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문제해결

Search Result 1,943,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Deriving a Regional-based Direction for a Library Living Lab to Solve Local Community Problems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도서관 리빙랩에 관한 지역기반 방향성 도출 연구 - 충주시의 지역사회 문제를 중심으로 -)

  • Noh, Younghee;Baek, Mi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2 no.2
    • /
    • pp.5-24
    • /
    • 2021
  • This study intended to look at the Library Living Lab to solve community problems. To this end, this study investigated cases outside of the country and investigated various aspects of Living Lab's application to solving community problems. In addi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residents of Chungju to find areas where libraries can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in the community and investigate the need. As a result, residents generally responded that "Library Living Lab," in which libraries participate in living lab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is needed to solve problems in the community. It shows that the range of services and activities that the library can provide can be expanded to the community and can be an innovative measure for library services that can solve almost all problems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Library Living Lab.

Development of Regional Problem Solv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ased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역량 기반 교육과정 설계를 기반으로)

  • Choi, Yong Seok;Part, Jong Seok;Baek, Bo Hyu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5
    • /
    • pp.187-203
    • /
    • 2022
  • As th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reach a serious level, our society is realizing the need to foster young talents who discover opportunities in local issues throug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reate social values through creative challenges. Howev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are generally focused on commerciality, so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to solve regional problems are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ommunity problem-solving entrepreneurship curriculum. In this study, a competency based curriculum model was applied to develop the curriculum, and regional problem-solving entrepreneurship competencies were derived through expert advice from a total of 10 people. In the process, the Delphi methodology was additionally use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errors in the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3 regional problem-solving entrepreneurship competencies were confirmed, and knowledge(K) - skill(S) - attitude(A) by competency consisted of 5, 9, and 9, respectively. By applying this to Dunham's problem-solving six-step model, modular learning support measures were developed in the order of phase 1(problem discovery), phase 2(problem analysis), phase 3(plan), phase 4(measure), and phase 5(evalu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tegrated theory and practice by developing specific entrepreneurship curriculum and learning support measures based on the theoretical model devised in social welfare. In addition, it has implications in that it developed a regional problem-solving entrepreneurship competency model based on expert advice and proposed a specific curriculum based on this.

Local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Welfare: Focusing on 'Gwangju Greenway' as a Case (지역사회복지관점에서 로컬거버넌스 특성 분석: 광주 푸른길 사례를 중심으로)

  • Shim, Mi-Se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9
    • /
    • pp.94-104
    • /
    • 2016
  • Community recently pays attention to participation, network, and partnership of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stakeholders for the purpose of solving community problems and issues. This is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ance as an institutional setting to solve the problems which communities face wit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ttempt an analysis of local governanc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welfare. To do that, it especially focuses on 'Gwangju Greenway' as a case. Participation of and communications among local residents strengthen their community's capabilities to deal with problems and seek better solutions. Above all, networking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local residen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at the process of planning and policy-making in the area of community welfare. 'Gwangju Greenway' is a good example of community welfare in that local residents actively seek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nd realize common good within their local community through the improvement of social interaction and solidarity among local residents, thus resulting in good quality of life.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 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 Lee, Yeong-Ju;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137-150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들의 수학 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 수학적 문제 해결력, 추론 능력간의 상호 관계를 구명하고, 이러한 관계들은 아동의 지역적인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정의적 특성의 하위 요인 중 수학적 문제 해결력과 귀납적 추론 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가장 높은 요인은 수학교과에 대한 자아개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역적 추론 능력에 대한 설명력은 학습 습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_그리고 귀납적 추론 능력이 연역적 추론 능력 보다 수학적 문제 해결력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학적 문제 해결력과 귀납적 추론 능력은 지역별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나 연역적 추론 능력은 지역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An Integration of Local Search and Constraint Programming for Solving Constraint Satisfaction Optimization Problems (제약 만족 최적화 문제의 해결을 위한 지역 탐색과 제약 프로그래밍의 결합)

  • Hwang, Jun-Ha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5
    • /
    • pp.39-47
    • /
    • 2010
  • Constraint satisfaction optimization problem is a kind of optimization problem involving cost minimization as well as complex constraints. Local search and constraint programming respectively have been used for solving such problems. In this paper, I propose a method to integrate local search and constraint programming to improve search performance. Basically, local search is used to solve the given problem.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feasible neighbor satisfying all the constraints when we use only local search. Therefore, I introduced constraint programming as a tool for neighbor generation. Through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weighted N-Queens problems, I confirmed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significantly improve search performance.

A Hybrid Genetic Algorithm for Solving Nonlinear Optimization Problems (비선형 최적화문제 해결을 위한 혼합유전알고리즘)

  • 윤영수;문치웅;이상용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3 no.2
    • /
    • pp.11-2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최적화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혼합유전알고리즘(Hybrid Genetic Algorthm : HGA)을 개발하였다. HGA는 기존 유전알고리즘의 적용에 있어 문제점으로 지적된 정밀도의 적용문제와 벌금함수의 사용을 배제하였으며 지역적최적점으로 빠르게 수렴하는 기존의 지역적 탐색법과 유전알고리즘 적용이후 수렴된 해 주변에 대한 정밀탐색법을 함께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를 세가지의 비선형 최적화 문제 적용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HGA의 유효성을 보였다.

  • PDF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 혁신을 보는 다양한 시선

  • Song, W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49-749
    • /
    • 2017
  • 최근 들어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 활동이 활성화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추진하는 국민생활연구사업, 그리고 혁신본부에서 기획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다부처 공동 기획사업 등이 추진되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문제 해결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있기 때문에 수월한 과학기술지식의 창출, 산업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과는 목표와 추진체제가 다르다.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은 사회혁신과 과학기술을 결합하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새로운 유형의 혁신활동이 등장하면서 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각 논의들을 정리하고 향후 사회문제 해결형 과학기술혁신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여기서는 크게 3가지 분류로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보는 관점을 정리한다. 첫 번째는 전문가 중심의 관점(Innovation for people)이다. 이는 전문가가 분석과 논의를 통해 사회문제를 정의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는 접근이다. 많은 과학기술전문가들이 가지고 있는 틀로서 선형모델에 입각한 논의이다. 때문에 혁신의 선형모델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 피드백의 부족, 현장에 대한 이해 부족 등과 같은 단점이 있다. 두 번째는 시민사회 중심의 관점(Innovation by people)이다. 이는 현장의 문제 상황에 있는 시민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혁신활동을 주도해야 한다는 관점이다. 이 관점은 일반 시민을 과학기술혁신의 주체로 호명하고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참여시키면서 주류 과학기술의 미흡한 현장 지역 지향성을 비판하고 있다. 그러나 혁신의 논의가 지역에 한정되면서 규모 확대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장기 지속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난점이 있다. 세 번째는 전문가와 시민의 협업 관점(Innovation with people)이다. 이는 시민성과 전문성의 결합을 통해 민주주의를 고양하고, 현장 지식과 전문 지식의 융합을 지향하는 접근이다. 또 리빙랩과 같은 추진 체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협업을 지원하는 인프라와 지원체제가 부족하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관점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국지적 문제해결과 국가적 문제 해결의 연계, 실험의 중요성 강조, 전문가와 최종 사용자 및 시민의 실질적 협업을 위한 기반 구축, 시스템 전환 프레임의 도입을 정책 방향으로 제시했다.

  • PDF

Community Based Nursing Service As An Alternative Background Forces and Current Practice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 그 배경과 실태에 관한 고찰)

  • Hong Yeo-Shin;Rhee Seon-Ja
    • The Korean Nurse
    • /
    • v.19 no.1 s.104
    • /
    • pp.68-84
    • /
    • 1980
  • 간호사업은 1970년대 후반부터 이제까지의 병원중심-환자중심의 간호사업을 수행해 오다가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건강간호사업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세계보건기구에서도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인 일차건강관리사업을 중점적으로 지원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전환의 배경과 실태에 관하여 문헌고찰을 하여 앞으로 국민건강사업 체계에 대한 논의에 참고자료가 되게 하고자 본 논문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어진 결과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고도의 과학문명의 발달과 물질적 풍요로 특징짓는 현대사회속에서도 인류의 건강문제는 영원히 충족되지 못한 상태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으로 60년대 중반까지는 의료지식 및 기계공업의 발달과 이를 뒷받침할 재정적 지원속에 세계적으로 치료의학분야에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건강을 태생의 권리라고 규정하여 여러나라에서 사회보장제대로써 의료시해의 균점을 위한 각가지 방도를 마련하기에 이르렀다. 그리하여 60년대말기부터 70년대로 넘어오면서 치료의학의 발달만으로는 의료수가가 앙등되어 모든 국민이 이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는 모든 국민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요인별로 따져보면 복잡하여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적, 유전적 제요인과도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기 때문에 신체적인 질병의 치료만이 지역사회 건강문제를 해결하는 길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차보건의료사업에 중점을 두어 노력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개선방안이라는 의견이 경험적으로 이론적으로 뒷받침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사조는 지역사회 건강문제가 복잡한 것과 같이 그 접근방법에 있어서도 여러보건요원이 팀이 되어 임해야만 하며 그중에서도 간호팀의 활동이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고 여러 전문가들은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간호사업의 방향은 지역 사회에 기반을 둔 간호사업이 실시되어야만 국민건강문제 해결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고찰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thods of Convergence Major Based Learning (CMBL) for University Students (지역 연계 융합전공수행 기반 대학 교육 방안 연구)

  • Hyun-ju Kim;Jinyoung Lee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49-5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nvergence major-based learning (CMBL), which selects performance tasks related to local problems at hand and solves them based on convergence major performance, and builds a suitabl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e developed a CMBL class with a team project-type class that finds and solves practical problems in the region to cultivate overall problem-solving capabilities for convergence major competencies. Additionally, for this class, the instructor played a role as a bridgehead to explore and connect the community's sites, and students visited connected institutions in person to identify problems they need based on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the subjects through field observation and qualitative interviews, and developed a CMBL clas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necessary to directly solve them by using their major capabilities to the fullest. Therefore, we intend to present the future-oriented direction of university convergence education required by the community by forming a group of students with various major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olve realistic problems in the community.

Convergence study about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pplying Project-Based Learning on Community dental hygiene Practice Education (지역사회치위생학 교육의 프로젝트기반학습을 적용한 의사소통능력과 문제해결능력의 향상 융합연구)

  • Choi, Moon Si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6
    • /
    • pp.67-7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by applying project - based instruction in the community dental hygienic subject.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30 students'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using the same questionnaire before and after experiencing project learn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 undergraduate students and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project-based learning method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f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ability,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self-directed active learning method such as Project-based learning for community dental hygiene majo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