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적인 굴 생산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조미 훈제굴 통조림의 제조 및 그 기호 특성

  • 김영명;김은미;정혜정;강상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78-179
    • /
    • 2001
  • 굴은 년간 생산량이 20만톤 전후로 전체 패류 생산의 약52% 이상 점유하고 양식생산 비증서 90%를 상회함으로서 어업생산 및 어가 소득, 농어촌 지역의 고용 창출 효과 측면 외에도 남해안수산업 발전의 상징적 의미까지 내포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굴 가공의 년간 생산량은 13,000톤 전후로 통조림과 냉동품의 생산 비중이 전체 굴가공품의 90% 이상을 점하며 가공품의 대부분이 수출되고 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중국, 호주, 등 후발 개도국 및 자원부국과의 수출경쟁 심화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없을 경우 한국산 굴제품의 국제적 경쟁력 저하가 예상되는 등 지속적 수출시장 확보 노력이 필요한 상품이다. (중략)

  • PDF

산지별 참굴, Crassostrea gigas의 양성 해역별 성장에 관한 연구

  • 김성연;박미선;양문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508-509
    • /
    • 2000
  • 우리나라의 굴 양식업은 1970년대 수하식 굴 양식기술 개발보급으로 계속 증대 발전하였으나, 연안의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한 수질환경 악화 그리고 장기간의 집약적 양식에 의한 어장 노화와 양식 굴의 품종 열화 등에 원인하여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양식 생산량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굴 양식의 지속적 생산 방안의 모색을 위하여 환경 적응력이 강한 굴 품종을 선발하고 변화된 어장환경을 이해하고자, 산지별 굴의 양성 해역별 양성시험을 실시하여 굴의 성장도, 비만도 및 생존율의 비교 조사와 그리고 환경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중략)

  • PDF

염류, 당 및 당알콜 처리가 굴의 수분활성에 미치는 영향

  • 김영명;김은미;김동수;도정룡;한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136-137
    • /
    • 2000
  • 굴은 년간 생산량이 20만톤 전후로 전체 패류 생산의 약 52% 이상 점유하고 양식생산 비중이 90%를 상회함으로서 어업생산 및 어가소득, 농어촌 지역의 고용 창출 효과 측면외에도 남해안 수산업 발전의 상징적 의미까지 내포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굴가공품의 년간 생산량은 13,000톤 전후로 통조림과 냉동품이 생산 비중이 전체 가공품의 90% 이상을 점하는 주요 품목으로 전량이 수출되고 있으나 1990년대 중반부터 중국, 호주등 후발 개도국 및 자원부국과의 수출경쟁 심화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없을 경우 한국산 굴제품의 국제적 경쟁력은 급격히 저하하는 등 지속적 수출시장 확보가 불안한 상품이다. (중략)

  • PDF

Sustainable Management of Oyster Shell By-Products and Recent Research Techniques (굴 패각 부산물의 지속 가능한 처리 및 최근 연구 기술)

  • Nam, Gnu;Lee, Namju;Ahn, Ji Wha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7 no.1
    • /
    • pp.1-11
    • /
    • 2018
  • Oysters have been continuously produced from all around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every year. The oyster shell by-products accompanied by the oysters have caused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the absence of any method or technique to deal with the by-products. In order to solve those problems, diverse researches and environmental friendly methods using the oyster shells are in development by now due to the possibility as cheap materials.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worldwide status of oyster shells and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oyster shells. In addition, we discuss the recent trends about the sustainable methods to utilize the oyster shells.

벗굴, Ostrea denselamellosa의 채묘와 양성방법에 따른 치패의 성장

  • 양문호;김형섭;이재용;정지현;한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42-343
    • /
    • 2001
  • 우리나라에서 굴양식은 최근에 와서 채묘 및 종묘수급의 불안정으로 생산량 변동 폭이 커질 뿐만 아니라 그 생산량도 점차로 줄어들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어민소득향상과 굴 생산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서는 환경적응 능력이 강하고 고부가 가치성을 가진 새로운 양식 대상품종을 개발하여 굴 양식을 다원화 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양식대상 종의 선정은 양식 주 종인 참굴과는 생태학적으로 경쟁적 위치에 있지 않은 종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중략)

  • PDF

통영 북만의 굴양식장 적정관리에 관한 연구 IV. 환경용량

  • 정우건;조창환;조상만;최우정
    • Proceedings of the Malaco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11a
    • /
    • pp.37-38
    • /
    • 2001
  • 굴과 같은 이매패 양식장에서의 어장 환경 용량은 생물 서식환경의 질적, 양적 저하 없이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생물의 양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환경용량이란 환경의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최대 생산을 얻을수 있는 최대 생산을 오염부하 즉 자정 능력적 의미를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연안 양식장은 대상해역에 따라 해수유동과 같은 물리적 특성, 해역이용 실태, 오염부하량 등 환경특성이 다양함으로 환경용량은 서로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통영시에 인접하여 도시하수의 영향으로 인하여 부영양화 되어 있다. 굴 양식이 행하여지는 북만을 대상으로 하여 양식 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환경용량을 생태유체역학 모델(藏本·中田,1991)을 이용하여 산정하고, 최적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들을 검토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Bivalve Culture Management System based on GIS for Oyster Aquaculture in GeojeHansan Bay (거제한산만 굴 양식장에 대한 GIS 기반 어장관리시스템 개발)

  • Cho, Yoon-Sik;Hong, Sok-Jin;Kim, Hyung-Chul;Choi, Woo-Jeung;Lee, Won-Chan;Lee, Suk-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6 no.1
    • /
    • pp.11-20
    • /
    • 2010
  • Oyster production i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domestic aquaculture, but facing some problems such as exports decrease, a slowdown in domestic demand and marin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order to obtain the suitable and sustainable oyster production, suitable sites selection is an important step in oyster aquacul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uitable sites for lunging culture of oyster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based multi-criteria evaluation methods. Most of the parameters were extracted by Inverse Distance Weighted(IDW) methods in GIS and eight parameters were grouped into two basic sub-models for oyster aquaculture, namely oyster growth sub-model(Sea Temperature, Salinity, Hydrodynamics, Chlorophyll-a) and environment sub-model(Bottom DO, TOC, Sediment AVS, Benthic Diversity). Suitability scores were ranked on a scale from 1(leased suitable) and 8(most suitable), and about 80.1% of the total potential area had the highest scores 5 and 6. These areas were shown to have the optimum condition for oyster culture in GeojeHansan Bay. This method to identify suitable sites for oyster culture may be used to develop bivalve culture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a decision making.

가막만 패류양식의 지속성에 관한 에머지 평가

  • O, Hyeon-Taek;Lee, Seok-Mo;Lee, Won-Chan;Jeong, Rae-Hong;Park, J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89-291
    • /
    • 2007
  • 본 연구의 대상해역은 여수반도 남단에 위치한 가막만은 굴을 비롯한 패류양식 생산활동에 기여하는 자연환경의 실질적인 가치와 인간경제 시스템에 대한 EMERGY 분석법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기초로 넙치생산의 지속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2004년 통계를 기준으로 가막만 양식에 유입되는 총 EMERGY의 양은 33.42E+19 sej/yr이고, 이 중 자연환경으로부터 영속성 에너지는 2.95E+20 sej/yr 이며, 주 경제로부터 유입되는 비영속성 에너지는 3.92E+19 sej/yr이다. 자연환경으로부터의 유입이 전체 에너지원의 88%이고, 주 경제로부터의 유입은 12%로서 환경자원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1차 산업의 구조적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Net EMERTY yield ratio는 8.52으로 이는 주 경제로부터 투입된 에너지(비영속성 에너지)에 대해 8배 만큼 수산물을 얻을 수 있는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EMERGY Investment Ratio 0.13은 주 경제로부터 유입된 에너지의 약 7배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자연환경에서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EMERGY량이 모두 현재의 EMERGY 생산비대로 생산이 된다는 가정하면 가막만의 패류(굴) 생산량은 환경수용량의 50%정도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hanges in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after Spawning Season in Off-bottom Culture (수평망식 양식 굴, Crassostrea gigas의 산란기 이후 생태·생리학적 특성 변화)

  • Kim, Su Kyoung;Choi, Eun Hee;Han, Hyun Seob;Lim, Hyun Jeong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28 no.3
    • /
    • pp.215-223
    • /
    • 2012
  • The ec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in Taean area, west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after main spawning season from September 2011 to January 2012 to confirm the recovery process of condition. The cupped oysters, from 4 different off-bottom culture areas were compared the gonad indices, histological analysis combined with measurement of RNA/DNA contents and ratios in gonad of each sex were undertaken. To evaluate the health condition of oyster after spawning, the RNA/DNA ratio in adductor muscle, fatness and condition index (CI)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cupped oysters cultured in Uihang coastal area were different physiological aspects than other experiment areas, namely continuously decreasing RNA/DNA content and ratio in adductor muscle, lowest CI and fatness. Oysters cultured in Iwon Station 1 and 2 showed fast recovery in RNA/DNA, increase in fatness and CI during post-spawning stage until October rapidly and there after it decreased. Oysters in Shinduri showed rapidly decrease in fatness and CI until October. On the contrary to this factors, RNA/DNA ratio in adductor muscle increased as like protein until October. Partially spawning season could be observed until December in Shinduri and Iwon Station 1.

Sanitary characteristics of Seawater and Oyster (Crassostrea gigas) in Goseong Bay, Korea (경남 고성만 굴양식장의 위생학적 특성)

  • Lee, Sang-Jun;Jeong, Woo-Geon;Koo, Jun-Ho;Kwon, Jung No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32 no.3
    • /
    • pp.157-164
    • /
    • 2016
  • For the hygienic production of oyster at Goseong ba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rine bacteriological condition of the area from 2008 to April 2009. Average sea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ranged $2.8-19.3.0^{\circ}C$ and 32.61-34.91 psu, respectively. The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of seawater ranged < 1.8-4,900 MPN/100 mL and < 1.8-700 MPN/100 mL, respectively. The coliform group of oyster (Crassostrea gigas) ranged < 1.8-13,000 MPN/100 g. Fecal coliform of oyster ranged and < 1.8-310 MPN/100 g. Only one of 140 samples was exceeded in the U.S NSSP standard (> 230 MPN/100 g) of fecal coliform. Fecal coliform in seawater was on the level of clean sea, below the U.S. NSSP standards, and the contents of fecal coliform and heavy metals in cultured oyster were also below the U.S. NSSP, heavy metal standards, showing that the sea area is bacteriologically sa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