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기술혁신

검색결과 612건 처리시간 0.022초

청정생산기술 방향과 지역에코혁신 추진 전략 (The Future of Cleaner Production Technologies and Regional Eco-Innovation Strategy)

  • 김재연;김남규
    • 청정기술
    • /
    • 제22권4호
    • /
    • pp.316-325
    • /
    • 2016
  • 국내에 청정생산기술에 대한 개념이 도입된지 16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청정생산기술에 대한 정의와 의미가 중소기업들에 확산이 되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청정생산기술에 대한 개념과 구분을 살펴보고, 환경기술과 녹색기술과의 관계 그리고 국내외에서 구분하고 있는 기술 종류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 중소기업들에 청정생산기술이 확산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정부에서 지원하고 있는 지역에코혁신사업을 확대하는 정책 제안을 하였다.

The Coupling Analysis of Innovation Input-Innovation Output-Innovation Environment-The Case of China

  • Hang, Li;Sangwook,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호
    • /
    • pp.151-159
    • /
    • 2023
  • 디지털 시대에 혁신은 정보기술발전의 핵심이다. 본문은 혁신 시스템 내 지역혁신능력의 차이를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커플링조정모델을 이용하여 중국의 31개 성, 시, 자치구의 혁신시스템(혁신투입, 혁신산출, 혁신환경)에 대해 커플링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의 전반적인 커플링 조정 수준은 낮다. 그리고 양호한 커플링과 높은 수준의 커플링 단계에 있는 지역의 수는 많지 않다. 둘째, 커플링의 전반적인 추세는 상승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커플링 단계에 있는 지역은 대부분이 지역경제발전 수준이 높은 동부 연해안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본문의 연구 결과는 혁신 능력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할 수 있으며, ICT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혁신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중소기업 기술혁신이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A Review of Studies on the Influence of SME's Technological Innovation o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 전봉경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4-95
    • /
    • 2019
  •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역량은 국가 및 지역경제에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할 뿐 아니라, 중소기업 혁신활동이 경제와 산업에 미친 공헌(예를 들면, 일자리 창출 및 국내총생산 기여도) 역시 학계와 정책입안자들에게 상대적으로 과소평가 받고 있음을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 인식으로는 중소기업보다 규모가 큰 대기업에서 혁신활동이 더 활발하게 발생할거라는 편견을 갖고 있지만, 몇몇 사례연구를 살펴본 결과 실질적으로는 중소기업이 혁신활동에 더욱 유리한 조직을 갖췄을 뿐 아니라 첨단산업 집적지 형성에도 상당한 기여를 해왔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 고찰과 함께 지난 시간 중소기업의 혁신활동이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친 공헌을 살펴보고, 그러한 성과들을 바탕으로 정책적,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스웨덴의 지역혁신체제 및 클러스터 육성정책

  • 박상철
    • 기술혁신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5-214
    • /
    • 2003
  • Sweden's regional innovation system is built mainly on innovative clusters, several of them - in automobile, steel, new materials,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and bioscience - world-class. Most successful clusters were developed at local bases imbued with local history. In fact, a cluster's competitiveness is intimately related to its closeness of fit with its local environment. Geographically dispersed clusters in Sweden - some national, others local, and some local but deemed members of a national cluster as well - have already created many new competitive products and services. In 2001, Sweden has eight national and nine regional clusters, and envisioned eleven national and five regional clusters more. The experience of Swedish clusters indicate several elements that determine the ability of cluster policies to promote and strengthen regional economic growth. Cluster policies require strong public sector support, particularly in the form of providing basic national conditions. Regional cluster policies place new demands on national and regional industrial policies. All policies must be closely interwoven without compromising their primary allegiance to their respective areas.

  • PDF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 육성전략: 지역혁신 거버넌스의 대안 모색 (Promotion Strategies for Daegu-Kyungbuk Mobile Cluster: Searching for Alternative Regional Innovation Governance)

  • 이정협;김형주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77-493
    • /
    • 200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역혁신 거버넌스를 진단하고 구조적 문제점을 규명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지역혁신 거버넌스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삼성전자이라는 대기업 주도로 형성된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거버넌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의 거버넌스 개념을 지식생산 및 지식활용 시스템을 연계하는 정책시스템, 그리고 이를 작동시키는 제도적 조건으로 정의하였다. 클러스터의 거버넌스 측정은 세계은행의 "Social Capital Assessment Tool (SOCAT)"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는 삼성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 간의 일대일 관계가 지배적인 생산네트워크, 분산된 연구개발 네트워크 그리고 다중 허브의 정책 네트워크의 특징을 보였다. 대부분의 정책기관들은 지역기업들과의 네트워크가 활성화되어 있지 못하며, 정책기관들 간의 상호작용도 활발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기업들 특히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은 지역의 문제해결을 위해 협력하고 공동체의 목표를 공유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주요 지역의 프로젝트 리더들에 대한 신뢰의 수준은 높지 않았다. 대구경북 모바일 클러스터의 경우 요소기술을 갖고 유사한 기술이나 제품의 개발로 결합될 수 있는 여러 개발업체간의 연대와 제휴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경상북도 등 지방행정주체들이 모바일상용화센터 등 다양한 혁신기관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기술 및 제품개발 협력체가 프로젝트 단위로 지속적으로 형성되고 해체되고 재형성될 수 있는 환경과 협력의 틀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 PDF

지역균형발전 정책 추진에 따른 갈등 해소 방안

  • 강희조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10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지역균형발전의 중요성과 지역균형발전의 목표 및 정책방안을 알아보고 지역균형 발전정책 추진에 따른 갈등해소의 장애요인과 갈등 해소방안에서 장애요인을 분석하면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전략방향을 모색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중심으로의 관점의 전환과 새로운 발전전략 설계와 실행의 지속적 추진이 필요하다 갈등해소의 장애요인으로 권위주의 문화의 전통, 당위론적 사고방식, 교육방식에 있어 우열의식이나 흑백논리 사고와 민주적 훈련 및 자율의식의 결어 되어 있다. 이러한 장애 요인을 해소하기위해 지방경영의 효율화를 위하여 지방 재정확충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제안이 필요하고 지자체간의 협의회 및 중앙정부의 분쟁조정위원회의 법적 구속력과 권한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규제완화와 함께 지자체간 경쟁을 유발하고 합리적인 수익자 부담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안임을 알 수 있다.

  • PDF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있어서 국책 연구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덕연구단지와 유럽 경험의 비교 연구- (The Study on the Roles of National Laboratories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s -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aedok Science Park in Korea and Some European Experiences)

  • 강현수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8-123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국책 연구기관이 지역 발전과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덕연구단지의 경험을 지역혁신체제 논의가 출발한 유럽의 경험과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발전을 위한 국책 연구기관의 역할 및 잠재력과 그 장애 요소, 그리고 정책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유럽의 경우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역 정책의 방향이 과학단지 같은 물리적 하부구조 조성에서 기술이전 촉진과 혁신을 유발할 수 있는 지역환경 조성 쪽으로 전환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 사례 연구 결과, 이곳 국책 연구기관들이 최근 벤처기업의 창업과 산-연 네트워크 활성화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여전히 유럽, 특히 독일의 지역화된 연구기관에 비해서 지역과의 양적, 질적 협력 수준이 미흡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수도권에 연구 역량이 편중된 우리나라에서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 향후 비수도권 국책 연구기관이 지역혁신체제의 거점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 PDF

혁신 시스템 관점에서의 바이오에너지기술 개발과 확산 (The Development and Diffusion of Bioenergy Technologies in the Systems Perspective)

  • 정미애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37.2-137.2
    • /
    • 2011
  • 본 연구는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성장을 혁신 시스템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성을 논하고, 시스템 관점에서의 이론적 분석 틀을 제공하고자 한다.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의한 지역 및 국가 에너지 시스템 전환을 기술 혁신의 과정으로 이해할 때 혁신 시스템 관점은 기술 개발로부터 선별 및 확산에 이르기까지 관계되는 다양한 주체와 이들 간의 네트워크, 제도 관계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도록 한다. 특히 혁신 시스템에 대한 동학적 접근은 시스템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변화의 동인을 파악하는데 '시스템 기능'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면 복잡한 바이오에너지 성장 과정에 대한 시기별 접근과 기술 사례별 비교 분석이 용이해진다. 본 연구는 혁신 시스템 관점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 정리 및 바이오에너지 분야의 성장에 대한 기존 시스템 관점의 연구들을 검토하여 바이오에너지분야의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도출하고 우리나라 바이오에너지 분야에 적합한 시스템 분석틀을 제시한다.

  • PDF

벤처기업의 흡수능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조절효과 연구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of Venture Firm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 최종열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호
    • /
    • pp.125-134
    • /
    • 2018
  •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대한 흡수능력의 조절효과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의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활동 성과와 기업가정신, 혁신역량, 외부협력 및 흡수능력의 관계를 porcess macro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흡수능력은 기업가정신이 혁신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기업가정신, 혁신역량, 외부협력이 기술혁신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차적으로 기업가정신은 혁신역량, 외부협력 및 기술혁신성과에, 혁신역량은 외부협력과 기술혁신성과에, 그리고 외부협력 또한 기술혁신성과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기술혁신성과간의 관계에 있어서 혁신역량과 외부협력은 각각 긍정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벤처기업의 개방형 혁신과정에서 흡수능력의 역할을 매개 및 조절효과를 종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흡수능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국내 벤처기업 경영자들의 실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대구.경북 모바일산업의 기술혁신 특성 및 혁신역량 제고방안 (Characteristic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Methods for Innovation Capability in Daegu-Gyeongbuk's Mobile Industry)

  • 전지혜;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29
    • /
    • 2014
  • 본 연구는 대구 경북 모바일산업을 대상으로 기술혁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연구개발 인력 및 연구개발비 그리고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가치사슬 부문별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 경쟁력 제고를 위한 모바일산업의 혁신역량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대구 경북 모바일산업의 연구개발 인력 지원은 모바일 기기 및 콘텐츠 부문에 집중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 부문의 일부 대기업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업들이 규모가 작은 영세 중소업체이기 때문에 연구개발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연구개발 네트워크는 모든 가치사슬 부문에서 기업 내부 중심의 폐쇄적인 특성을 보이며, 대학 및 연구 지원기관과의 연계는 미약하다. 따라서 대구 경북 모바일산업의 혁신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프라, 플랫폼 및 임베디드 SW 그리고 모바일 콘텐츠 부문과 같이 열악한 가치사슬 부문을 중심으로 선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더불어 모든 가치사슬 부문에 있어서는 산 학 연 관이 혁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강화할 수 있는 지속적인 만남의 장(場)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