가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한 한방간호중재 프로그램의 적용효과)

  • Cho, Young Mi;Ryu, Mi Hye;Jeoung, Da Un;Sok, So Hyun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2
    • /
    • pp.394-404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applied effects of an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the physical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Yangseng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Methods: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participants were total 79 elderly (experimental: n=39, control: n=40) who aged 65 or over with normal cognitive status and available communication in D community, Seoul, South Korea. They were recruited by convenient sampling, and assigned randomly. The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composed Pal-Dan-Gum as Qi-gong therapy and Kyunglak exercise. This program consisted of 20 sessions total for 10 weeks. Measures were CMI(Cornell Medical Index), Instrumental AD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DS(Geriatric Depression Scale), geriatric life satisfaction scale, and Yangseng scal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21.0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scores of physical health status (t=10.295, p<.001), ADL (t=7.571, p<.001), depression (t=-15.434, p<.001), life satisfaction (t=21.257, p<.001), and Yangseng (t=9.527, p<.001) between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s: Orient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physical health status, ADL,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Yangseang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This intervention program can be implied for health promotion of elderly living in the community.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 Community Based Participatory Research leader using the BeHaS Program for Elderly Living Alone (독거노인을 위한 베하스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역사회기반 참여연구 리더 경험에 관한 융합적 연구)

  • Kim, Jong Im;Kim, Sun Ae;Kim, Ji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
    • /
    • pp.293-303
    • /
    • 2021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nature of the experiences of elderly living alone who participated in the BeHaS program using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6 elderly living alone with metabolic syndrome participated as participants, and they played a role as a leader when conducting the 12 weeks BeHaS program as a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study. Data was collected using focus group interview. As a result, Six categories were derived; 'the burden of becoming a research participant', 'knowing a new program', 'getting into the BeHaS program', 'having a new leadership', 'knowing about metabolic syndrome health care', 'Feeling worth through a changed self'. Therefore,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BeHaS program for metabolic syndrome through a community participation-based study targeti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and program settlement strategies in the Community of the BeHaS program in the future.

Effect of obesity management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 health risk reduction in pre-menopausal women (비만관리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비만도와 건강위험 감소 효과)

  • 구선영;김상연;김인혜;박민정;장유경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119-119
    • /
    • 2003
  • 최근 체형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국내에서는 체중조절이 사회적인 문제로 다루어질 만큼 커다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체중조절을 시도하는 사람들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저열량식단과 특수영양식품 등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비만관리프로그램과 영양교육프로그램이 등장하면서 이들 프로그램의 체중감량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져 오고 있다. (중략)

  • PDF

공중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 분석(2002-2003넌)-뉴스, 건강관련 정보프로그램, 드라마

  • 문현경;장영주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086-1087
    • /
    • 2003
  • 오늘날 급변하는 사회경제적 환경 때문에 현대인의 영양과 건강에 대한 관심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대중매체에서도 영양과 건강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특히 방송매체 중 공중파 TV 프로그램에서의 정보들은 쉽게 접할 수 있어 올바른 영양 및 건강생활을 위한 정보나 실천지침을 국민들에게 전달되는 통로서의 긍정적인 부분도 있으나 시간상 제작환경상 등의 제약으로 인해 왜곡된 정보를 전달하는 부정적인 부분도 있다. 이에 건강관련 식품영양정보 모니터링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와 문제점을 파악한 후 유형별로 분류,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방송매체중 공중파 TV프로그램 중 정확한 보도와 정보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그램과 드라마 중 가족드라마를 선정하여 건강관련 식품영양정보의 양적 질적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건강관련 식품영양 정보들에 대한 건수, 시간수, 주제, 취재원, 적절성과 부적절성 평가 및 부적절성의 요인들을 양적 질적으로 평가하여 연도별 비교분석을 하였다. 2002년도 4월 30일부터 2003년 9월 30일까지 모니터링 전문 교육을 마친 식품영양학 전공 모니터원이 조사기간 중 담당 프로그램을 모니터하여 각 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양과 질을 조사하여 SPSS 통계팩키지를 사용하여 빈도 및 평균분석을 하였다. 총 모니터건수는 15,226건이었으며, 이중 총 건강관련정보건수는 5,623건으로 36.9%를, 식품영양관련 정보는 4,848건으로 31.8%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 건강관련 정보 대비 식품영양정보건수의 비율은 86.2%로 높게 나타났다. 뉴스프로그램의 총 건강관련 정보수는 17.9%에서 16.1%, 식품영양정보수의 비율은 6.6%에서 3.6%로 낮아졌으며, 건강정보프로그램의 총 건강관련 정보수는 51.5% 에서 94.6%, 식품영양정보수의 비율은 32.4%에서 57.4%로 높게 나타났다. 드라마의 식생활관련 장면 방송시간비율은 20.8%에서 17.2%로 낮게 나타났다. 뉴스프로그램에서 건강관련정보가 가장 많이 보도되는 달은 2002년 10월, 2003년 9월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정보의 주제로는 뉴스프로그램은 질환, 건강정보프로그램은 음식, 어린이교육프로그램은 식품, 노인정보프로그램은 생활습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보의 취재원으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인터뷰가 73.7%로 가장 많았다. 식품영양정보의 부적절한 평가율은 뉴스는 49.3%에서 72.2%로, 건강정보프로그램은 54.0%에서 67.8%로 2002년보다 2003년도에 높게 나타났으나, 드라마는 63.2%에서 16.2%로 낮게 나타났으며, 어린이교육프로그램 40.0%, 노인정보프로그램 17.9%인 것으로 나타났다. 드라마의 식생활 장면에서 음식의 양이 부적절한 경우는 28.6%에서 15.8%로 낮아졌으나, 음주장면의 경우 10.7%에서 11.5%로 증가하였음은 앞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흡연 장면의 경우 드라마상의 흡연장면 방송금지 선언의 여파로 1.6%에서 0.2%로 감소하였다. 뉴스 및 정보프로그램에서는 부적절한 평가를 받은 정보들은 적정섭취량이나 실생활에 활용할 실천방안 등에 대한 제시가 없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전문용어에 대한 설명부족, 영양가 비교기준이 다르거나, 식품 등의 효과에 대한 내용이 과장된 경우가 많았다. 드라마의 경우 음주, 커피, 야식 등 불필요한 식사장면이 많이 나오거나 음식의 양이 사람수에 비해 많다라는 평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TV 프로그램에서 다루는 건강관련 정보기사가 차지하는 비율과 이중 식품영양정보기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나 건강관련정보기사의 질적인 평가에서는 부적절한 평가를 받은 비율도 함께 높아지고 있어 이의 개선이 시급히 요구된다.

  • PDF

Commerci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상업성 비만관리프로그램의 현황)

  • 임경숙
    • Proceedings of the KSCN Conference
    • /
    • 2003.05a
    • /
    • pp.82-95
    • /
    • 2003
  • 전세계적으로 비만의 유병율이 빠르게 증가하고 각종 만성질환과의 관련성이 밝혀짐에 따라 세계보건기구는 1996년 비만을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서 인류의 건강을 침해할 주요 보건문제로 제안하였다. 우리나라의 비만 인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99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약 26%가 비만이며, 또 매년 약 3%씩 증가하는 추세라고 한다. (중략)

  • PDF

Factors Influencing Health Risk Behaviors of the Chronic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지역사회 만성정신질환자의 건강위험행위 영향요인)

  • Gang, Moon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
    • /
    • pp.381-388
    • /
    • 2013
  • The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 risk behavior of the chronic mental illness in the community. A cross-sectional study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sample was 255 chronic mentally ill persons from D city and C province and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on August-september, 2011 and analyzed using the SPSS/WIN 20. Stress event, insight and depress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ealth risk behavior.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gender (men), diagnosis (schizophrenia), stress event, insight and depression together explained 24% of variance in health risk behavior. Findings of this study allow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health risk behavior of the chronic mentally ill persons i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designed for this population should focus on these factors for effective behavioral modification.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of Community Residents (일개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영향 요인)

  • Jung, Eun-Sook;Choi, Suk-Kyong;Baek, Young-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11
    • /
    • pp.231-239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the quality of life of 509 community residents in a city in Gyeonggi Province. The study collected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the incidence of depression, mental health status and quality of life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the data was analyzed used the SPSS20.0 statistical program. First, quality of life-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revealed statistically relevant differences regarding gender, age, academic background,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and stress status. Second, there were relevant differences among detailed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mental health status, overall mental health, social maladjustment and anxiety/depression, and these revealed correlations. Thir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quality of life were age, stress levels, anxiety/depression of mental health level and the explanation of antecedent variables stood at 47.8%.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the fundamental data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lead to successful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Lo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Rural Elders use Primary Health Care Post's Services :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보건진료소를 이용하는 농촌노인의 상실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 Bong, Eun Ju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5 no.1
    • /
    • pp.1-12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los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Rural Elders use Primary Health Care Post's Servic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descriptive survey design. Participants were 345 rural elders use Primary Health Care Post's Services in Jeollanam-do.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to 31, 2017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d Sobel test with SPSS 21.0.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ense of lo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t was found that physical loss is very high and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subjective health status on suicidal ideation. Also,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 of loss and suicidal ideation of Rural Elders. Addtionally, The results show that depression plays a key role in suicidal ideation of Rural Elders. Conclusions: Based on the present findings,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be developed to decrease depression, with additional consideration towards sense of loss, specially physical loss, in order to prevent suicidal ideation among Rural Elders use Primary Health Care Post's Services.

Effect of Back-Strengthening Exercise Program in Rural Community-Dwelling Women with Mild Low Back Pain (허리통증이 있는 농촌지역 여성들에 대한 허리 강화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Baek, Sora;Kim, Boram;Kim, Gowun;Park, Hee-won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6 no.2
    • /
    • pp.53-66
    • /
    • 2021
  • 목적: 농촌 지역사회 기반의 허리 근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이 운동과 허리 건강에 대한 개인의 태도 및 믿음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강원도 지역 네 개의 농촌 마을에서 가벼운 허리 통증이 있는 79명의 여성 자원자(42-76세)들을 운동군(n=40)과 대조군(n=39)으로 마을단위로 배정하였다. 운동군에서는 지역사회 기반의 허리강화 운동 프로그램(주당 3회, 8주간)이 시행되었고 대조군에는 일반적인 건강 관리에 대한 강의가 제공되었다. 등척성 허리 신전 근력과 허리 통증 관련 장애, 운동에 대한 태도, 허리 질환에 대한 위협인지, 운동의 자기 효능감을 중재전과 중재후 1, 2개월째 측정하였다. 결과: 운동군에서 2개월후 허리 신전근력은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허리 통증 관련 장애도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운동에 대한 태도와 허리 질환에 대한 위협 인지는 운동군에서 증가하였으나 대조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운동의 자기효능감은 양군에서 같이 증가하였으나 운동군에서 그 정도가 더 뚜렷했다. 결론: 농촌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허리 근력 강화 운동 프로그램은 허리 통증으로 인한 장애를 감소시켰고 운동의 효과에 대한 태도와 믿음을 변화시켰다.

담배연기 없는 맑은 화성 만들기 사업 평가

  • Lee, Hye-Gyeong;An, Mi-Yeon;Lee, Mi-Yeon;Go, Ji-Yeon;Lee, Ji-Seon;Go, Seung-Deok;Park, Nam-Su;O, Eu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Promo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7-87
    • /
    • 2009
  • 2008년부터 화성시에서는 담배연기 없는 맑은 화성 만들기 사업에 착수하였다. 이는 흡연으로 인한 사망 및 질환 유병의 감소, 간접흡연에의 노출, 감소 개인행위 통제를 위한 역량 강화,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및 지원적 환경의 조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포괄적 흡연통제프로그램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각기 적합한 환경을 위한 수행전략과 실행계획을 수립하였다 ; 담배연기 없는 환경조성, 홍보 및 캠페인, 금연클리닉을 통한 교육, 상담의 금연프로그램 운영, 모니터링과 평가, 사업관리를 위한 지침과 교육 등. 2008년 1년 동안 총 1714명이 금연클리닉을 방문하였으며, 이중 90%는 금연시도 4주간, 57%는 6개월 동안 금연상태를 유지하였다. 6개월 동안 금연상태를 유지한 대상 중 67%는 50세 이하 연령이었으며, 6개월 동안 금연상태를 유지한 대상 중 28%에게는 행동수정요법을 적용하였다. 금연환경 조성을 위해 지역사회내 건물과 시설을 모니터링하였으며, 경로당, 유치원, 초등학교, 문화재 등과 같은 특정 환경에 초점을 맞춘 교육과 관리를 수행하였다. 또한 2009년 사업추진방향설정을 위해 지역사회주민들 대상으로 하는 금연정책에 대한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한 도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모든 지역사회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학생, 가족, 학교, 지역사회와 정부간의 담배 없는 화성을 만들기 위한 협력적 관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나은 사업추진을 위해 현상황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적절한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