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식생산시스템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5초

지식관련시스템 기업 경쟁력 향상시키는 촉매제로 급부상

  •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
    • 디지털콘텐츠
    • /
    • 8호통권63호
    • /
    • pp.26-31
    • /
    • 1998
  • 지식관리시스템은 최근 들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개념으로 급격하게 부상하고 있다. 재무나 생산, 영업 등과 같은 정형화된 수치의 취합에서 벗어나 개인들이 업무를 추진하면서 쌓은 비정형화된 정보를 기업에서 활용해 효율성을 꾀한다는 지식관리시스템의 배경과 관련업계 동향에 대해 살펴봤다.

  • PDF

웹 기반 분산형 린건설 정보시스템 개발;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Web-based Distributed Lean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Development of System Prototype)

  • 박문서;윤유상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82-189
    • /
    • 2007
  • 건설생산성의 혁신적 향상을 지향하는 린건설(Lean Construction) 구현을 위해 가장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사항은 건설생산 프로세스의 개선과 건설정보의 신뢰성 향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생산 프로세스 중 설계/시공단계에서의 개선사항을 설계관리, 자재조달관리, 공정관리 측면에서 도출하고, 각 단계에서 도출된 개선사항을 웹기반 정보시스템으로 실현하여 건설산업 종사자들에게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자 웹 기반 분산형 건설정보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건설생산 프로세스 각 단계에서의 주요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모델 및 요소기술을 제시하고, 모델의 구현을 위한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설계/자재조달/공정 관리지원 시스템은 웹 기반의 지식관리 시스템을 중심으로의 통합을 추진할 예정이다.

  • PDF

CAD/CAM 시스템과 연계된 공정설계자동화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Process Planning System associated with CAD/CAM System)

  • 김두근;박배석
    • 산업공학
    • /
    • 제8권3호
    • /
    • pp.213-220
    • /
    • 1995
  • 공정설계는 설계와 가공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는 사람이 부품설계 도면의 정보를 이용, 생산 현장에서 소재를 부품으로 가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가공정보들을 수집, 검토하여 상세한 작업지시를 준비하는 일련의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정설계는 제품을 경제적, 효율적으로 생산하는데 필요한 체계적인 결정방식이며, 설계와 가공사이의 정보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제조공정상의 교량역할을 하는 핵심적인 부분이므로, 본 논문에서는 첨단생산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차세대가공시스템의 소과제중 하나인 "지적공정계획기술" 과제에서 기존에 상용화된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Manufacturing)시스템을 이용하여 설계와 가공의 정보를 체계화하고 지식 베이스화하여 설계정보가 생산현장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개발중인 컴퓨터를 이용한 공정설계자동화시스템(CAPP : 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지식정보분야 국제 표준화 기관의 동향

  • 최영진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9호
    • /
    • pp.60-65
    • /
    • 2002
  • 지식 정보의 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집 및 생성, 가공, 관리, 검색하는 기술과 지식정보와 지식 정보간의 연동, 지식정보와 이용자간의 유통 등의 지식정보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을 상호 호환할 수 있도록 이에 관한 적절한 지침 및 표준이 필요하다.

  • PDF

지능공작기계 구현을 위한 Decision Support Agent 설계

  • 이승우;임선종;김동훈;이안성;박경택;송준엽;김선호;이화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28-228
    • /
    • 2004
  • 공작기계가 생산시스템에 사용된 이후 생산시스템은 대량생산체제를 거쳐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Mass Customization 생산체제가 정립되었다. 이러한 생산시스템의 발전은 공작기계와 같은 다양한 생산장비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유연성과 이식성을 부여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지능화된 제어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다 지능화란 인간전문가가 생산장비를 운영하는 방법과 가공에 필요한 지식 및 이상상태에 따른 대처능력을 대상기계에 구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SNS 기반의 지식경영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SNS)

  • 조병호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1-186
    • /
    • 2014
  • 기업도 집단지성에 의한 지식 공유 및 외부와의 협력을 통한 지식의 생산/공유가 중요하다. 따라서 지식경영 시스템도 SNS 기반으로 설계하고 구축한 차세대 지식경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지식경영 시스템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지식경영 패러다임의 변화와 새로운 지식경영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새로운 지식경영 시스템의 요구사항인 집단지성, 오픈이노베이션, IT 기술과의 융합을 고려하여 볼 때 차세대 KMS로는 SNS 기반 지식경영시스템이 가장 적합하다. 그러므로 새로운 차세대 지시경영시스템의 서비스 구조와 SNS기반의 지식경영시스템의 메인 설계 및 지식톡 설계 등을 통하여 SNS 기반 지식경영시스템의 구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연생산 시스템에서의 에이전트를 이용한 동적 작업배정규칙 할당에 관한 연구 (Dynamic manufacturing scheduling using multi-agent-system in FMS)

  • 김승호;최회련;이홍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232-3238
    • /
    • 2010
  • 유연생산시스템은 고자동화 생산시스템일 뿐만 아니라, 사용자와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유연한 생산시스템이 요구됨에 따라 작업배정규칙 할당에 있어서 시스템과 작업환경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온톨로지 지식 기반의 작업환경을 고려한 유연생산시스템의 작업배경규칙 할당방법을 제시한다.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작업장 환경과 작업내용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적합한 작업배정규칙을 온톨로지 지식으로부터 추론하여 시스템에 적용한다. 본 시스템 개발을 위해 멀티에이전트를 지원하는 $JADE^{TM}$ 플랫폼을 이용하였으며, 온톨로지는 Protege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교량의 예비설계를 위한 전문가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Expert System for a Preliminary Bridge Design)

  • 최창근;최인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9-17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교량의 예비설계 단계중에서 상부구조 형식의 선정에 대한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도구로는 전진추론방식 및 생산시스템으로 지식표현되는 전문가 시스템 개발용 도구인 K-CLIPS가 이용되었으며, 이 도구 위에서 구성된 지식 모듈, 데이터 베이스 및 지식 베이스로 시스템이 구성되었다. 지식 모듈은 주로 교량의 형식 선정과정을 관리하는 설계순서에 관한 지식이고, 지식 베이스 내에 있는 각 부 시스템이 심볼처리에 의해 수행되는 과정에서 데이타 베이스는 이를 지원해 주는 역할을 한다.

  • PDF

사회문제해결형 R&D 현황 및 특성 분석 : NTIS Data를 중심으로

  • 임홍탁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5-755
    • /
    • 2017
  •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이라는 국가 R&D사업의 본연의 임무에 사회문제해결이라는 보다 구체적인 요구가 커지고 있다. 취약계층, 노인,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 약자들의 삶의 질 개선에 더불어 조류 인플루엔자, 미세먼지오염 등 국민생활에 영향을 주는 사회문제의 해결에 과학기술지식이 기여하라는 사회적 요청이 커지고 있다. 그동안 산업 지원과 학문 발전을 중심으로 발전해오던 국가R&D시스템이 이제는 공공분야에서의 지식생산시스템 격상이라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정부는 2012년 '신과학기술 프로그램 추진전략(안)'을 통해서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시작했으며 2014년에 다(多)부처 기획을 통해 11개 사업 분야를 선정하고 사회문제해결을 위한 R&D를 다(多)부처 사업으로서 2015년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부)는 단일 부처사업으로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을 2104년부터 추진하였다. 논문이나 특허보다는 현장문제의 해결책, 솔루션 생산을 목표로 제시하였으며 현장의 사용자나 시민이 연구개발의 전 과정에 참여하는 리빙랩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의 적용을 사회문제해결형 R&D사업의 성격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해결형 R&D라는 이 새로운 시도가 국가R&D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시행되었는지 NTIS data를 통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먼저 다부처 기획으로 선정되어 추진된 과제들의 특성, 즉 연구적용분야, 연구 단계 등을 분석하고 단일부처 사업으로 수행된 '사회문제해결형 사업' 및 유사 단일부처 사업 과제들의 특성을 알아본다. 연구수행주체, 연구방법론 등 사회문제해결형 R&D 기획에서 제시한 새로운 방법들의 수행 여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공분야 국가R&D 시스템의 발전 및 사회문제해결형 R&D 사업의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한다.

  • PDF

IT 기업의 전략적 지식관리를 위한 SD모델 구축 사례

  • 박상현;연승준;김동호;김상욱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43-63
    • /
    • 2002
  • IT 기업과 같이 그들이 보유한 지식이 수익 창출의 근원이 되는 기업들은 개인의 경험들을 조직의 지식으로 변환하고, 보존하여 그들의 구성원들이 이러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식 경영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많은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활동이 조직 학습을 가속화시키며, 경쟁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시장 변화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구성원들의 가용 시간이 곧 생산을 위한 투입 요소가 되는 IT기업에 있어서 지식관리활동은 조직 구성원들이 수익 창출을 위한 업무수행 시간을 할애해야 하고 동시에 비용을 발생시키는 딜레마를 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IT기업의 경우 시간과 재원의 배분은 전사 적 전략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정책 결정이 됨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이를 종합적인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본 논문은 한 IT기업의 사례를 통해 비재무적 자산인 지식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통하여 재무적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델의 전략적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시도는 경영자를 비롯한 의사결정 자들이 지식의 동태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영향요인들에 대한 단선적인 이해를 벗어나 종합적인 견지에서 기업이 보유한 지식의 구조와 행태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하여 기업의 지식관리 전략 수립의 기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