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난방 시스템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냉난방 시스템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40호
    • /
    • pp.84-95
    • /
    • 1993
  • 지역난방은 한 곳에 집중된 대규모 열원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일정한 지역내 아파트, 빌딩, 공공 시설 등에 난방 및 냉방용으로 공급하는 도시 기반시설이다. 또한 지역난방은 개별난방이나 중앙난방의 간헐 난방방식과는 달리 24 시간 연속난방을 하므로써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온도를 유지시켜 주며, 노후된 보일러 교체비 및 유지 보수가 들지 않고, 난방순환펌프 등 각종 부대시설의 축소로 동력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기존 보일러실을 주민복지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연료탱크와 보조난방기구 등이 필요 없어 재해 발생의 우려가 없다. 본지에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제공한 자료와 월간 설비기술에 게재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게재한다.

  • PDF

환경산업(環境産業)의 경제성평가 모델: 난방시스템을 중심(中心)으로

  • 김종달;조전혁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6권1호
    • /
    • pp.129-152
    • /
    • 1996
  • 본 연구는 다양한 변수에 따라 달라지는 환경산업의 경제성을 비교평가히는 모델을 개발한 것이다. 최근 환경산업으로 부각되고 있는 지역난방과 개별가스난방사업을 사례로 모델을 실증적으로 적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열병합발전과 보조보일러 및 쓰레기 소각로로 구성된 지역난방시스템과 소각로와 개별 가스보일러로 구성된 개별난방시스템을 각각 최적화하고 최저비용을 구하여 비교한 것이다. 분석대상에 쓰레기소각로을 첨가함으로써 매립에서 소각으로 바뀌는 쓰레기정책을 반영하였으나 소각로 규모는 사전에 열공급과는 무관하게 결정되므로 다른 시스템과 연계하여 최적화 하지 않고 600톤/일의 규모로 정하여 분석하였다. 최적화하는 경우는 훨씬 규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경제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난방방식에 따른 규모별, 열원별, 지역별(기후별), 사용연료별로 경제성과 환경성을 비교평가함으로써 변수의 변화에 따른 합리적인 난방방식 및 사용연료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환경배출량도 동시에 비교하였으나 시나리오 간에 크게 차이가 나지않아 비교에는 포함시키지 않았다. 이 모델은 난방사업 뿐만 아니라 갈등이 예상되는 다른 환경산업들을 평가하는데도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GAUSS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있다.

  • PDF

지역난방 공급온도의 변화가 열병합발전 에너지소비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erature of District Heating System related to Energy Consumption of Combined Heat & Power)

  • 정찬교
    • 에너지공학
    • /
    • 제3권2호
    • /
    • pp.179-186
    • /
    • 1994
  • 본 연구는 지역난방용 열병합발전시스템의 열에너지 이용을 최대화하므로 1차에너지의 소비량을 감소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한 한가지 방안으로 열추종 운전범위내에서 온도에 따른 지역난방 운전방법을 분석검토하였다. 운전가능한 지역난방 공급 및 회수온도에 따른 지역난방 운전방법을 분석검토하기 위하여 수치해석 프로그램 CHPSIM을 사용하여 열병합발전시스템의 열적상태와 열추가소비량을 계산하였다. 지역난방의 온도수준을 120/$65^{\circ}C$에서 95/4$0^{\circ}C$로 저하시킴으로서 년간 열추가 소비량을 24.7% 감소시킬 수 있으며, 90/4$0^{\circ}C$로 저하시키면 29.6%의 절약이 가능하다.

  • PDF

지역난방용 지중매설 배관망 네트워크 열-유체 동적 거동 모델링 (Dynamic modeling of the hydraulic-thermal behavior of the buried pipe network for district heating)

  • 이정빈;이준영;김래현;신치범
    • 에너지공학
    • /
    • 제21권2호
    • /
    • pp.144-151
    • /
    • 2012
  • 지역난방시스템이란 열에너지를 생산하고 만들어진 열에너지를 넓은 지역에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지역난방시스템은 국부난방보다 더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생산 된 열은 단열 배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공급된다. 지역난방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전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운전 조건에서 배관망 네트워크의 유량, 압력 및 온도 분포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난방용 지중매설 배관망 네트워크에서의 열-유체 동적거동을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하였다. 수학적 모델은 물질, 운동량 및 에너지 수지식을 사용하였다. 모델링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강남지역 지역난방시스템에서 측정한 결과와 모델링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에너지절감을 위한 선택, 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

  • 고경석
    • ESCO지
    • /
    • 통권37호
    • /
    • pp.36-39
    • /
    • 2005
  • 인천 관교 풍림아파트는 지은지 15년이 된 아파트다. 이 아파트는 난방방식을 교체하기 위해 지역난방, 개별난방, 소형열병합발전을 고민하다 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을 선택했다. 열 보다는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터라 전기요금을 줄이는 소형열병합발전시스템을 설치한 것. 10월 27일 준공식을 마치고 본격적인 시운전에 들어간 풍림 아파트를 찾았다.

  • PDF

공급온도 저하에 따른 지역난방 배관망 기초비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incipal cost of district heating transportation system related to low supply temperature)

  • 김석순;정찬교;최기련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82-87
    • /
    • 1995
  • 국내 지역난방의 역사는 서구의 역사와 비교하여 짧기 때문에 아직 기술 도입의 의존도가 높고 설계에 있어서도 서구의 설계기준을 그대로 도입하여 지역난방 시스템을 운전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시스템설계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열원시설과 수용가 시설사이에서 열을 운송하는 열운송시설, 즉 배관망(이후 배관망으로 칭한다.)에서의 공급 및 회수온도가 유럽의 대류난방방식에 따라 설계되어 높게 설정되어 있다. 공급 및 회수온도가 높다는 것은 열운송시 열손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정 배관망 모델을 선정하여 공급 및 회수온도를 낮추어 운전할 때 발생되는 비용변화를 기초로 공급 및 회수온도 저하운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배관망에서 공급 및 회수온도를 동일 구배로 낮추는 것이 년간 총 비용을 감소시키므로, 운전온도의 저하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계통한계가격 예측모델에 근거한 통합 지역난방 시스템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Integrated District Heating System (IDHS) Based on the Forecasting Model for System Marginal Prices (SMP))

  • 이기준;김래현;여영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3호
    • /
    • pp.479-4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공급자와 소비자, 열 저장시설과 연계네트워크로 구성된 통합 지역난방시스템의 경제성을 평가하고 최적 운전조건을 규명하였다. 최적화에 있어서는 혼합 정수선형 계획법이 이용되었으며 1주일 동안의 열 요구량을 만족함과 동시에 통합 지역난방 시스템의 운전제한 조건에 따른 전체 운영비용을 목적함수로 하였다. 지역난방 네트워크 연결망을 열 병합 발전이 포함되지 않은 구역과 이를 포함하는 구역으로 나누어 최적화를 진행함으로써 열 병합 발전에 의한 비용절감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계통한계가격 예측모델에 의해 예측된 계통한계가격과 실제 계통한계가격을 각각 적용하여 최적화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모사 결과 개발된 최적화 운영시스템의 도입에 의해 통합 지역난방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성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난방 수용가측 효율관리를 위한 IoT 기반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oT based System for District Heating Customer-side Energy Efficiency Management)

  • 윤정미;이상학;안창구;엄재식
    • 에너지공학
    • /
    • 제26권3호
    • /
    • pp.113-122
    • /
    • 2017
  • 우리나라 집단에너지 사업의 주요축인 지역난방 시스템은 경제성 있는 열에너지 공급시스템으로 국민편익과 안전에 많은 기여를 해 왔다. 하지만 관리주체의 불명확함, 전문기술인력 부족 등으로 인해 공동주택 수용가측의 열효율저하, 요금 불공정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리사각지대인 지역난방 수용가측 설비의 효율 및 고장관리를 위해 필요한 모니터링 포인트를 제안하고, 이를 표준화 하기 위한 표준참조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IoT 센서 기술을 적용하여 실시간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역난방 수용가시설에 대한 서비스 질 개선과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한 기술적 방법론을 제안한다.

온풍난방기의 배기열을 이용한 지중난방용 온수시스템 개발 (Underground hot water heating system development using exhaust gas heat in the hot air heater)

  • 김영중;이건중;신정웅;유영선;장진택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9년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0-103
    • /
    • 1999
  • 온풍난방은 우리 나라 대부분의 온실난방지역에서 가장 많이 채택하고 있는 온실난방방법으로 간주되고 있다. 온풍난방은 기본적으로 화석연료를 연소열로 변환시켜 온실난방에 사용하는 방법으로 온수난방, 태양열난방 보다 열효율이 높다. 가장 보편적 온실난방열원으로는 경유나 보일러등유를 연소실에서 연소하여 열교환기를 거친 후 온풍기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송풍팬으로 강제적으로 온실 내로 온풍을 불어넣는다. (중략)

  • PDF

지역난방설비를 위한 IoT 기반 원격 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he IoT-Based Remote Management System for District Heating Facilities)

  • 김준혁;이상학;김병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698-701
    • /
    • 2017
  • 현재 우리나라의 130만여 가구는 지역난방 열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지역난방 열에너지 시스템은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공급하는 1차측과 이를 개별 가구에 공급하는 2차측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이지 않고, 전문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2차측의 관리 및 유지보수 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IoT 기반 열에너지 원격 관리시스템의 구축에 대하여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