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개발

검색결과 13,016건 처리시간 0.044초

등대해양문화공간 스토리텔링에 따른 실질적 적용과 활성화방안 연구

  • 김성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43-447
    • /
    • 2013
  • 홍보관, 영상관, 야외공연장 등 체험하며 소통할 수 있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등대해양문화공간의 활성화방안 연구

  • 홍관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8-331
    • /
    • 2012
  • 등대 시설을 홍보관, 전망대, 소공원 등을 갖춘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며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미래지향적인 관광동굴 관리방안 - 관광동굴 관리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

  • 홍충렬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7-73
    • /
    • 2001
  • 자연동굴은 다른 자연관광자원과 비교하여 볼 때 특수성과 자원가치면에서 매우 훌륭한 관광자원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자연학습장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근래 지역주민의 소득증대 뿐만 아니라 지역홍보수단으로 많은 동굴이 개발되어 관광객을 유치하거나 개발여부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관련 지역단체 역시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이고 있다. (중략)

  • PDF

관광산업 관련정도와 관광개발 인식수준, 관광영향 지각, 그리고, 관광정책참여도의도의 영향관계 (Relationship among Level of Performance of Residents to Tourism, Perception of Tourism Effects, and Intension of Citizen Participation)

  • 이계희;지봉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16-42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관광산업 관련성과 관광개발 인식이 관광영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른 관광영향 지각이 지역주민의 관광정책 참여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관계를 규명하였다. 지역주민의 관광산업 관련정도는 지역축제 영향지각 중에서 경제적 영향과 사회문화적 영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영향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관광개발수준에 대한 지각정도는 지역축제 영향지각 각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의 크기는 환경적 영향이 가장 크고, 관광정책 참여의도, 사회문화적 영향, 경제적 영향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지각 요인과 관광정책 참여의도 간의 관계는 사회문화적 요인만이 관광정책 참여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개발의 관광영향과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관광개발의 영향 지각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철도역세권 복합개발과 지역 활성화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rea Activation and Complex Development of Railway Station Area)

  • 최수범;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94-603
    • /
    • 2016
  • 본 연구는 철도역세권을 단순한 개발과 계획적 측면에서만 접근하지 않고, 실제 개발에 따른 도입 기능 및 프로그램이 지역의 발전과 주민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궁극적으로 철도역세권 복합화를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역세권 주변 실거주민들을 대상으로 철도역세권 복합개발이 지역 활성화에 미치는 요소와 구조를 PLS 구조방정식을 활용해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는 마케팅 지원, 환승시스템 지원, 설계 및 디자인 지원, 복합용도 개발 지원, 법 제도 개선 등의 소프트웨어 요소들과 교통 기능, 정보교류 기능, 상업업무 기능, 주거 기능, 어메니티 기능 등의 하드웨어 요소들이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주민 삶의 질 측면에서는 하드웨어적 요소가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소프트웨어적 요소나 네트워크적 요소는 유효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네트워크 요소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주민 삶의 질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관한 정책적 보완이 필요하다.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 시 토양중점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Identifying Soil Management Area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Development Projects)

  • 김종성;김충기;유근제;황상일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457-469
    • /
    • 2017
  • 개발사업 예정지역에서 토양의 본래 기능을 최대한 보전하기 위해 토양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는 지역(토양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발사업 환경영향평가시 어떻게 토양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예비연구를 수행하였다. 토양 기능중 토양침식조절기능과 토양탄소저장기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InVEST 모형을 활용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였고 중첩분석을 통해 2개의 개발사업 사례에 대해 토양중점관리지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방법론은 고해상도의 정밀한 분석, 다른 평가항목들과의 중첩분석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좀 더 완벽한 평가를 위해 토양의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평가방법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도시재생지역 개발 잠재력 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 Potential at the Urban Regeneration Area)

  • 김상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837-2843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의 입장에서 도시재생지역의 올바른 개발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연구의 틀과 방법론을 개발하여 경기도 도시재생지역의 개발 잠재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개발잠재력 분석을 위해 기존문헌에서 검토되었던 지표를 선출하였으며, 중복성, 유사성이 있는 지표를 관련전문가 토의 및 검증을 통해 4개 클러스터, 12개 분석지표를 도출하였다. 분석지표간 상호작용을 고려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NP 모델을 통해 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중요도 분석결과 클러스터에서는 주거환경이 0.3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지이용 0.306, 기반시설 0.197, 지역경제 0.185 순으로 분석되었다. 분석지표에서는 인구밀도가 0.115, 대중교통 접근성 0.103, 건축물 용도 0.098 순으로 나타났다. 지표 중요도를 경기도 도시재생 사례지역에 적용한 결과 기반시설과 토지이용보다는 주거환경이 열악하고 지역경제가 취약한 지역의 개발 잠재력이 높게 나타났다.

지역사회 대비능력을 고려한 홍수피해저감지수 개발 (Development of FDRRI Based Community Preparedness Index)

  • 양승만;최선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803-803
    • /
    • 2012
  • 최근 선진국에서는 지역사회의 지역특성, 대비능력 등을 토대로 맞춤형 재난 대비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지방정부는 지역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구체적 적응정책의 방향성 제시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 역시 재해위험에 대한 각 지역의 방재능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단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의 인구, 재정력, 시설, 인력, 자원 확보 및 계획 등 정량적 정보만을 종합하여 위험도를 진단하고 있어 재해위험에 대한 지역민과 지역사회가 느끼는 취약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 취약성 개념 틀을 정의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피해저감지수(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FDRRI)를 개발하였다. FDRRI는 지형적 기상적 요인을 고려한 홍수노출지표, 사회적요인과 과거피해 요인을 고려한 민감도지표, 지역안전도 피해저감능력지수를 고려한 피해저감능력지표, 지역민의 대비능력을 나타내는 지역사회대비능력 지표를 결합하여 평가된다. 특히, 지역사회대비능력지표는 지역민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의 역량을 정량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FDRRI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지형적 특성, 홍수피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낙동강 유역의 경북 봉화, 김천, 경남 고성, 김해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FDRRI를 산정하였으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FDRRI는 홍수위험에 대한 지역의 저감능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별 맞춤형 저감대책 및 지역사회가 참여한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주민의 부정적 관광개발 영향 지각이 지역만족과 개발태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Residents' Negative Tourism Development Impact Perceptions on Their Local Satisfaction and Attitudes toward Development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 정성문;강신겸
    • 지역과문화
    • /
    • 제7권1호
    • /
    • pp.127-152
    • /
    • 2020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개발을 위한 관리의 수단으로 사회적 자본의 역할에 주목 하였다. 관광개발이 관광목적지에서 사는 주민들의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견인하는 중요한 장치라는 점을 규명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과잉관광 현상이 나타나는 전라남도 여수시를 원도심과 비원도심으로 구분하여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지각이 주민 지역만족과 관광개발 태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 결과 관광개발이 집중된 원도심이 상대적으로 개발에서 벗어난 비원도심보다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적 자본이 관광개발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거나 또는 지속가능한 발전과 성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관리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민관협치 활성화 기본조례. 지역사회 동호회, 마을 총회 등과 같은 사회적 자본의 특성들이 반영된 다양한 정책들을 마련하여 활성화 시켜야 함을 제안하였다.

베트남의 지역사회 산림자원 관리 상황 (Situation of Community Forest Resource Management in Vietnam)

  • 부이테훙;뉴웬쾅중;김성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1권1호
    • /
    • pp.209-216
    • /
    • 2004
  • 베트남은 국토의 3/4이 고산지대이며 1천만ha의 산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비효율적인 산림관리로 인해 산림의 규모와 질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국가기관이 관리하는 대규모산림과 개인소유의 산림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는 반면, 지역사회가 관리하는 고산지대의 산림은 제대로 관리되지 뭇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베트남 지역사회 산림관리의 실제와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지역사회에 의한 산림관리는 새로운 제도라기 보다는 이미 지역주민에 의해 개발되어진 전통적인 관리방식으로 1955년 토지개혁 이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지역사회산림은 지역에 적합한 지식과 제도에 따라 관리됨으로 산림의 보호와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었음에도 여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물리적, 제도적 여건의 많은 변화속에서 지역사회 산림의 회복과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