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 협업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Social Software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통한 협업학습)

  • Choe, Jae-Hwa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055-1060
    • /
    • 2007
  • 최근 사회적 소프트웨어(Social Software)의 급격한 발전은 미래의 지식근로자가 될 넷제너레이션의 학습 방법에 큰 영향을 줄 것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대학 교육에서도 오늘날의 학생들이 지식을 창출하고 공유하는 경험을 하게 하는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교육에 활용하는 교수법이 확산 ㄷ히고 있다. 구체적으로 블로그(Blog)와 위키(Wiki)와 같은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교육 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키(Wiki), 블로그(Blog)와 같은 사회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실시하는 협업 학습(Collaborative Learning)의 이론적 배경과 운영 경험을 소개한다.

  • PDF

SW Education Program using Pair Programming Collaboration Tools (짝프로그래밍 협업도구를 활용한 SW교육프로그램)

  • Kim, Yong-Ok;Chun, Seok-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23 no.4
    • /
    • pp.375-384
    • /
    • 2019
  •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future students should have the skills to utilize and organize high-quality knowledge, not the amount of knowledge. With the launch of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the curriculum has been reorganized based on competency and the software education has been seeking capabilities such as 'Cultural computing knowledge',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erefore, practical collaboration tools and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re developed based on Pair Programming, which is a specific collaborative learning strategy to develop cooperative problem solving skill. The educational program using this collaboration tool was developed with a focus on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Pair Programming rather than focusing on learning grammar of programming language and programming techniques. In a educational program, students will be able to use collaborative tools for pair programming and foster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skills.

A Design of Knowledge Base for the Service of Collaboration Support between Researchers (연구자 간 협업 지원 서비스를 위한 지식 베이스 설계)

  • Jung, Han-Min;Sung, Won-Kyung;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173-178
    • /
    • 2005
  • 지식 베이스는 대량의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고 철저한 설계에 기반하여 구축하여야 하는 부담이 큰 자원이다. 그렇지만, 지식 베이스 없이 다양한 응용 분야와 서비스를 만족시키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중요성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기존의 지식베이스 구축에 있어서 간과했던 것들의 하나는 응용 분야와 서비스를 명확히 하고, 해당분야에 안는 지식 베이스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어휘의미망을 포함하여 시소러스를 범용 또는 여러 분야에서 구축하고 있으나 이들이 어떤 서비스에 도움이 되는지를 확실히 분석하지 못함으로 인해 응용 시스템에서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온톨로지 또한 근본적으로 분야와 활용 목적에 의존적이어서 이를 고려하여 설계를 하지만 시소러스나 용어 사전과 같은 기본적인 지식 베이스와의 연계를 통한 효율성 재고라는 측면에서 약점을 보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질의와 실 데이터간의 어휘 불일치 해소를 위해 시소러스를 설계 구축하고 온톨로지의 사례화 결과인 인스턴스와 연동시킴으로써 연구자 간 협업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자원으로서의 지식 베이스 구축에 초점을 둔다.

  • PDF

Cooperating Pattern Design System Model (패턴 디자인 협업 시스템 모델i)

  • Kim, Mi-Jin;Park, U-Chang;Lee, Eun-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45-48
    • /
    • 2008
  • 디자인 팀들간의 효과적인 협업 작업을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실행할 수 있는 협동 플랫폼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타일 패턴 디자인을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웹 상의 패턴 지식 라이브러리를 구축하여 참여자들이 필요로 하는 지능적인 디자인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기반구조에 따라 설계된 웹 사이트는 디자이너들 간에 빠르고, 효율적인 패턴 설계를 지원한다.

  • PDF

A Study on a Knowledge-based Co-Work System for Cooperative Business Model (협동조합 사업모델을 위한 지식기반 협업 시스템에 대한 연구)

  • Song, Jeo;Jeon, Jin Hwan;Lee, S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33-334
    • /
    • 2015
  • 2012년 12월 협동조합기본법이 시행된 이래, 2015년 6월 현재 전국적으로 약 7,300여개의 협동조합이 설립되어 조합원들의 유기적인 공동활동을 통해 공동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소상공인협동조합, 사회적협동조합 등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합은 자신들의 공동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요소로 업무정보 공유에 기반한 협업이 필수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의 분류에 따르면 21개의 업종으로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협동조합은 하나의 기업처럼 사업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기업과는 달리 협동조합은 수직적인 경영구조가 아닌 조합원들 간의 수평적 경영조직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공동사업 수행과 공동이익 창출이라는 협동조합의 특수한 사업모델과 전국에 산발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조합원들 간의 공동업무 활동을 위한 협업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n Agent-based Framework for Change Prediction in Incineration Plant using Qualitative Reasoning (정성적 추론을 이용한 소각로 변화 예측의 에이전트 기반 프레임웍)

  • Kim, Hyeon-Kyeong;Kim, Min-K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174-177
    • /
    • 2006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는 여러 컴퓨팅 객체가 협업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유연성과 자율성을 갖는 유비쿼터스 환경 기반의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 뿐 아니라 인간이 갖는 상식 수준의 정성적 지식에 기초한 문제 해결 방식이 필수 불가결하다. 또한 정성적 지식에 기초한 문제 해결 방식은 주요한 컴퓨팅 객체인 인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데 유용하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추론을 소각로 모델링에 적용하여 소각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 징후에 대한 정성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멀티 에이전트 기반 플랫폼으로 설계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협업을 통한 원격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토대를 구축하였다. 본 시스템은 프로타입이 구현되어 여러 소각로 예제에 적용되어 그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Capability based Access Control Mechanism in Ubiquitous Collaboration Environment (유비쿼터스 협업 환경에서의 Capability 기반 접근 제어 방법)

  • Han, Areum;Kim, Kangseok;Kim, Ki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831-833
    • /
    • 2011
  • IT 기술의 결정체로 불리는 스마트폰은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진정한 유비쿼터스 환경 구현을 위한 필수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간과 장소에 대한 구애 없이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편의성이 극대화 되었지만, 보안 위험성 증가로 인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 스마트폰을 통해 제공되는 유비쿼터스 협업(Collaboration)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를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apability 기반의 Access Control 을 제안한다.

Knowledge Portal Architecture for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Teams (과학기술 연구팀을 위한 지식포탈 아키텍쳐)

  • 이홍주;양근우;김규중;백승기;김종우;허순영;박성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524-530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 연구개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연구 팀 및 조직을 지원하기 위한 지식포탈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효율적인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사람, 지식, 팀 공동작업, 커뮤니케이션, 연구관리 프로세스 등의 통합적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 연구팀의 지식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지식관리시스템과 그룹웨어, 팀 협업시스템, 연구관리시스템 등의 통합 방안을 제시하고 개발된 프로토타이프 시스템을 소개한다.

  • PDF

Pareto Ratio and Inequality Level of Knowledge Sharing in Virtual Knowledge Collaboration: Analysis of Behaviors on Wikipedia (지식 공유의 파레토 비율 및 불평등 정도와 가상 지식 협업: 위키피디아 행위 데이터 분석)

  • Park, Hyun-Jung;Shin, Kyung-Shik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0 no.3
    • /
    • pp.19-43
    • /
    • 2014
  • The Pareto principle, also known as the 80-20 rule, states that roughly 80% of the effects come from 20% of the causes for many events including natural phenomena. It has been recognized as a golden rule in business with a wide application of such discovery like 20 percent of customers resulting in 80 percent of total sales. On the other hand, the Long Tail theory, pointing out that "the trivial many" produces more value than "the vital few," has gained popularity in recent times with a tremendous reduction of distribution and inventory cos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study started with a view to illuminating how these two primary business paradigms-Pareto principle and Long Tail theory-relates to the success of virtual knowledge collaboration. The importance of virtual knowledge collaboration is soaring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and virtualization transcending geographical and temporal constraints. Many previous studies on knowledge sharing have focused on the factors to affect knowledge sharing, seeking to boost individual knowledge sharing and resolve the social dilemma caused from the fact that rational individuals are likely to rather consume than contribute knowledge. Knowledge collaboration can be defined as the creation of knowledge by not only sharing knowledge, but also by transforming and integrating such knowledge. In this perspective of knowledge collaboration, the relative distribution of knowledge sharing among participants can count as much as the absolute amounts of individual knowledge sharing. In particular, whether the more contribution of the upper 20 percent of participants in knowledge sharing will enhance the efficiency of overall knowledge collaboration is an issue of interest.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 of this sort of knowledge sharing distribution on the efficiency of knowledge collaboration and is extended to reflect the work characteristics.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actual data instead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s. More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collaborative behaviors of editors of 2,978 English Wikipedia featured articles, which are the best quality grade of articles in English Wikipedia. We adopted Pareto ratio, the ratio of the number of knowledge contribution of the upper 20 percent of participants to the total number of knowledge contribution made by the total participants of an article group,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to principle. In addition, Gini coefficient, which represents the inequality of income among a group of people, was applied to reveal the effect of inequality of knowledge contribution. Hypotheses were set up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higher ratio of knowledge contribution by more highly motivated participants will lead to the higher collaboration efficiency, but if the ratio gets too high, the collaboration efficiency will be exacerbated because overall informational diversity is threatened and knowledge contribution of less motivated participants is intimidated. Cox regression models were formulated for each of the focal variables-Pareto ratio and Gini coefficient-with seven control variables such as the number of editors involved in an article, the average time length between successive edits of an article, the number of sections a featured article has, etc. The dependent variable of the Cox models is the time spent from article initiation to promotion to the featured article level, indicating the efficiency of knowledge collaboration. To examine whether the effects of the focal variables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a group task, we classified 2,978 featured articles into two categories: Academic and Non-academic. Academic articles refer to at least one paper published at an SCI, SSCI, A&HCI, or SCIE journal. We assumed that academic articles are more complex, entail more information processing and problem solving, and thus require more skill variety and expertise.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Pareto ratio and inequality of knowledge sharing relates in a curvilinear fashion to the collaboration efficiency in an online community, promoting it to an optimal point and undermining it thereafter. Second, the curvilinear effect of Pareto ratio and inequality of knowledge sharing on the collaboration efficiency is more sensitive with a more academic task in an onlin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