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개발격차

Search Result 14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gional Disparities and Balanced Development Strategy in North Korea (북한의 지역격차와 균형개발전략)

  • 이재하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5 no.1
    • /
    • pp.77-93
    • /
    • 2000
  • 본 연구는 북한의 지역격차를 분석하고,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 대한 개발전략으로서, 북한의 경제발전을 위해 확대.설치가 불가피한 경제특구와 연계하여 지역균형개발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북한의 지역간 인구성장 분석에 의하면, 북한은 지역균형개발정책에도 불구하고, 종주도시 평양과 여타 지역간에 극심한 지역격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경제특구는 낙후된 지역 즉, 평양을 제외한 여타 지역에 고르게 입지하는 전략이 요구된다는 점을 가조하였다. 그리고 경제특구는 북한의 보유자원 관점에서 노동집약적인 가공공업형 경제특구와 관광형 경제특구로 나누어 추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지 후보지로는 신의주.남포.해주.청진.김책.함흥.원산 등의 지구는 가공공업형 경제특구로, 금강산.백두산.묘향산 등의 지구는 관광형 경제특구로 적합하다고 제안하였다.

  • PDF

Reconsidering the Goal and Strategy of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우리나라 지역개발정책에 대한 재고찰)

  • Kim, Kwang-ho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32 no.1
    • /
    • pp.69-96
    • /
    • 2010
  • This paper aims to put forward some policy suggestions regarding the goal and strategies of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 Korea. We first survey past regional policies and examine the regional disparity in Korea. It is found using the OECD data that although population and income are highly concentrated, inequalities of income and other living standards do not seem as problematic as to call for strong government intervention. Moreover, recent development in the new economic geography implies that the 'capital vs. non-capital area' framework that has been shaping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reconsidered. The main message of this paper is that it is not desirable for the central government to disperse agglomeration to enhance regional equity and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be responsible for regional development. Therefore enhancing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the regional government is essential.

  • PDF

홍콩-광동 지역경제 통합과정 -개방적 접경경제공간의 형성과 의미-

  • 이원호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32
    • /
    • 2002
  • 일반적으로 경제개혁과정은 생산활동을 위한 공간구조의 재편을 초래한다. 중국의 지역경제의 구조변화와 관련된 일반적인 이해는 사회주의 개발전략에 의한 남북간의 공간구조의 격차가 경제개혁이후 공간적인 불균등발전으로 인하여 동서간 공간구조의 격차구조로 발전하고 있다라는 점이다. 이러한 공간적인 격차구조와 아울러 중국의 경제개혁을 구성하는 중요한 공간적 요인은 바로 지역경제의 등장이다.(중략)

  • PDF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tra-regional Disparities by using Market Concentration Ratio - Focusing on the Chungcheongbuk-do region - (시장집중도를 이용한 바이오헬스산업의 지역개발격차 분석 및 시사점 -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 )

  • Ye-Jin Cho;Sang-Eun Choi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9 no.2
    • /
    • pp.19-30
    • /
    • 2023
  • This study analyzed intra-regional disparities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 of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And the range of study is 11 cities in Chungcheongbuk-do provinc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a-regional disparities by using concentration ratio(CR) and Herfindahl-Hirschman Index. After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we intend to study the intra-regional disparities using these two indexes. Target is the bio-health industry that all povinces in South Korea want to develop competitively. In addition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 bio-health industry into four detailed fields(pharmaceuticals, medical devices, health functional foods, and cosmetics). These fields a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ity and county competitiveness-enhancing industry.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e intra-regional disparities index based on sales, the number of workers, and R&D expenses by detailed fiel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engths according to the detailed fields differed by reg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establishing differentiated industri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each region in the future.

The Analysis of e-Learning Gap among Regions in the Context of Adult Learning (성인 인적자원개발 영역에서의 지역 간 교육격차 및 e-Learning 인식 수준 연구)

  • Cho, Jae-Jeong;Lee, Sook-You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1 no.2
    • /
    • pp.265-27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al gap among regions in the filed of adult learning including vocational education and life long-learning. The study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local government's recognition and infrastructure of e-Learning which is suggested as one of the solutions on the regional gap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quality. This study took 12 HRD(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s funded and operated by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except Seoul and Kyong-Gi classified by th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s a result,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s had perception on the difference and gap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quality among regions in the area of adult education. Especially, the perception was relatively more serious on quality than quantity.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e large gap among regions on the area of opening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the quality of teachers and tutors, the effectiveness and outcomes of educational programs. Thirdly, they perceived more serious educational gap on face-to-face classes rather than e-Learning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methodology. It also revealed that the local governments had relatively better foundations on physical systems than other infrastructures and resources such as human-ware, culture-ware and soft-ware(contents, programs etc.). It was recommended to consider these finding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future educational policies to solve the problem of regional gap on education.

A Study on Education Factors to Solve Digital Divide for Marriage Immigrants (결혼이주여성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교육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Young-A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675-678
    • /
    • 2011
  • 이 논문은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인 결혼이주여성들이 사회통합을 하는데 필요한 교육정책에 관한 논의인데, 그 중에서 한국사회를 구성하는 기존 구성원들과의 정보리터러시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에 주목하였다. 지금까지 다문화 가정의 결혼이주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정들은 대부분 언어격차의 해소를 위한 것이었다. 기본적으로 그들에게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격차의 해소도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의 활용능력과 정보의 습득이 곧 여러 가지 삶의 질이나 다양한 기회의 획득에 중요하게 작용하므로 결혼이주여성들이 빠른 사회통합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정보리터러시 격차해소를 위한 교육정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정보교육의 현황을 일부지역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정보리터러시 기준에 기초하여 정보교육의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및 세부항목을 추출하여 정보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정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PDF

Theoretical Approaches to Regional Transformation: Path Dependence Theory and Regional Resilience Concept (경로의존론과 지역회복력 개념: 지역격차에 대한 새로운 이론적 접근)

  • Shin, Dong-H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0 no.1
    • /
    • pp.70-83
    • /
    • 2017
  • Traditionally, economic growth has been uneven over the space. It has also been true for the recovery from social and economic crisis in old industrial areas of the advanced economies. Even if many of such old industrial areas were seriously affected by de-industrialization, some areas have been showing progress, while others have not been so. While interpreting this phenomenon used to be a key issue in economics, main stream liberal economic theorists' explanation was uneven distribution of economic resources, such as raw materials, labour and money. However, some revolutionary economic theorists have brought in the concept of "history" in explaining the phenomenon. Path dependence theorists, for example, interpretate the emergence of different growth paths with the concept of historical accidents. This contrasts to the recent argument of the group of scholars suggesting the concept of "regional resilience," who argue that uneven growth and different growth paths are originated from different regional resilience. This paper introduces the backgrounds, characteristics and utilities of the two theories: path dependence theory and the concept of regional resilience.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and Sharing Experiences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새마을 운동 경험의 공유)

  • Kim, Sung-Soo;Kwon, Do-Ha;Lee, Chae-Shik;Choe, Yeong-Cha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2 no.2
    • /
    • pp.271-286
    • /
    • 2005
  • 한국은 제1, 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으로 산업화와 경제 발전을 이룩하면서 심각해진 도 ${\cdot}$ 농격차의 해소를 위해 1970년대 초부터 농촌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새마을 운동을 전개하였다. 새마을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한 잘살기 운동으로 1970년 당시 대통령이 농촌개발에 대한 강한 욕구와 집념을 천명하면서 농촌 새마을운동에서 시작되었다. 자원이 부족하고 농촌의 사정은 더욱 열악하여 국민의 70%를 차지하는 농민의 상당수가 끼니를 걱정해야 했으며, 도 ${\cdot}$ 농간의 격차는 벌어져 도시로 인구가 몰려들고 사회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농촌지역사회의 개발 없이는 나라의 발전도 안정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농촌 개발을 위한 환경개선과 소득증대 사업에 주력했던 새마을 운동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정부의 관심과 지원도 있었지만, 새마을 교육을 이수한 새마을 지도자들, 그 지도자들과 함께 근면, 자조, 협동을 실천했던 마을 사람들,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 노력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농촌에서 시작된 새마을운동이 도시의 직장, 공장 새마을운동으로 번져 범국민적 운동으로 나라 근대화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살펴보고 국제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의 농촌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새마을운동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제언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