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Roles of National Laboratories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s -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aedok Science Park in Korea and Some European Experiences

지역혁신체제 구축에 있어서 국책 연구기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덕연구단지와 유럽 경험의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sis the roles of national laboratories in the context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d the contribution to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case of Taedok Science Park in Korea. It also tries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aedok Science Park and some European experiences. Recently the role of national laboratories as key innovation agents for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is emphasized in European countries. In the similar context, national laboratories have explicit missions to assist in the formations of new firms and to support exis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ir localities. It is found that these functions are largely present and become more important in Taedok, but that the linkages between national laboratories and local firms are still weaker than some European countries. This study concludes that national laboratories in Korea should reinforce the industry-research linkages with local economic activities in the region to stimulate cooperation activities.

이 연구의 목적은 국책 연구기관이 지역 발전과 지역혁신체제의 구축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덕연구단지의 경험을 지역혁신체제 논의가 출발한 유럽의 경험과 비교 분석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 발전을 위한 국책 연구기관의 역할 및 잠재력과 그 장애 요소, 그리고 정책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유럽의 경우 1990년대 중반 이후 지역 정책의 방향이 과학단지 같은 물리적 하부구조 조성에서 기술이전 촉진과 혁신을 유발할 수 있는 지역환경 조성 쪽으로 전환되고 있다. 대덕연구단지 사례 연구 결과, 이곳 국책 연구기관들이 최근 벤처기업의 창업과 산-연 네트워크 활성화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여전히 유럽, 특히 독일의 지역화된 연구기관에 비해서 지역과의 양적, 질적 협력 수준이 미흡하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수도권에 연구 역량이 편중된 우리나라에서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 향후 비수도권 국책 연구기관이 지역혁신체제의 거점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