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자원

Search Result 1,10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포인트 / 지식자원 관리 기업의 또 하나의 자산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8 s.99
    • /
    • pp.32-38
    • /
    • 2001
  • 최근 들어 지식관리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축적된 지식자원의 효율적인 사용과 공유, 판매 등을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지식관리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이다. 기업에게 있어서 지식자원은 또 다른 자산으로 평가 받고 있다. 외국의 경우 기업이 지닌 지식자원과 정보를 산술적인 자산으로 평가하는 시스템까지 시도하고 있다고 한다. 이 코너에서는 국내 KMS 시장 규모와 동향등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하에서 지식정보자원의 활용방안 분석;부산지역 시민들을 대상으로

  • Jeong, Chung-Sik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29-434
    • /
    • 2007
  • 이 연구는 공공부문이 구축/관리중인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 실태를 점검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의 시민활용성 제고방안 모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의 시민 200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활용도/활용장애요인과 유비쿼터스 기술에 대한 인지도/활용도/유용성을 조사하였고,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공공행정, 교육학술, 사회문화/복지, 생활경제 등 4 대부문 16 개분야 32 개의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시민활용 의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식정보자원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는 보통보다 낮은 수준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개인정보유출에 대한 불안, 지식정보자원 소재에 대한 정보부족, 지식정보자원 활용 비용의 부담 및 활용의 불편 등으로 나타났다. 향후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지식정보자원 활용의향에 대해서는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는 교통/기상정보, U-Care 및 U-Health 정보, 금융, 공연예술, 관광여가 등의 정보에 대해서는 높은 의향을 보이나, 실생활과 직접 관련이 적고 전문적인 능력이나 관심이 요구되는 행정정보공개, 정책참여, U-학술연구 등에 대해서는 낮은 의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anage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Made by Research Institutes: Focusing on the Homepags of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연구기관 생산 지식정보자원 관리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기관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Lee, Myeong-H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1
    • /
    • pp.177-202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produced in four educational institutions function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the institutions, and to suggest a proposed plan for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on the institutes' websites were classified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of result',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of process',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of communication'. The application of metadata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arch system were examin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From the result, 8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have been fou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etadata and classification scheme, high recognition that the website is a counter for external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various searching skills and the provision of knowledge maps available, provision of linked information for original information acquisition, awareness of the agency managers and homepage managers to the homepages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segmentation of appropriate data size unit in a mobile environment work, an organic linkage function of the internal electronic approval system and the homepage have been proposed.

산업지식 유통 활성화를 위한 산업지식유통시스템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노규성
    • Proceedings of the CALSEC Conference
    • /
    • 1999.07a
    • /
    • pp.133-146
    • /
    • 1999
  • 지식경제사회에서 국가의 경쟁력은 국가의 잠재적 지식자원을 어떻게 유형화하고 부가가치화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국가의 지식자원을 각 개별 경제주체가 소유한 지식자원의 총체적 개념으로 정의할 때 이 개별 주체들의 지식자원을 공유하도록 유도하고 공유된 지식을 활용하여 부가가치화 하도록 하는 것이 국가의 지식경쟁력 강화와 직결되는 정부의 역할일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개별 경제주체가 소유하고 있는 지식을 국가적 차원에서 공유토록 유도하고 그것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강화토록 하는 산업지식유통시스템 모형을 제안한다. 정부의 정책적 배려와 지원하에 본 연구의 제안이 현실화된다면, 산업지식유통 시스템은 산업수준의 지식유통 활성화를 통하여 기업의 지식기반 경영능력의 향상에 기여하고 선진국과의 지식네트워크를 통한 선진 지식의 도입 활성화에 기여함으로써 지식경쟁력 강화를 통한 국가 경쟁력 향상에 이바지 할 것이다.

  • PDF

정보통신 기술 집약형 중소기업의 전문인력 양성방안 연구

  • 이영덕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1999.11c
    • /
    • pp.425-441
    • /
    • 1999
  • 우리 경제가 작금의 IMF 구제 금융체제를 조기에 극복하고, 21세기 선진국 경제체제로의 도약을 위해서는 글로벌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산업의 국제경쟁력 제고가 절실하며, 특히 산업파급 효과가 크고 부가가치의 실현가능성이 높은 정보통신 산업 분야에서의 기술적/사업적 경쟁우위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하겠다. 또한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지식기반 경제의 확립을 통한 지속적인 발전 및 세계적인 확산, 지식자원을 기반으로 한 국가 및 개별기업의 경쟁력 제고, 개인·산업·국가 수준의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제휴전략의 확대 등과 같은 새로운 페러다임의 형성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대기업-중소기업이란 이분법적 구조에 따른 보유수준위주의 경쟁자원의 개념을 뛰어넘는 새로운 개념으로서, 벤처기업의 육성 및 지식자원의 ‘창출-변환-확산’을 통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원에서는 정보통신 기술 집약형 중소기업의 지식자원 확충을 통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 마련의 일환으로 전문 인력의 투입(지식창출), 전문 인력의 관리/유지시스템(지식변환), 전문인력 양성제도/정책(지식자원 확산인프라)의 3 측면에서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분석, 및 효율적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A Strategy for Management of Digitization on National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s (국가 지식정보자원의 디지털화 관리를 위한 전략)

  • 서은경;김성혁;오경묵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7 no.3
    • /
    • pp.213-234
    • /
    • 2000
  •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llows people to access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s without the limitation of time and location through Internet. Digital age will be created a lots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digital form, and also converted printed documents in machine readable form.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and their relationship, why and how government have to manage these resources and what problems will be solved for management, and strategies for management such as selection, preservation, distribution etc. in terms of macro level.

  • PDF

The Study on the Knowledge Resources Archive (지식정보자원 보존 체계에 관한 연구)

  • Cho, Jan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4
    • /
    • pp.85-104
    • /
    • 2004
  •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igital information, it comes to front to develop the policy about preservation of digital information, regarding it as national heritage. Especially, in recent years, KOREA has invested a lot of m to develop National Knowledge Database. So it is indispensable to preserve it permanently. This study categorizes knowledge information to 4 categories and suggests desirable direction for preservation policy and organization And design $\ulcorner$knowledge Creation$\cdot$Circulation$\cdot$Preservation system$\lrcorner$, which is expanded on current functional flow of Knowledge information.

  • PDF

국가인적자원 개발 방향과 전문대학의 과제

  • Gang, Mu-Seop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07e
    • /
    • pp.151-156
    • /
    • 2001
  • (1) 21세기 우리나라가 선진국에 진입하여 초일류 국가로 발돋움하기 위해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는 지식기반사회로의 성공적인 이행과 디지털 경제 시대에의 능동적인 대응임. (2) 지식기반사회 그리고 디지털 경제시대는 정보와 지식이 가치 창출과 경쟁력의 핵심 원천인 동시에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며, 이러한 지식과 정보를 창출 획득, 활용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적자원개발 관리가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임. (3) 대다수 OECD 회원국에서는 이미 지난 세기말부터 지식기반사회로 이행하기 위한 국가 발전의 핵심 전략으로 인적자원개발 관리에 관심과 정책을 총집결하여 왔으며, 국가 차원의 교육개혁추진과 관련부처의 통폐합 등 인적자원개발 관리체제를 재구축 하였음. (4) 부존자원이 전무하여 사람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우리나라도 다각적으로 인적자원개발 관리에 관심을 보이고, 정책을 펼쳐왔지만 아직 국가 차원의 인적자원개발 관리체제가 미흡하여 정책의 일관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곳곳에 인적자원개발 관리의 비효율 비능률이 초래되고 있음.

  • PDF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Information Resources for Activating Policy Information Services (정책정보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정책정보 자료원의 특성 연구)

  • Lee, My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3 no.1
    • /
    • pp.33-55
    • /
    • 2019
  •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produced by policy research institutes were categorized into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derived from research processes,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and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processed from research results, respectively. The names of these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metadata items were investigated on 13 policy research institute websites. In addition, the study examined the provision status of 8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s specialized by type on the websites and confirmed that they work as knowledge resource management systems for each corresponding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constructing a collective search system for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same research topics, developing a knowledge map of policy information, compressing reports for policy makers, building subject expert databases, producing video reports, developing metadata standards, and creating statistical databases and indicators by subject areas.

A Study on Construc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 Charging System in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 지식정보자원 유료화 시스템 구축 연구)

  • Lee, Jeong-Gu;Lee, Myung-Sun;Kim, Chang-Mok;Yang, He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27-230
    • /
    • 2006
  • Resources on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been acknowledge as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For systematic digitalization, consistent management and application of such resources of a nation, necessity for charging for knowledge-based information resources has been frequently raised. This study has suggested appropriate ways for charging for information and knowledge resour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has established charging system by deducing reasonable charging method, information usage fees and payment method for chargeable datab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