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식의 수준

검색결과 2,15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성인의 우식예방 인식과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조사: 한국갤럽자료분석 (Degree of Interest for Dental Caries Prevention and Child's Oral Health Behaviors in Korean Adults: Gallup Survey)

  • 진혜정;황윤숙;진명욱;최연희;송근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9-367
    • /
    • 2012
  • 우리나라 성인의 우식예방 관심도와 지식에 따른 본인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와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갤럽에 설문조사를 의뢰하였으며 전국 만 19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비례 할당으로 표본 추출을 하여 전화면접조사를 실시한 후 총 1,014명(남자 502명, 여자 512명)의 자료를 수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연구대상자의 성별에 따른 우식예방 관심도는 남성에 비해 여성, 연령에서 40~49세군이 높게 나타났다. 교육 수준은 대졸 이상인 경우, 주부인 경우, 자녀가 있는 경우, 지역크기가 읍면지역에 비해 대도시, 중소도시 거주자가 우식예방 인식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2.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구강보건교육 여부 및 우식예방 실천행위인 정기적인 치과방문, 스케일링 여부, 잇솔질 빈도, 보조구강위생용품 사용이 높게 나타났다. 3. 자녀의 우식예방 관심도는 남성에 비해 여성,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주부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자녀가 학령기 시기인 경우 부모의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의 정기적인 구강건강 검진,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과 같은 실천행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1). 4. 부모의 우식예방 지식수준이 높을수록 본인의 우식예방 실천행위와 자녀의 우식예방 실천행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의 결론을 통해 우식예방 관심도와 지식수준은 우식예방 실천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본인의 우식예방 지식과 실천행위는 자녀의 구강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식예방을 통한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경제적, 보건학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지역 사회 기반의 구강건강 교육을 강화해야 되며, 부모를 위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자녀들이 건강한 치아를 보존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위탁급식업체 조리종사자의 위생교육과 위생지식 및 위생관리수행도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Sanitary Education, Sanitary Knowledge and Sanitary Management Performance of Cooks in Contracted Foodservices: Focusing on Busan & Gyeongnam Region)

  • 성태종;최선경;김기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5-119
    • /
    • 2014
  • 본 연구는 위탁급식업체의 조리종사자를 대상으로 위생교육 횟수, 위생교육의 필요성, 위생교육의 만족도, 위생교육의 이해도, 위생교육의 적용도가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조리종사자의 위생지식이 위생관리수행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부산, 경남지역에 위치한 공장, 대학교, 병원, 오피스, 관공서 등의 위탁급식업체 31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10월 1일부터 2012년 10월 15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총 320부를 배포하였고, 302(94.3%)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부실 기재된 13부를 제외한 289부(90.3%)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조리종사자들이 지각하는 위생교육의 필요성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아질수록, 위생교육에 대한 적용도가 높아질수록 위생지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위생교육에 대한 만족수준이 위생지식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리종사자들의 위생지식 수준이 향상될수록 그들의 위생관리수행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에 대한 간호대학생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Risk Perception, Preventive Health Behavior from Coronavirus disease-2019 in Nursing Students)

  • 김해진;천의영;유장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46-254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지식 및 위험지각과 예방적 건강행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A시 S대학교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29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2020년 8월 1일에서 8월 20일까지 설문조사하였고,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 나이, 주관적 성적수준에 따라 지식 차이가 나타났고, 학년에 따라 위험지각 차이가 나타났으며,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따라 예방적 건강행위 차이가 나타났다. 예방적 건강행위는 지식, 위험지각과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 결과, 예방적 건강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나이(β=.188, p<.01), 주관적 건강수준(β=-.245, p<.001), 지식(β=.254, p<.001), 위험지각(β=.191, p<.001), 총 설명력은 18.9%(F=17.904, p<.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나이, 주관적 건강수준, 지식, 위험지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간호대학생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검증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대규모 인지 시스템을 위한 정성적 지식 모델의 개발 (A Qualitative Knowledge Model for Large Scale Cognitive System)

  • 김현경
    • 인지과학
    • /
    • 제15권4호
    • /
    • pp.15-20
    • /
    • 2004
  • 유연성과 광범위성을 갖는 대규모 인지 시스템의 구축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 뿐 아니라 상식 수준의 지식을 포함한 대용량 지시베이스의 구축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를 위해서는 효율적인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법이 핵심적 열할을 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성적 지식 표현 및 추론 기법을 이미 구축된 범용의 대용량 Cyc 지식베이스와 접목하여, 일상의 상식적인 추론을 제공할 수 있는 인지 시스템을 소개한다. 본 시스템은 구현되어 여러 예제에 적용되어 그 실효성을 입증한 수 있었다.

  • PDF

그룹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활용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using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s)

  • 이준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32-141
    • /
    • 2000
  • 본 연구는 지식경영시스템 구축의 대안으로, 그룹의사결정지원시스템(GDSS : Group Decision Support System)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GDSS는 구성원들의 사회적 의사소통과 기술적 의사소통 모두를 지원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되고 실행되어야만 지식집약 조직의 달성과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기존 GDSS에 관한 문헌에서 제공되는 세 가지 수준의 GDSS와 지식변환과정 및 집단 구성원의 의사소통 유형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GDSS에 새롭게 추가되어야 하는 특성 및 활용 가능한 기술을 제시하였으며, 지식관리 기반기술 중 조직에 구축된 KMS에 적용되지 못하고 있던 지식관리 기반기술의 GDSS를 통한 활용 방안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

이동 로봇의 물체 인식과 주행을 위한 로봇 지식 체계 (Robot Knowledge Framework of a Mobile Robot for Object Recognition and Navigation)

  • 임기현;서일홍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4권6호
    • /
    • pp.19-2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로봇의 다계층으로 로봇 지식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실생활 환경에서 잡음이 섞인 센서 때문에 소실되거나 잃어버리거나 가려진 정보를 찾아낼 수 있는 추론(inference)할 수 있는 로봇 지식을 구현하고자 한다. 로봇 지식 체계는 4개의 지식 계층과 2종류의 규칙 (rule)과 공리 (Axiom)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지, 모델, 정황, 활동의 4 개의 지식 계층 (KClass)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지식 계층은 3개의 지식 층 (KLevel)과 3개의 온톨로지 층 (OLayer)으로 구성된다. 3개의 지식층은 하위 층, 중간, 상위 지식층이고, 3 개의 온톨로지 층은 메타 온톨로지, 온톨로지 스키마, 온톨로지 인스턴스 층이다. 공리는 각 온톨로지 층 내에서 온톨로지 요소인 개념간의 관계를 표현하고, 2종류의 규칙은 서로 다른 온톨로지 층간, 서로 다른 지식 계층 간의 연관을 각각 표현한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의 로봇의 하위 수준의 센서 정보에서 상위 수준의 의미 정보를 통합 할 수 있도록 하고, 통합된 지식을 가지고 이웃한 층간의 단방향 추론 및 몇 개의 층들 간의 양방향 추론을 통해 불확실하고 부분적인 정보에 대한 질문에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우리의 로봇 지식 체계의 유용성이 물체 인식과 주행을 위한 여러 실험을 통하여 검증할 수 있다.

심뇌혈관질환 고위험군 대상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경로당노인의 심근경색과 뇌졸중에 대한 경고증상 인지도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High Risk Group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Awareness of the Warning Signs and Symptom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d Stroke in the Aged at Senior Centers)

  • 송정국;박형근;홍성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3호
    • /
    • pp.126-136
    • /
    • 2015
  • 본 연구는 급성 심근경색과 뇌졸중의 고위험군인 노인들을 위하여 마련된 일개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의 경로당노인 교육프로그램이 급성 심근경색과 뇌졸중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수준을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었는지 교육프로그램 수행 1년이 경과시점에서 평가하였다. 2012년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11개 경로당에서 337명을 편의표집 하였는데, 과거 2010년 해당 경로당에서 진행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했었던 159명은 실험군으로 하였고,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178명은 대조군으로 하였다. 경고증상을 정확히 알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두 가지 질환 각각 3개 문항씩 총 6문항에 대하여 질환 별 증상이 맞는다고 생각하는지를 폐쇄형 질문으로 물어 명목형(정확한 인지 여부)으로 구분하였으며 빈도(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참여군과 비참여군 간에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나지 않았고, 급성 심근경색과 뇌졸중 경고증상에 대한 지식이 최고 수준인 것(우수 인지수준, 경고증상 여섯 개 모두를 정확히 인지)과 경로당노인 교육프로그램 참여여부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다만 우수 인지수준이 될 오즈값은 교육수준이 초등학교 졸업 이상일 경우 초등학교 미졸업(무학 및 서당)에 대해서 3.01배 높았고(3.01; 1.72-5.26), 매일 빠지지 않고 TV뉴스를 시청할 경우 6일 이하로 시청하는 것에 대해서 2.97배 높게 나타났으며(2.97; 1.68-5.23), 이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참여군에서 교육 참여 이후 높아진 지식수준이 교육 후 1년 시점까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없이 유지되었던 것과 비참여군에서 지식수준이 참여군 만큼 높은 수준이었던 것은 교육참여와 상관없는 어떠한 교육중재적 요인을 공유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결론적으로 심뇌혈관질환의 고위험군인 노인을 표적 선택하여 실시하는 일회적 지역사회 방문교육 대신 대중매체를 활용한 반복적 지식 전달이 효과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회적 지역사회 방문교육의 효과는 지역사회 노인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대중매체 보건교육 캠페인이 잇달아 수반되어야만 그 효과를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지식경영과 정보인프라, 정보전문가의 관계 (Knowledge Management,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Expert on Information)

  • 노정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7-220
    • /
    • 1998
  • 세계는 지식과 지식경영을 21세기 글로벌 문명의 키워드로서 자리매김 하는데에 동의하고 있다. 이 글은 현재까지 주로 경영학적 측면으로 다뤄지고 있는 지식경영의 문제를 $\ulcorner$지식$\lrcorner$을 객체로 하는 정보학적 시각으로 접근하여 지식의 구조에 터잡은 효율적 관리방법으로 해결하려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식경영의 본질은 지식이며, 나머지 영역은 지식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여러가지 환경적 요소들-사람, 조직. 문화등 이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지식경영의 핵심요소를 지식 공유 시스템의 구축이라고 보고. 지식 공유 작업이 지식을 자원으로서 인식하는 수준이 아닌 그 진위여부와 가치의 평가, 신선한 지식창고로 유지 관리하는 과정으로 보다 신중하고 비중있게 검토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아울러 지식의 관리에서 우선적인 것은 정보기술이 아닌 지식의 내용과 표현이므로 지식경영의 일반적 프로세스 중 '정보기술인프라' 는 '정보인프라' 로 수정되어 연구될 것을 제기한다.

  • PDF

북한의 소프트웨어 현황과 기술수준

  • 신필순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11호
    • /
    • pp.68-75
    • /
    • 2002
  • 남북한간 소프트웨어 관련 협력이 진행되고 있고, 민족의 동질성 및 신뢰성 회복이 증진되어 화해와 협력이 요청되는 현 시점에서, 북한의 소프트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일반인도 공유를 하는 것이 북한을 조금이라도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으로, 본문에서는 북한의 S/W산업과 관련된 현황 등과 북한이 동 전시회에 출품했던 S/W제품을 위주로 북한의 S/W현황과 기술수준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Measuring and Analyz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Functions)

  • 문진수;김구연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7권3호
    • /
    • pp.469-492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함수 영역에서 현직 중등 수학 교사들의 교수를 위한 수학적 지식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이하 MKT) 수준을 검증할 수 있는 문항을 영역별로 개발하고, 이를 이용한 검사를 통해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영역의 MKT 수준이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고등학교 1학년 수준에서 함수 영역에 대한 검사 문항을 개발하여 서울 지역의 총 5개의 고등학교 현직 수학 교사 34명을 상대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사들이 얻은 점수를 백점 만점으로 환산 시 검사지 총점의 평균은 67.4점으로 나타났는데, Common Content Knowledge[CCK], Knowledge of Content and Teaching[KCT] 영역의 점수에 비해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영역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각 영역별 총점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SCK, KCS 그리고 KCT 영역이 서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고 이와 다르게 CCK와 나머지 영역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