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시자

Search Result 42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valuation of Sleep Comfort for Indoor Thermal Environment based on the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생리신호 분석을 이용한 실내온열환경에서의 수면 쾌적성 평가)

  • 이낙범;임재중;금종수;이구형;최호선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2
    • /
    • pp.75-84
    • /
    • 2000
  • 문명의 발달과 함께 수면부족으로 인한 여러 가지 스트레스와 질환이 증가하게 되어 최근 수면연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온열환경 조건에서의 쾌적한 수면을 위한 온열환경을 제시하기 위해, 5명의 여성 피험자를 대상으로 22$^{\circ}C$, 26$^{\circ}C$, 3$0^{\circ}C$의 일정온도 조건과 $25^{\circ}C$에서 1시간 후와 2시간 후에 각각 1, 2$^{\circ}C$를 상승시켜주는 변동온도 조건하에서 수면생리신호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수면단계 평가를 이용하여 총 수면시간, 깊은 수면의 비율, 그리고 최초 수면시작 시간에서 최초의 서파 수면이 나타나기까지의 지연시간 등의 수면효율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일정온도 조건에서는 26$^{\circ}C$에서 총 수면시간(466.7$\pm$10.25분)과 깊은 수면의 비율(33.1$\pm$4.95%)은 타 조건에 비해 높게 나타났고, 최초 서파수면까지의 지연시간(9.8$\pm$3.33분)은 타 조건에 비해 낮게 나타나 쾌적한 수면을 위한 가장 적절한 온열조건임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변동온도 조건에서는 4가지 온열조건간에는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모든 조건에서 일정온도 조건보다는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수면 중 신체 움직임과 설문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수면생리신호를 이용한 수면 쾌적성 분석은 수면의 질적인 상태를 관찰하는데 매우 적합한 파라메터를 도출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수면환경 조건을 평가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였다.e results suggest that hCG treatment at 7 days after insemination could be used to increase the pregnancy rate of embryo transfer, and transfer, and only the recipients with PUN concentration of <12 mg/dl were influenced by treatment with hCG./TEX>이었으며, 이는 화성 기원을 지시한다.sucrose를 이용한 2단계 희석이 수정란의 생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육 단계별 생존성에 있어서는 발육이 진전된 확장배 반포 시에 동결하는 것이 배반포기에 동결하는 것 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ody를 사용하여 flow cytometery해석을 실시하는 한편 125I-hGH binding assay에 의하여 hGH binding activity를 측정하였다. 최종적으로 GH signal transduction의 target genedf으로 알려져 있는 serine protease inhibitor 2.1(Spi 2.1) gene의 promotor activity를 검토한 결과 hGHR을 transfect한 CHO Cell에 있어서 hGH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cloning한 cDNA hGHR는 native hGHR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것으로 판명되었다..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 PDF

A Study on Urban Construction Archives Management Business of China (중국의 도시건설 기록물 관리사업에 대한 고찰)

  • Han, Mi-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7 no.4
    • /
    • pp.5-21
    • /
    • 2003
  • This thesis concerns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of China in the 20th century 12 items of state level construction archives, 11 categories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was initially studied. And studies on data collection method, obligations and range of service, etc.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center were conducted as well.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was aggressively pursued in terms of national policy, based on the state plan to construct medium-sized and large cities and Mao ZeDong(毛澤東)‘s direction regarding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s. As a result, there happened to be various levels and types of 3,186 archive centers, as of 2003. And the archives centers of urban construction have been estavlished in 662 cities all over China so far, while the establishment of the urban construction archives centers was pursued only in 42 cities in 1960s. Another point to note is that staff members of junior college or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ccount for 70% - 80% of overall human resources of the archives center of urban construction, while 60 - 70% of them are technical level. This make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represent at least 60% of the total human resources of the centers. This is a result of effort of China to enhance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 And through the study on the situation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business in Beijing(北京), it was learned that urban construction archives are being collected and managed in archives centers of the respective areas as well as in professional archives centers of urban construction. Some suggestions were also made regarding what kind of direction Korea should take to pursue the business of urban construction archive management.

APEC Mining Task Force 개요

  • Heo, Cheol-Ho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110-110
    • /
    • 2010
  • 2009년 7월 23일-24일 양일간의 APEC MTF 컨퍼런스는 APEC 회원 경제가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광업부문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제를 토의할 기회를 제공했다. 본 컨퍼런스는 APEC의 광업부문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프로젝트의 중요 부분이며 컨퍼런스의 활발한 참여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증진시켰다.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안건이 수년간 APEC의 핵심부분이었으며, 특히 광업장관(MRM)회의에 상정되어 왔다. 2004년 6월 칠레 안토파가스타의 제1차 회의에서, 광업장관들은 APEC 지역에서 광업 및 금속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은 부를 창출하고, 환경사업을 창출하며, 사회적으로 책임있는 발전을 도모하며 사회를 위한 향상된 가치를 만들어낸다는데 동의했다. 초기의 action item들 중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있어서 광물 및 금속의 기여를 규명하는 것도 있었다. 광업에 있어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안건의 토의는 2005년 10월 한국의 경주 제2차 APEC MRM 회의에서 속계되었다. 관련된 action task는 채광 후 토지운영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기술, 광업 오염 통제 기술과 같은 환경친화적인 채광기술에 대한 정보교환 및 협조를 독려하는 것이었다. 2007년 호주 퍼스의 제3차 회의에서 APEC MRM 회의는 특히 지구화의 시대에 APEC 지역 광물자원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긴밀한 지역적 협조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다. 장관들은 역시 광업부문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APEC 위상을 정립하기 위한 작업을 주도하기로 했으며 APEC 경제의 공통관심사를 UNCSD에 반영키 위한 자료제공을 하기로 결정했다. APEC 광업분야의 지속 가능한 개발에 관한 APEC MTF회의는 호주, 캐나다, 칠레, 중국, 인도네시아, 일본, 말레이시아, 파푸아 뉴기니, 페루, 필리핀, 한국, 러시아, 싱가포르, 타이완, 태국, 미국, 베트남에서 자신들의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활동에 관한 발표나 의견을 제시하였다. 세계 은행이나 AIM에서도 발표를 하였다. 중요한 소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cdot$ APEC MTF가 APEC 광업분야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는데 있어 적절한 포럼이라는 것 $\cdot$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CSR)을 성실히 이행할 필요가 있다는 것 $\cdot$ 수자원과 인적자원의 부족을 다룰 필요가 있다는 것 $\cdot$ 적절한 광산 복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국은 "광업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과 광업간의 균형"이라는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는 한국측 프로젝트 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러시아 연방은 "광업에 있어 투자 활성화"라는 프로젝트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이 관점에서 MTF는 APEC 투자전문가 그룹과의 협력을 지지했으며 이 포럼간 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APEC 사무국에 요청했다. 이 프로젝트는 세계 광업분야의 투자를 증진시키는 최적관행 분석에 따라 제안될 것이고 수행될 것이다. 말레이시아는 광업 및 광업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지시자를 위한 역량구축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태국은 말레이시아의 제안을 지지했으며 공동프로젝트를 제안했다.

  • PDF

Geo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Sparsely Obtained Seismic Data Combined with Satellite Gravity Data (탄성파 자료의 해양분지 구조 해석 결과 향상을 위한 인공위성 중력자료의 지구통계학적 해석)

  • Park, Gye-Soon;Oh, Seok-Hoon;Lee, Heui-Soon;Kwon, Byung-Doo;Yoo, Hai-Soo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0 no.4
    • /
    • pp.252-258
    • /
    • 2007
  • We have studied the feasibility of geostatistics approach to enhancing analysis of sparsely obtained seismic data by combining with satellite gravity data. The shallow depth and numerous fishing nets in The Yellow Sea, west of Korea, makes it difficult to do seismic surveys in this area. Therefore, we have attempted to use geostatistics to integrate the seismic data along with gravity data.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this approach, we have extracted only a few seismic profile data from previous surveys in the Yellow Sea and performed integrated analysis combining with the results from gravity data under the assumption that seismic velocity and density have a high physical correlation. First,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xtracted seismic profiles and depths obtained from gravity inversion. Next, we transferred the gravity depth to travel time using non-linear indicator transform and analyze residual values by kriging with varying local means. Finally, the reconstructed time structure map was compared with the original seismic section given in the previous study. Our geostatistical approach demonstrates relatively satisfactory results and especially, in the boundary area where seismic lines are sparse, gives us more in-depth information than previously availabl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ational Marine Pollution Response Policy based on the Analysis of Gulf of Mexico Oil Spill Incident (미국 멕시코만 오염사고 분석을 통한 국가방제정책 개선방안 연구)

  • Kim, Sang-Woon;Lim, Chang-Soo;Lee, Wan-Sub;Ha, Chang-W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7 no.3
    • /
    • pp.257-264
    • /
    • 2011
  • On April 20, 2010, semi-submersible offshore drilling unit Deepwater Horizon was exploded and sank, and 4.9 million barrels(about 778 thousand tons) of crude oil was spilled into the Gulf of Mexico. As more than one year has been passed since the incident, a lot of investigation reports and lessons learned have been made public and also a lot more will be released soon. This paper studies the final report of the National Commission on "the BP Deepwater Horizon Oil Spill and Offshore Drilling", which was organized by the executive directive of U.S. President Barack Obama, and the interim report of Joint Investigation team of U.S. Coast Guard and BOEMRE of "Report of Investigation into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Explosion, Fire, Sinking and Loss of Eleven Members Aboard the Mobile Offshore Drilling Unit Deepwater Horizon". The review is focused on the response to the oil spill. And the paper suggests how to improve national marine pollution response policy. In the paper, the Korean governments is suggested to reinforce the capability for instructing and supervising the responsible party's source control measures, to review how to introduce in-situ burning and vessel of opportunity program into our country, and to continue monitoring on the progress of developments of R&D projects related to oil spill response in the U.S..

A Study on Considerations in the Authority Control to Accommodate LRM Nomen (LRM 노멘을 수용하기 위한 전거제어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 Lee, Mihwa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52 no.1
    • /
    • pp.109-128
    • /
    • 2021
  • This paper is to explore considerations in authority control to accommodate LRM nomen entiti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the analysis of RDA rules, and the opinion survey of domestic catalog experts. As a result, for authority control, considerations were proposed in the aspect of nomen's attribute elements, catalog description, and MARC authority format. First, it is necessary to describe in as much detail as possible the category, the scheme, intended audience, the context of use, the reference source, the language, the script, the script conversion as the attributes of the nomen with the status of identification, note, and indifferentiated name indicators added in RDA. Second, the description method of attribute elements and relational elements of nomen can be unstructured, structured, identifier, and IRI as suggested in RDA, and vocabulary encoding scheme (VES) and string encoding scheme (SES) should be written for structured description, Also, cataloging rules for structuring authorized access points and preferred names/title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n additional expansion plan based on Maxwell's expansion (draft) was proposed in order to prepare the MARC 21 authority format to reflect the LRM nomen. (1) The attribute must be described in 4XX and 5XX so that the attribute can be entered for each nomen, and the attributes of the nomen to be described in 1XX, 5XX and 4XX are presented separately. (2) In order to describe the nomen category, language, script, script conversion, context of use, and date of usage as a nomen attribute, field and subfield in MARC 21 must be added. Accordingly, it was proposed to expand the subfield of 368, 381, and 377, and to add fields to describe the context of use and date of usage. The considerations in authority control for the LRM nomen proposed in this paper will be the basis for establishing an authority control plan that reflects LRM in Korea.

A Study on the Reduction of Falling Deaths Using 4M (4M을 활용한 떨어짐 사망사고 저감 방안 연구)

  • Kim, Seung Eun;Park, Jong Young;Kim, Young Kwe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1
    • /
    • pp.143-153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ata from the Ministry of Health, Safety and Health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total number of deaths (disease + accidents) reached 2,020 in 2019 and the estimated economic loss was 27.6 trillion won. This is believed to be the time to present improvements to ensure that economic loss estimates are steadily increasing as in Table 1, and that government-level losses can be drastically reduced. Method: In this study, factors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reliabilit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term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the Jamovi program for the analysis of results. Result: Multiple s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indicated in this study, and the analysis showed that mechanical and management factors did not affect the fall death accident of the opening, and human factors, mater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d a static effect. In addition, mechanical and administrative factors do not affect the fall of the outer wall, and human and mater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have a static effect. Conclu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450 falling deaths over the past 13 years among the data posted to the Korea Health and Safety Corporation, the most common causes of falling deaths were the openings and outer walls.

The Impa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A Survey of Reading Academy Participants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Mi Ok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3
    • /
    • pp.27-4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ials who participated in the reading academy from January 2023 to March 2023. The research involved collecting 300 questionnaires and conduct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obtain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elow. Impa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inappropriate compensation significantly increases job stress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the reading academy. Moreover, the study found that turnover intention was particularly high when compensation was not recognized as appropriate, indicating it as the most significant source of job stress. Impact of Job Stress on Life Satisfaction: The findings demonstrate that several factors negatively influence job stress, leading to reduced life satisfaction amo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the reading academy. These factors include undesirable changes in working conditions or situations, anxiety about reorganization, inconsistent work orders, gender discrimination, and an authoritative organizational atmospher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indicated that turnover intention and remuneration level in job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emotional satisfaction. Conversely, the job it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otional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job itself and the level of remuneration in job satisfa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hysical satisfaction. Similarly, the job itself and the level of remuneration in job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ed social satisfaction, while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 (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우리나라 사고예방과 재난관리 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Lee, In-Soo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1 no.1
    • /
    • pp.289-316
    • /
    • 2000
  •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사회 재난 관리계획과 훈련이 보건의료적 모형이라기 보다는 민방위 모형에 입각하기 때문에 사고 현장에서의 환자 중증도 분류, 합리적 환자배분 및 이송, 병원 응급실에서의 대처 등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지역사회가 이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삼풍 붕괴사고 시에 대응방식과 그 후의 우리나라 응급의료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대형사고 예방과 재난관리를 위한 우리나라 응급의료체계의 개선방안과 간호교육에서의 준비부분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삼풍 사고 발생시에는 이를 관장할 만한 법적 근거인 인위적 재해에 관한 재난관리법이 없었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의학적 명령체계를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응급 처치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현장에서의 중증도 분류. 응급조치와 의뢰, 병원과 현장본부 그리고 구급차간의 통신 체계 두절, 환자 운송 중 의료지시를 받을 수 있도록 인력, 장비, 통신 체계가 준비되지 못하였던 점이 주요한 문제였다. 또한 병원 응급실에서는 재난 계획이 없거나 있었더라도 이를 활성화하여 병원의 운영 체계를 변환해가지 못하였다. 2.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한달 후에는 인위적 재해에 대한 재난관리법이 제정되고, 행정부 수준별로 매년 지역요구에 합당한 재난관리 계획을 세우도록 법으로 규정하였다. 재난 관리법에는 보건의료 측면에서의 현장대응, 주민 참여, 응급 의료적 대처, 정보의 배된. 교육/훈련 등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법적 기반이 마련된 이후에도 한국 재난 계획 내에는 응급의료 측면의 대응 영역은 부처간 역할의 명시가 미흡하며, 현장에서의 응급 대응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운영 지침이 없이 명목상 언급으로 그치고 있기 때문에 계획을 활성화시켜 지역사회에서 운영하기는 어렵다. 즉 이 내용 속에는 사고의 확인 /공고, 응급 사고 지령, 요구 평가, 사상자의 중증도 분류와 안정화, 사상자 수집, 현장 처치 생명보존과 내과 외과적 응급처치가 수반된 이송, 사고 후 정신적 스트레스 관리, 사고의 총괄적 평가 부분에 대한 인력간 부처간 역할과 업무가 분명히 제시되어 있지 못하여, 사고 발생시 가장 중요한 연계적 업무 처리나 부문간 협조를 하기 어렵다. 의료 기관과 응급실/중환자실, 시민 안전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들과의 상호 협력의 연계는 부족하다. 즉 현재의 재난 대비 계획 속에는 부처별 분명한 업무 분장, 재난 상황에 따른 시나리오적 대비 계획과 이를 훈련할 틀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3. 지방 정부 수준의 재난 계획서에는 재난 발생시 보건의료에 관한 사항 전반을 공공 보건소가 핵심적 역할을 하며 재난 관리에 대처해야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는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 관리 계획을 구성하고 이를 운영하며,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 치료 대응 과정은 구조/ 구명을 책임지고 있는 공공기관인 소방서와 지역의 응급의료병원에게 위임한다. 즉 지역사회 재난 관리 계획이 보건소 주도하에 관내 병원과 관련기관(소방서. 경찰서)이 협동하여 만들고 업무를 명확히 분담하여 연계방안을 만든다. 이는 재난관리 대처에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4 대한 적십자사의 지역사회 주민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연중 열리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주제는 건강증진 영역이며. 응급의료 관리는 전체 교육시간의 8%를 차지하며 이중 재난 준비를 위한 주민 교육 프로그램은 없다. 또한 특정 연령층이 모여있는 학교의 경우도 정규 보건교육 시간이 없기 때문에 생명구조나 응급처치를 체계적으로 배우고 연습할 기회가 없으면서 국민의 재난 준비의 기반확대가 되고 있지 못하다. 5. 병원은 재난 관리 위원회를 군성하여 병원의 진료권역 내에 있는 여러 자원을 감안한 포괄적인 재난관리계획을 세우고, 지역사회를 포함한 훈련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병원은 명목상의 재난 관리 계획을 갖고 있을 뿐이다. 6. 재난관리 준비도를 평가할 때 병원응급실 치료 팀의 인력과 장비 등은 비교적 기준을 충족시키고 있었으나 병원의 재난 관리 계획은 전혀 훈련되고 있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 재난 관리의 준비를 위해서는 현장의 응급의료체계, 재난 대응 계획, 이의 훈련을 통한 주민교육이 선행되어야만 개선될 수 있다. 즉 민방위 훈련 모델이 아닌 응급의료 서비스 모델에 입각한 장기적 노력과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대응 준비와 이의 활성화 전략 개발, 훈련과 연습. 교육에 노력을 부여해야 한다. 7. 현장의 1차 응급처치자에 대해서는 법적으로 명시하고 있는 역할이 없다. 한국에서는 응급구조사 1급과 2급에 대한 교육과 규정을 1995년 이후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고 있다. 이 교육과정은 미국이 정하고 있는 응급구조사 과정 기준과 유사하지만 실습실이나 현장에서의 실습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덧붙여 승인된 응급구조사 교육 기관의 강사는 강사로서의 자격기준을 충족할 뿐 아니라 실습강사는 대체적으로 1주일의 1/2은 응급 구조차를 탑승하여 현장 활동을 끊임없이 하고 있으며, 실습은 시나리오 유형으로 진행된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경우 응급 구조사가 현장 기술 인력으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 시켜야하며, 졸업생은 인턴쉽을 통한 현장 능력을 배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8. 간호사의 경우 응급전문간호사의 자격을 부여받게 됨에 따라, 이를 위한 표준 교육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병원 전 처치와 재난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보완해야 한다. 또한 현 자격 부여 프로그램 내용을 고려하여 정규자격 간호사가 현장 1차 치료자(first responder)로 역할 할 수 있도록 간호학 교과과정을 부분 보완해야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me-Based Integrated Unit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and Analysis of it's Effects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개발 및 효과 분석)

  • Park, Soo-Kyong;Kim, Sang-Dal;Ju, Gook-Yong;Nam, Youn-K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5
    • /
    • pp.350-35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unit by the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o analyze it's effects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wards science learning. 'Interaction' and 'Stability' were selected as the integrated themes, and the main concept and subconcept in relation to the themes were extracted from the four areas of science, a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nstructed in the integrated ways. While the main concept have relevance to subconcept in the interaction, the main concept have little relevance to subconcept in the stability. Therefore, the stability was to fit with middle school integrated science theme, but the interaction was not. The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units developed was implemented in middle school, and the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science achievement of group of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Second, the scores of the test of attitude toward science learning of the group of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group of traditional teaching. Third,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was positive. The students have participation, interest, motivation in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and student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theme-based integrated science teac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