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방제실행계획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5 seconds

Strategies for Advancement of response management system on marine pollution (해양오염 방제체제의 선진화 방안)

  • Kim Dae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3 no.1
    • /
    • pp.3-24
    • /
    • 2000
  • The provability of major oil spill acidents around Korean coast is very high due to increase of sea traffic and decrease of quality of ships crews and increase of the old-ship. The Strategies of establishment of a advanced response management system against this mass pollution incident are as follows;. 1. Development of Regional Contingency Plan, which is scientifically illuminated, in order to implement the National Contingency Plan efficiently. 2. Early completion of a national response capability twenty thousand tons. 3. To strengthen training and exorcise specialized in the field of marine pollution response. 4.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response cooperation among neighbor countries by promoting the NOWPAP tasks etc. The response policy in the 21th century should be concentrated to promote a practicle response capability through response operation scientifically specialized and internationalized by establishing the advanced response system early.

  • PDF

Development of guideline to use dispersants (유처리제 사용해역 선정기준개발)

  • Lee Moon-Jin;Sung Hong-Gun;Kang Chang-G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9 no.1
    • /
    • pp.29-35
    • /
    • 2006
  • A guideline for decision of dispersants use zone was developed at the twelve local sea areas covering the whole Korean sea. In this study, the water depths and damage to sensitive resources were considered as the conditions of the decision of whether or not to use dispersants.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decision, three kinds of zones were specified as following; 1) dispersants usable zone, 2) dispersants use approvable zone, 3) dispersants use restrictive zone. As the result, dispersants use zone at the twelve local sea areas covering the whole Korean sea are suggested.

  • PDF

Role of Government i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Development of Bangladesh (방글라데시의 친환경농업개발과 정부의 역할)

  • Islam, Md. Mafizul;Hwang, Han-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7 no.4
    • /
    • pp.25-38
    • /
    • 2011
  • 본 연구는 방글라데시의 친환경농업 실태와 농업인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친환경농업 개발에 대한 정부의 역할과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방글라데시 탕가일 지역의 농업인을 대상으로 유기농가 100가구와 일반농가 100가구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인구 과밀의 방글라데시 정부는 식량안보를 위하여 지력 저하 및 환경악화를 방지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지속 가능한 농업개발을 위하여 통합해충관리(IPM), 통합작물 관리(ICM)를 비롯하여 토양의 비옥도 개선, 페로몬트랩이나 자연 천적을 이용한 해충방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농업인들의 의견 조사에 따르면 친환경농업에 대한 정부의 역할은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나 정책이나 관련 프로그램은 아직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농가인 경우 극히 소수 농가만이 친환경농업을 실행하고 있는데, 이는 관련기술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유기농 비료 등의 자재 부족이 친환경농업을 실행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라 지적하고 있다. 일반농가의 39%는 유기농업 의사를 보이고 있지만 마케팅시설의 부족과 농사 실패에 대한 두려움 등을 유기농으로 전환하지 못하는 주요 이유로 들고 있다. 일반농가의 일부(17%)만이 정부의 농업교육 프로그램임인 통합해충관리(IPM)과정을 이수하고 있다. 정부의 유기농 정책은 거의 전무하며 NGO들의 지원에 의하여 꾸준하게 진행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농업인들은 통합해충관리(IPM), 유기농 퇴비, 페로몬트랩이나 자연 천적 등 매우 다양한 농민교육프로그램들을 정부 주도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며 친환경농업정책을 보다 명확하게 규정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비교적 젊고 교육수준이 높은 소규모 농업인들이 유기농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유기농의 평균 농지규모는 0.246ha, 유기농 평균 경력은 7.63년, 일반농가대비 농가수입은 11.4% 높게 나타났고 비교적 소농들이 높은 수익률을 보이고 있다. 소비자의 신뢰, 마케팅시설, 생산자단체나 조직의 부족 등이 유기농가들의 가장 큰 애로점이 되고 있고, 유기농산품의 표준화를 위하여 정부의 인증제도와 인증기관 설립이 필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유기농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주도하에 마케팅을 비롯하여 교육, 수출 및 각종 장려책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