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nalysis of e-Learning Gap among Regions in the Context of Adult Learning

성인 인적자원개발 영역에서의 지역 간 교육격차 및 e-Learning 인식 수준 연구

  • Received : 2010.06.16
  • Accepted : 2010.06.2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al gap among regions in the filed of adult learning including vocational education and life long-learning. The study also tried to figure out the local government's recognition and infrastructure of e-Learning which is suggested as one of the solutions on the regional gap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quality. This study took 12 HRD(Human Resources Development) centers funded and operated by the Korean Local Governments except Seoul and Kyong-Gi classified by the metropolitan areas in Korea. As a result,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local governments had perception on the difference and gap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quality among regions in the area of adult education. Especially, the perception was relatively more serious on quality than quantity. Secondly, the result showed the large gap among regions on the area of opening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the quality of teachers and tutors, the effectiveness and outcomes of educational programs. Thirdly, they perceived more serious educational gap on face-to-face classes rather than e-Learning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methodology. It also revealed that the local governments had relatively better foundations on physical systems than other infrastructures and resources such as human-ware, culture-ware and soft-ware(contents, programs etc.). It was recommended to consider these findings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future educational policies to solve the problem of regional gap on edu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단위의 인적자원개발 정책 추진 주체인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성인교육 부문의 지역 교육격차 실태에 대한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이 연구에서 지역 교육격차 해소의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는 e-Learning과 관련하여 지역별로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 구축 실태와 활용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 대비 수도권으로 분류되는 서울 경기를 제외한 전체 12개의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인적자원개발센터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자치단체에서는 교육의 양적, 질적 측면에서 지역 간 교육 격차를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적 측면보다 질적 측면에서 지역 격차가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 간 교육 프로그램 개설 수, 교 강사의 전문성, 교육훈련 효과성 측면의 차이가 매우 크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집합교육이 e-Learning 보다 지역 간, 지역 내 교육격차가 더 크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e-Learning의 주요 영역별 기반 구축 수준은 하드웨어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나머지 영역은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혜, 김미숙, 이영, 남기곤, 김동춘,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분야 대책 수립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2. 고형일, 지역혁신을 위한 평생학습도시 지원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3. 고형일, 이혜영, 김지현, 교육격차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4. 교육인적자원부, 사회통합 및 동반성장 기반구축을 위한 2006년 주요업무계획, 대통령업무보고, 2006.
  5. 권두승, 성인학습 지도방법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서울, 2000.
  6. 김경근, 김민호, 손준종, 이두휴, 사회통합과 균형발전을 위한 교육혁신과제와 전략에 관한 연구, 대통령자문교육혁신위원회, 2005.
  7. 김두정, 신동욱, 학교 교육의 격차 해소 방안으로서의 정보 통신 기술, 교육과정연구, 17권, 2호, pp. 313-337, 1999.
  8. 노동부, 평생직업능력개발 5개년 계획(안), 07'11. 내부검토자료, 2006a.
  9. 노동부, 노동시장 양극화 완화와 노사관계 합리화를 위한 2006년도 업무추진계획, 2006b.
  10. 류방란, 김성식, 교육격차와 학교교육 기능, 한국교육 개발원 제32차 KEDI 교육정책포럼 발표자료, 2006.
  11. 오성배, 도시와 시골 지역사이의 학업성취도 격차연구: 목포시와 인근 지역의 자료분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12. 오영훈. 김미숙, 김진영, 직업훈련기관 평가사업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13. 이수경, 변숙영, 권성연, 곽덕훈, 노동부 e-Learning 정책 발전 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14. 이준, 이경순, 초중등 교육지원을 위한 e-Learning적용 방안 연구: 교육격차해소,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영재교육을 중심으로, 컴퓨터교육연구, 7권, 5호, pp. 71-82, 2004.
  15. 이혜영, 교육낙후지역 지원, 어떻게 할 것인가? 교육정책포럼, 한국교육개발원, 2005.
  16. Anderson, E. What is the Point of Eduality? Ethics, 106, pp. 287-337, 1999.
  17. Brown, A. Equality of Opportunity for Education: One-off or Lifelong?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 40, No. 1, pp. 63-84, 2006. https://doi.org/10.1111/j.1467-9752.2006.00500.x
  18. Foster, P. R. Gomm, M. Hammersleley, Constructing Educational Inequality, The Falmer Press, London, 1996.
  19. Kearsley, G. Online education : Learning and teaching in cyberspace: Wadsworth, 2000.
  20. Paradise, A. Informal Learning: Overlooked or Over hyped? Learning Circuit, http://www.learningcircuits.org/0708_paradise.htm, 2008.
  21. Rosenberg, M. J. Beyond E-Learning: Approaches and technologies to enhance organizational knowledge, learning and performance, Pfeiff,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