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상파 항법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지상파 전파항법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한 eLoran Emulator 개발

  • Kim, Yong-Seok;Seol, Gwa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96-198
    • /
    • 2017
  •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선진국에서는 GNSS와 같은 위성항법시스템의 취약성에 대한 대비하기 위한 고정밀도의 지상파 전파항법시스템을 독자적으로 개발하여 운영 중에 있지만, 우리나라는 1979년도에 도입한 외산장비로 포항 및 광주 송신국을 구축하여 Loran-C 체인으로 지상파 전파항법시스템을 운영 중에 있다. 특히 위성항법시스템이 없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어느 위성항법시스템에 종속되지 않는 고정밀도의 지상파 eLoran 전파항법시스템 개발이 더욱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 개발에서는 고정밀도의 eLoran 지상파 항법시스템 개발에 앞서 eLoran 송수신 시스템을 검증하고, 실제 공간상의 채널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eLoran emulator를 개발하였다.

  • PDF

지상파 기반 항법을 위한 VDES-TER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

  • 김혜진;한재웅;김원용;유진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02-204
    • /
    • 2023
  • 제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해양 분야에서도 해양산업혁명의 대표 분야인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자율운항선박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서는 정확한 위치, 항법, 시각 정보가 필수적이다. 현재 해양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항법시스템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지만 전파교란, 해킹 등의 취약성이 존재한다. 현재 GPS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다양한 항법시스템이 연구되고 있으며, 그 중 다양한 지상파 신호를 동시에 활용하는 지상파 통합항법시스템 R-MODE(Ranging mode)가 있다. 본 논문은 지상파 통합항법시스템 R-Mode 기술 중 지상파 VDES 신호를 활용한 VDES R-Mode에 대한 연구현황 및 향후 계획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지상파 통합항법 서비스의 성능예측 시뮬레이션 툴 설계

  • Son, Pyo-Ung;Han, Yeong-Hun;Lee, Sang-Heon;Park, S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0-212
    • /
    • 2019
  • 위성항법시스템의 취약성에 따른 보완 시스템의 필요가 높아지면서, eLoran 시스템이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우리나라도 서해 일부 지역에서 eLoran 시스템의 테스트베드 구축 사업을 진행 중에 있다. 전 해양지역에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송신국 설치가 필요하지만. 여러가지 현실적인 이유로 인해 추진되기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NDGNSS 기준국을 활용한 측위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미 운영 중인 NDGNSS 기준국을 활용하면 전 해상에서 탄력적 항법시스템 운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eLoran 시스템과 NDGNSS의 기준국을 활용한 지상파 통합항법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툴을 제작 하였다. ITU에서 배포한 송출 주파수와 거리에 따른 신호 세기, 대기잡음 등을 고려해 Cramer-Rao Lower Bound로 수신 신호의 측정 거리 오차를 계산하였다. 또한 한빛호가 항해하면서 수집한 DGPS 신호를 통해 실질적인 대기잡음을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해 기존보다 정확한 SNR 계산이 가능해졌다. 해당 결과는 추후 진행될 지상파통합항법시스템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시각동기 분야에 eLoran 활용성 분석

  • Park, Sang-Hyeon;Seo, Gi-Yeol;Hwang, Tae-Hyeon;Han, Ye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3-214
    • /
    • 2019
  • eLoran 지상파 전파항법시스템은 위성항법시스템 전파교란에 대비한 백업시스템으로 인정 받고 있다. 따라서 해양분야에서는 위성항법시스템을 이용한 측위와 항법분야에서 전파교란이 발생하는 경우에 대비한 eLoran 활용이 주요 관심사였다. 그러나 위성항법시스템은 측위와 항법분야 이외에 시각동기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AIS의 시각동기이다. 본 논문에서는 eLoran 지상파 전파항법시스템이 시각동기분야에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eLoran 시각동기 성능에 대해 분석하고, 활용 가능 응용분야에 대해 알아본다.

  • PDF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Tool to Predict a Coverage of the R-Mode System (지상파 통합항법 서비스의 성능예측 시뮬레이션 툴 개발)

  • Son, Pyo-Woong;Han, Younghoon;Lee, Sangheon;Park, Sangh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3 no.6
    • /
    • pp.429-436
    • /
    • 2019
  • The eLoran system is considered the best alternative because the vulnerability of satellite navigation systems cannot be resolved as perfect. Thus, South Korea i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testbed of the eLoran system in the West Sea. To provide resilient navigation services to all waters, additional eLoran transmitters are requir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eLoran transmitters because of various practical reasons. Instead, the positioning with NDGNSS/AIS source can expand the coverage and its algorithm with applying continuous waves is under development. Using the already operating NDGNSS reference station and the AIS base statio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navigation system with higher accuracy than before. Thus, it is crucial to predict the performance when each system is integrated.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 simulation tool that can predict the performance of terrestrial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using the eLoran system, maritime NDGNSS station and the AIS station. The esitmated phase error of the received signal is calculated with the Cramer-Rao Lower Bound factoring the transmission power and the atmospheric nois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frequency distributed by the ITU. Additionally, the simulation results are more accurate by estimating the annual mean atmospheric noise of the 300 kHz signal through the DGPS sign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maritime NDGNSS station. This approach can further increase the reliability of simulation results.

항구 입출항용 항법 요구성능을 위한 우리나라 R-Mode 항법시스템의 테스트베드 개발 현황

  • 황태현;한영훈;손표웅;김영기;서기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209-211
    • /
    • 2022
  • 우리나라 R-Mode(Ranging Mode) 항법시스템은 국제해사기구(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에서 요구하는 항구 입출항용 항법 요구성능(정밀도 10m)을 만족하도록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R-Mode 항법시스템은 위성국 송출을 기반으로 하는 GPS와 달리 지상국 송출을 기반으로 한다. 또한 신호가 세기가 높아서 의도적 전파간섭이 어려우므로 국제해사기구가 요구하는 강인한 PNT(Resilient PNT) 시스템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요구조건과 기회신호(SoOp, Signal of Opportunity)의 국내 환경에 맞추어 중파(MF, Middle Frequency) 및 초단파(VHF, Very High Frequency)를 이용하는 항법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지원으로 2020년에 착수하여 4국의 중파 R-Mode 송신국과 3국의 초단파 VDES R-Mode 송신국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항법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R-Mode 보정시스템과 R-Mode 감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해양에서 R-Mode 항법시스템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중파 R-Mode 수신기, VDES R-Mode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합항법수신기를 함께 개발하고 있다. 항법 송신기 및 수신기의 성능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는 기존의 지상파 항법(eLoran) 서비스 영역, 중파 R-Mode 서비스 영역 및 주요 항만 등을 고려하여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항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보정국 및 감시국을 포함하는 테스트베드 기지국은 대산항에 설치하여 운영을 시작하였다. 테스트베드 실해역 시험을 통한 성능 검증은 2023년 상반기에 진행될 계획이다.

  • PDF

위성항법보정시스템(DGNSS) 서비스 다원화에 대한 고찰

  • Im, Yeong-Min;Gong, Hyeo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283-285
    • /
    • 2015
  • 위성항법보정시스템 이용 분야의 현황을 파악 및 분석하여 지상파 DMB 등으로 활용분야를 확대하여 해양교통 분야 및 육상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함.

  • PDF

한국의 eLoran FOC 구현을 위한 전략에 관한 연구

  • Guk, Seung-Gi;Kim, Jeong-Rok;Park, Hye-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66-369
    • /
    • 2013
  • 위치, 항법 및 시각정보가 육상, 해상, 항공 등 지구상 거의 모든 공간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위성항법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ite System)은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미국이 제공해 주는 GPS의 고의잡음(SA)제거 및 성능 향상을 통하여 GNSS를 이용한 응용분야의 발전은 더욱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위성항법시스템의 P.N.T(Position, Navigation and Timing) 서비스 기능을 사회의 전박적인 주요 인프라 시설에 기초적인 원리의 정확성을 더하고 지속성과 무결함성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을 가지고 여러분야에 활용되고 있으나 지상에서 약20,200km 고도에 위치한 인공위성에서 미약한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GNSS 수신기가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동일한 주파수 밴드의 신호에 영향을 받을 경우 정상적인 역할을 할 수 없다. 우리나라의 경우 P.N.T 서비스 기반 자체가 GPS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유사시 이를 대체할 항법 시스템을 별도로 갖추고 있지 않고 있어 미국의 고의적인 GPS 서비스의 중단이나 주변국가의 방해전파 송신으로 인한 GPS 신호 중단사태가 발생할 경우에는 우리나라 국가 주요 인프라에 치명적인 피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에 대체항법을 시스템을 구축하여 독자적인 P.N.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국가적인 차원에서 절실하게 필요하다.

  • PDF

보완항법시스템 eLoran의 활용

  • Son, Pyo-Ung;Seo,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372-373
    • /
    • 2013
  • 위성항법시스템(GNSS)에 대한 전파교란에 대응하기 위한 보완항법시스템인 eLoran은 고출력의 지상파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파교란이 현실적으로 힘들다는 장점이 있다. eLoran 신호는 세계표준시(UTC)에 동기화 되어있어서 송신 출력에 따라 실내와 같이 GNSS 신호의 수신이 힘든 경우에도 정확한 시각(timing)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eLoran을 이용한 시각 정보 제공은 미국 국방부(DoD)에서도 최근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또한 eLoran은 자체 데이터 채널을 보유하고 있어서 eLoran 보정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전파기만에 대비하여 eLoran 신호인증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전파교란의 영향을 받지 않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각종 분야에서 eLoran 데이터 채널의 활용이 가능하다. 현재 우리나라는 GNSS를 보완하는 위치 항법 시각(PNT) 시스템으로써 2018년 정상 운용을 목표로 eLoran 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