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가치

Search Result 2,54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tudy on the Valuation Method for Redeveloped Area of Industrial Heritage (산업 유산 재생지역에 대한 가치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 Sun, Li;Pan,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2
    • /
    • pp.117-126
    • /
    • 2020
  • Objective evaluation of the resources of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area is an important prerequisite for design and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value of the industrial heritage regeneration area. This study identifies the method (model), combining the qualitative factor and quantitative factor. (1)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AHP Hierarchy) based on the resources of regeneration area; (2) Choose an evaluation way based on the type of resource; (3) Calculate the value and total value of various resources in the area. The research is a case study of Canal 5 resort. It expounds the using process of the method and gets the rank and total value of each type of resource in this area, the factors influencing the value (mainly concerned with income), etc. The conclusion is that the value of the reclaimed land should be composed of both the use value and the non-use value; the same factor has different influence on different resources; different factors influence one resource to different extents.

Regional R&D efficiency of knowledge and value creation in Korea (지역R&D의 지식창출 및 가치창출 효율성 분석)

  • Min, Sujin;Kim, Ju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281-1296
    • /
    • 2017
  • 세계경제가 범국가적 경쟁에 접어면서 과거보다 지역R&D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지역R&D의 경쟁력 향상을 통해 지역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지역경제발전을 이루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지역R&D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한 여러 정책적 학술적 노력이 있어왔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을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의 두 가지 측면에서 진단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목적에서 15개 국내 지역의 통계자료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DE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효율성 분석을 위해 사용한 R&D투입과 산출요소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 수도권과 대전에 양적으로 편중되어 있었다. DEA모형을 분석한 결과, 지식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869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대구, 광주, 대전, 강원, 전남, 경북 지역이 효율적이었다. 반면 경남 지역은 0.630으로 지식창출에 있어 가장 비효율이 큰 지역이었다. 가치창출 부문의 효율성 점수는 평균 0.677 수준이며 지식창출보다 지역 간 점수 편차가 컸다. 광주, 대전, 울산, 강원 지역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경기 지역은 0.198으로 가장 비효율적이었다. 종합하여 비교하면 광주, 대전, 강원 지역만 지식창출과 가치창출이 모두 1.000점으로 효율적이었고 이를 제외한 지역들은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R&D 효율성의 개선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지역발전 정책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특정 시점에 한정되어 효율성을 분석하였으므로 생산성 변화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과 분석자료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 PDF

Analysis on ICT Industry and Innovation Value Chain of Daegu and Gyeongbuk Region (대구경북권 ICT산업 현황 및 지역 혁신가치사슬 분석)

  • Kim, J.S.;Min, S.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2 no.2
    • /
    • pp.71-79
    • /
    • 2017
  • 지역경제의 성장과 혁신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추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ICT산업인프라가 집적된 대구 및 경북지역의 ICT산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혁신가치사슬 개념을 적용하여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분석도구를 제시하였다. 지역혁신가치사슬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국가경쟁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혁신역량을 평가하는 도구로, 지역혁신체제의 인적, 물적, 제도적 인프라와 자원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역단위의 혁신역량 분석은 지역 내의 혁신자원의 수준을 파악하고 혁신프로세스를 평가하는 데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역혁신역량에 관한 연구들이 혁신의 투입과 산출단계에 중점을 두고 있어, 본고에서는 전환단계를 포함한 혁신프로세스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지역 혁신가치사슬은 다른 지역 및 국가 단위 혁신체제에도 일반화하여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ment of Dam-Wetland Functions and Economic Value using HGM and CVM (HGM과 CVM을 이용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 Kim, Duck-Gil;Yoo, Byong-Kook;Kim, Hung-Soo;Jang, Su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7-187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생물다양성, 홍수조절, 온실가스 저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습지에 대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습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 중 하나가 댐 및 주변지역을 습지로 조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댐 및 주변지역의 습지로서의 활용을 위한 특성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주변지역에 조성된 습지와 댐 저수지 자체를 모두 포함하여 댐습지라고 정의하고,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 및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기준습지와 대상습지로 구분되며, 기준습지는 우포늪과 보령댐, 대상습지는 용담댐이다. 댐습지의 기능평가는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HGM(Hydrogeomorphi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각각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자연습지인 우포늪을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댐의 주목적과 관련이 있는 수문학적 기능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습지 내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기능과 다양한 식물 종에 대한 서식처로써의 기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령댐을 기준지역을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댐습지 생태공원조성에 따른 훼손된 습지의 보호, 희귀생물종의 보호, 휴양 및 여가기능 제공을 주요인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의 총 가치는 우포늪의 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우포늪의 35~4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결과는 댐이 단순히 이 치수 측면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활용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서 향후 댐의 친환경적 활용 방안 및 댐습지 관리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economic valuation of coping with water supply shortage (물부족 대응에 대한 경제적 가치 산정 연구)

  • Hyo Yeon Choi;Han Ju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3-73
    • /
    • 2023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이 심화되면서, 예상치 못한 가뭄 지속에 따른 물부족 문제 역시 심각해지고 있으며, 국제사회 및 국내외 기업들은 기후변화 심화에 따른 물 리스크를 관리하기 위한 Water Positive 시스템의 도입, ESG 경영, 환경공시 강화 등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광주·전라남도 지역에서 가뭄이 발생하여, 기업과 지역주민들이 물절약 캠페인을 벌이고, 공장 정비 일정을 변경하는 등의 대응을 하고 있으며, 중앙 정부 및 지방 정부 역시 물 부족대응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기후변화로 인해 심화되는 가뭄대응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최근 지속되는 가뭄으로 물부족이 심각한 광주 및 전라남도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물부족 문제 대응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산정해보았다.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서 분석이 가능하도록 단위 가치를 추정할 수 있는 선택실험법을 적용하였으며, 광주 및 전라남도 지역의 소득이 있는 1,000가구를 대상으로 지역별·연령별 표본설계를 하였다.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된 경제적 가치는 다양한 물부족 대응 프로젝트, 정책 등의 평가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강원도 영월지역의 지질다양성과 활용

  • Kim, Tae-Hyeong;Gong, Dal-Yong;Choe, Don-Won;Im, Jong-Deok;Jo, Jong-Hyeon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65-65
    • /
    • 2010
  • 지구상의 광물, 암석, 화석 그리고 지질구조, 지형 등의 개개의 지형 지질학적 요소의 특성과 다른 대상과의 상호관계를 지질다양성이라고 한다. 지질다양성은 지형 지질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 문화적, 심미적, 경제적, 기능적, 연구 및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보전함으로써 유지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지질다양성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높이기 위해 학술적 보전 가치가 있는 강원도 영월지역을 선정하여 그 특징을 분석하고 지질다양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강원도 영월지역의 지질다양성에 대한 조사는 지형경관 자원과 지질특성의 희소성, 대표성, 학문적 가치 및 활용가치에 중점을 두고 전문가와 협의하여 보존가치가 있고 지리적으로 접근하기 편리한 노두 8곳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8곳의 노두는 고생대의 암석과 지층, 뚜렷한 퇴적구조, 화석, 규모가 크고 전형적인 하천지형이 나타나는 곳으로 지질유산(지형 지질)의 내재적 가치와 지구과학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대상지이다. 대상지의 지질다양성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야외 지질학습장과 지질공원 및 지질명소, 과학적 특별흥미지역 등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지형 지질에 대한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신장과 지구과학에 대한 흥미와 이해를 증진시키는 장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학적 가치와 더불어 사회적,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여 보전함으로써 지질유산(지형 지질)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생길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Value Criteria and Relative Importance for Conservation of Modern Cultural Heritage (근대 문화유산의 평가 기준과 상대적 중요도에 관한 연구)

  • Park, Jae-Min;Sung, Jong-Sa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1
    • /
    • pp.12-20
    • /
    • 2013
  •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value criteria that citizen evaluate themselves it when they found modern heritages in their town. To understand the changing of value criteria for the cultural heritage, we have to begin from early 20 century that were, however, diversified after 80's. As a result, early they evaluated with the architectural and aesthetic value mainly, after they evaluated with th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nowadays they try to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So this study rearranged and divided that value with the preservation and using value. The preservation value include the historical value, aesthetic value, social-cultural value and academical value, and the using value include the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The criteria, however, don't have the equal importance, This study try to redefine relative importance score with paired comparison. As a result, Historical value is proved that most important criteria, but aesthetic value got the score lower than social-cultural value, and similar with academical values. And in using values, economical value and educational value got the low score. It means that if some researcher insist about the importance of economical value, it should evaluate lower than preservation values. This study insist that we have to include diversified values and that values have relatives score. Actually, now we mostly evaluate with the architecture and aesthetic values about modern heritage, so we are losing a lot of modern heritage. If we include the diversified values, social-cultural, academical and educational value, we can conserve our important modern heritage and revitalizing town with tourism of historical heritage.

Estimating the Conservation Value of Recreation Forests in Chungbuk through CVM (CVM을 활용한 충북지역 자연휴양림의 보전가치 추정연구)

  • Kang, Kee-R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9 no.6
    • /
    • pp.900-907
    • /
    • 2010
  • Recreation forests are offer to personal development through recreation, education about nature, association with people, mind relaxation in forests. Most efficient method for measuring Recreational value of natural forest is economic approach, and Obtained by this approach, visitors to the recreational forests and other people will be able to explain recreational value.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goods are not traded in the market, it's real value is difficult to measure. People have appreciated the value of the natural environment but it is not easy to answer the question how much monetary value a natural enjoy prosperity environment. This study is involved in giving the right recognition to the value of recreation and environment by estimating economically the valu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visitors stay, and presenting the appropriate price. The environmental value of a recreation forests is estimated through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annual recreation value per person of surveyed recreational forests is WTP with a mean between about \14,000 and 16,500. The recreation value of one recreational forest surveyed is annually between approximately 1.2 billion won and 1.4 billion won. The annual recreation value of Chungbuk Province recreation forests is presumed to be between about 15 billion won and 16.9 billion won.

Global Value Chains and Creating Shared Value in Vietnamese Coffee Frontier (베트남 커피변경지역의 글로벌 가치사슬과 공유가치 창출)

  • Lee, Sung-Cheol;Chung, Su-Yuel;Joh, Young-Kug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2
    • /
    • pp.399-416
    • /
    • 2016
  • The main aim of the research attempts to identify value relations appropriated and realized in the coffee frontier of Vietnam by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it is integrated into coffee global value chains driven by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o provide some implications of the integration of the frontier into sustainable coffee global value chains for creating shared value in Dak Lak, Vietnam. Recently Dak Lak has gone through the transition of value relations from exploitative value chains based upon conventional coffee production into shared value chains relied upon the production of sustainable or certified coffee in Dak Lak. The transition has been expected to result in sustainability in the creation of value by enhancing regional competitive advantages and regional bargaining power in global value chains driven by multinational companies. However, the reality has shown the intensification of hierarchical profits allocation among stakeholders such as farmer, middlemen, and multinational companies in the region. The main reasons for this could be found in two perspectives. Firstly, the formation of exclusive relations among farmers, middlemen, and processors has led to stakeholders to secure market, but resulted in the intensification of hierarchy among them in global value chain, because multinational companies could control indirectly over the farming system through exclusive middlemen. Secondly, social and ecological costs imputed by multinational companies to coffee farmers in the name of creating shared value has deteriorated the economic profits of stakeholders such as farmers and middlemen. As a result, it has led to the configuration of systematically hierarchical and subordinated global value chain in Dak La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