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원

Search Result 1,890,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A Domain-Dependent Question-Answering System (이벤트 탐색을 사용하는 일정 영역 질의 응답 시스템의 구현)

  • Chang, Du-Seong;Oh, Jong-H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414-42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정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질의를 해석하고 적당한 대답을 생성하기 위해 백과사전이나 일반사전 등과 같은 지식원에서 추출된 구조화된 지식을 사용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질의응답을 위하여 지식원은 그 단락의 의미에 따라 구조화되고 각 단락은 논리형식으로 변환되었으며, 논리형식 내 각 개체들은 사전 정의문에 따라 확장되었다. 이 구조화된 지식은 입력된 자연언어 질의문에서 질의의 의도를 추출하고, 질의에 포함되어 있는 지식에 의미속성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식원의 논리형식 변환을 위해 한국어의 논리형식이 도입되었으며, 사용된 지식원은 우리말 큰사전과 계몽백과사전의 30여개 질병정의문이다.

  • PDF

IS 부서 구성원의 직무기술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 장활식;이용탁;서재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1997.10a
    • /
    • pp.337-356
    • /
    • 1997
  • IS 구성원의 직무수행에 요구되어 지는 지식이나 기술의 유형을 크게 기술적 지식/ 기술과 기업업무 지식/기술, 그리고 시스템 지식/기술로 대별될 수 있다. 이를 세분화하면 기술적 기술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기업업무 기술은 업무과정, 관리적, 사회적 기술로, 시스템 기술은 문제 해결과 개발방법의 하위 차원으로 유형화 할 수 있다. IS 구성원의 직 무 지식/기술은 직무만족과 높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구성원이 지각하는 직무만족의 정도에 따라 조직몰입에는 정의 관련성을, 그리고 이직의도와는 부의 관련성을 가지게 된 다. 이는 IS 부서의 성과제고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해 준다.

  • PDF

A Multi-Agent Simulation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Members' Heterogeneity on Team-Level Digital Creativ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구성원 다양성에 따른 팀단위 디지털 창의성 변화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중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Lee, Kun-Chang;Seo, Young-Wook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9 no.3
    • /
    • pp.159-172
    • /
    • 2008
  • 기업의 지적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지식경영 차원에서 기업들은 디지털 시대에 부합되도록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창조해내는 디지털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지식 경쟁력 향상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창의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으로 디지털환경, 전문성영역, 디지털리스트성향을 제시하고 구성원의 다양성에 따른 디지털 창의성 변화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구성원의 다양성이 높은 집단일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원의 다양성이 낮은 집단, 즉 동질성이 높은 집단 보다 지식관리시스템 (KMS)을 이용한 지식의 생성 및 공유와 디지털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성영역, 디지털리스트성향이 디지털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창의성도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창의성과 경영성과 향상에 대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KM Performances' Antecedents on an Eemployee's Absorptive Capacity (지식경영 성과 선행 요인이 조직원 흡수 역량에 미치는 영향)

  • Kim, Byoung-Soo;Hau, Yong-Sauk;Lee, Hee-Seok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2 no.1
    • /
    • pp.59-79
    • /
    • 2010
  • According to resource based view, knowledge is regarded as a salient factor to improve an organization's efficiency in the current fast-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Knowledge management (KM) may encourage employees to share and exchange knowledge in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improve and sustain a competitive advantage over other companies. The proposed research model examines the impacts of KM performances' antecedents on an employee's absorptive capacity. This study identifies KM performances as employee's satisfaction about KM and shared knowledge quality. This study considers KM performances as the major determinants that enhance his/her absorptive capacity.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key antecedents of KM performances. The research model posits extrinsic reward, intrinsic reward, and relational reward as the KM performances' antecedent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of the antecedents' effects in terms of firm's type. The proposed research model was tested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1,103 employees of 2 public enterprises and 907 employees of 5 private enterpri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employee's satisfaction about KM and shared knowledge quality play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employee' absorptive capacity. Extrinsic reward only significantly influences employee's satisfaction about KM, whereas both intrinsic and relational rewards serve as the salient antecedents of improving both KM performances. The results also shed light on the moderating role of firm's typ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PAS:Aerial Photograph Analysis System (항공 사진 분석 시스템)

  • 김범수;김병천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 no.2
    • /
    • pp.359-403
    • /
    • 1990
  • This paper introduces a blackboard system which extracts imbedded road and building structures irom aerial photograph images. The role of three major component(blackboard, knowledge source, and control module)in blackboard system will be illustrated in terms of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control strategies. The hypothesis on a blackboard will be organized in a hierarchical form, the knowledge sources which generate hypothesis and verify them will be shown in detail, and the control module will describe how the knowledge sources can dervie solutions. Especially this paper shows that searching image strutures can be greatly simplified by the use of a mapping image.

콘텐츠라인- 2004지식콘텐츠 국가전략 세미나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5 s.132
    • /
    • pp.60-62
    • /
    • 2004
  • 국가지식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2004 지식 콘텐츠 국가전략 세미나가 지난 3월 29일 한국 프레스센터 국제 회의장에서 열렸다. 정보통신부와 한국 전산원이 주최한 이 세미나는 학계와 민간, 공공분야 전문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국내 지식 콘텐츠의 현재를 살펴보고 지식 강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전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가 됐다.

  • PDF

The Roles of Realtime Multimedia Messenger in KMS (지식관리시스템(KMS)에서의 실시간 멀티미디어 메신저의 역할)

  • 고대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1.05a
    • /
    • pp.31-36
    • /
    • 2001
  • KMS에서 지식전달 및 지식공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현재 국내 KMS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실시간, 혹은 문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는 지식전달 및 공유를 위한 조직원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KMS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KMS용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화상/음성통신, 문자/그래픽통신, 화이트보드통신, 화면공유, 그리고 에스코티드 브라우징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직원간의 지식공유/전달, 공동작업, 그리고 사용자 편리성 및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KMS에서 지식전달 및 지식공유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현재 국내 KMS에서 채택하고 있는 비실시간, 혹은 문자 중심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는 지식전달 및 공유를 위한 조직원간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KMS의 커뮤니케이션 활성화를 위한 실시간 멀티미디어 인스턴트 메신저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KMS용 실시간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화상/음성통신, 문자/그래픽통신, 화이트보드통신, 화면공유, 그리고 에스코티드 브라우징과 같은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직원간의 지식공유/전달, 공동작업, 그리고 사용자 편리성 및 접근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Problem-Based Solution By Knowledge-Based Internet Search Service (인터넷 지식검색 서비스를 통한 문제기반 해결의 효과성 분석)

  • Jeon, Hong-Dae;Kwon, Hyung-Ky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05-613
    • /
    • 2004
  • 인터넷 등 각종 미디어의 발달은 정보에 대한 접근과 취득을 용이하게 만들었고 교육내용의 유용한 전달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인터넷의 수많은 정보 중에서 단순한 정보의 취득만으로는 비구조적이고 복잡 다양한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므로 정보를 가공하여 도출되는 결과물인 지식을 취득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인터넷의 엄청나 정보량은 어떤 정보가 학습자에게 필요한지 파악하기 어려우며 또, 원하는 정보를 적시에 손쉽게 취득하여 학습자가 원하는 지식으로 조합할 수 있는 방법에 익숙치 못하다. 지식검색 서비스는 간단한 키워드의 사용만으로 다양한 지식을 정보의 형태가 아니라 지식의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빠르고 간편하게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지식검색 서비스 활용도는 매우 커지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지식습득 방법으로 제시되는 지식검색 서비스가 과연 문제중심학습 등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정도로 제공되는 지식이 정확성을 가지고 있는지, 다양한 범위를 가지는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지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통적인 검색방법을 이용한 지식습득과 지식검색 서비스를 이용한 지식의 습득에서 오는 차이를 분석하여 문제중심학습 등에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지식습득 방법과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Leadership Style and Team Performance in Virtual Communities (가상공동체에서 리더십 스타일과 팀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 Lee, Kun-Chang;Chung, Namho;Jo, Nam Yong;Shin, Sung Woo;Lee, Hyung Jung;Lee, Jaeha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9 no.4
    • /
    • pp.127-142
    • /
    • 2008
  • 최근 조직 내 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지식과 정보에 대한 공유와 교환이 더 이상 성공적이라고 판단되지 않음에 따라 그 대안으로써 가상공동체(Virtual Community)가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가상공동체에서 살아있는 지식과 정보의 공유를 위해서는 공동체 안의 구성원인 리더와 구성원(팔로워) 들의 상호작용을 통한 몰입이 매우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몰입에 영향을 주는 리더-구성원 간의 영향관계는 충분히 연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공동체에서 리더의 리더십 스타일과 팔로워의 특성 그리고 이들 간의 동기와 신뢰가 가상공동체의 몰입에 미치는 인과관계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각된 리더의 배려'로 측정된 '서번트 리더십'과 '지각된 리더의 조직지향'을 통해 측정된 '변혁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팔로워십과 동기, 리더와 조직에 대한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460명의 가상공동체 구성원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팔로워십 특성이 구성원의 몰입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on Knowledge Sharing of Public Employees: Based on Officials' Perceptions in Local Government (공공조직 구성원의 신뢰기반에 따른 신뢰유형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 지방공무원의 인식수준을 중심으로 -)

  • Kim, Gu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0 no.4
    • /
    • pp.23-50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and to develop the optimal model about an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ource-based trust and knowledge sharing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Procedural and distributive justice-based calculative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organization, cognition-based trust in supervisor, cognition-based trust in coworkers, and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were set up as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research model, and sharing of tacit knowledge and explicit knowledge based on the knowledge content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suitability of each model has approximate value to the required level, and that emotion-based trust in coworkers significantly affects knowledge sharing for both the individual and integrated factors in hypothetical influenti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enable knowledge sharing in various situations by dividing the concepts of trust that affect knowledge sharing into a few types, and deriving the influential model of knowledge sharing by typ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