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붕외장재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7초

Cool Roof 성능을 확보한 Honey Comb Panel 지붕 접합부의 인발 성능 평가 (Evaluation of Pull-Out Strength of Connections with Roof Cladding using Honey Comb Panel Secured Cool Roof Performance)

  • 이인호;박상우;고광일;정미자;이은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139-149
    • /
    • 2016
  • 건물의 지붕 외장재는 강한 풍압 또는 태풍으로 인한 부압으로 지붕 외장재와 지붕 골조 간에 접합철물인 스크류가 인발되어 지붕외장재의 박리, 비산을 초래함으로써 인명, 재산적 피해가 발생함으로서 스크류 인발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서트 너트'라는 철물을 지붕외장재가 설치되는 프레임에 체결하여 스크류의 관통 깊이를 증가시켜 인발 저항력을 높였으며 시험편 인장실험을 통한 단순 스크류 접합과 인서트 너트 접합의 인발 강도를 비교하였고 Solid Work를 이용한 모델링 해석을 통해 실제 사용되는 지붕외장재와 동일한 조건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정적실험 및 가상의 풍하중을 이용한 동적실험을 통해 일반적인 스크류 접합 지붕외장재와 인서트 너트를 사용한 지붕외장재를 비교하였다.

도심지 인접 산불의 불티 확산이 건축물 외장재와 지붕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Spread of Firebrand on Building Exterior Materials and Roofing Materials in Urban Areas)

  • 민정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617-626
    • /
    • 2021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도심지 인접에서 발생하는 산불의 불티로 인한 건축물 외장재 및 지붕재의 화재확산 위험성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건축물의 외장재와 지붕재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를 선별하여 착화시간, 총 방출열량, 열방출률을 확인하고 산불 불티 비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불 불티로 인한 각각의 재료에 대한 화재 확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콘칼로리미터 실험결과 지붕재는 철판이 외부에 노출된 외장재에 비해 복사열로 인한 착화시간이 비슷하거나 빨랐으며 외장재보다 높은 열방출률과 총 방출열량을 나타냈으며, 불티 비화 실험에서 외장재는 하부에 가연물이 착화함에 따라 영향을 받았으나 제한된 가연물의 양으로 쉽게 확산하지 않고 내부에서 탄화흔이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지붕재의 경우 사용 재료에 따라 불티로 인한 가연물 착화로 쉽게 녹고 주변으로의 확산에 기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콘칼로리미터 실험 방법은 복사열로 건축자재의 연소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산불에서 불티로 인한 화재확산은 주변 가연물의 착화로 직접 화염에 영향을 받아 콘칼로리미터 방법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찾는 것은 어려움이 있고 외장재에 비해 지붕재가 불티로 인한 화재 확산에 더 취약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붕하중 증가에 따른 공장건물 안정성확보를 위한 지붕외장재의 구조성능정보의 필요성 (The Necessity of Structural Performance Informations of Sandwich Panels for The Stability of Industry Building using Sandwich Panel as Roof Assemblies.)

  • 강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725-730
    • /
    • 2017
  • 구조해석기법의 발전과 경제성을 중시하는 현실에 의해 건축물 주골조의 모멘트 강도비($M_u/{\Phi}M_n$)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붕재로 샌드위치패널을 사용하는 건축물의 안전성검토를 위하여, 지붕하중의 증가에 따른 구조해석을 실시하여 주구조부재의 $M_u/M_y$$M_u/M_p$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해석모델은 PEB구조 건물과 일반 H형강구조 건물을 대상으로 지붕하중을 증가시켜 구조해석을 실시하였다. 해석결과 해석모델의 지붕 설계하중의 약11% 증가할 경우, 주구조부재의 $M_u/M_y$가 1을 초과하였고, 약 36% 증가할 경우 작용모멘트가 소성모멘트보다 커져 부재의 파괴가 예상되었다. 중도리간격에 따른 지붕외장재가 지지할 수 있는 최대하중, KS기준에서 제시한 최대하중, 외장재생산업체의 시험값으로 산정한 최대하중을 비교하였다. 3가지 방법으로구한 패널이 지지할 수 있는 최대하중값은 주구조부재의 파괴가 예측되는 하중보다 큰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예상치 못한 지붕하중 증가로 인해 외장재의 파괴이전에 주구조부재의 파괴로 인한 구조물 전체 붕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지붕외장재의 구조성능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필요성과 외장재 역시 구조설계대상임을 알 수 있었다.

지붕재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12호통권143호
    • /
    • pp.143-150
    • /
    • 2005
  • 주택외간의 품격을 좌우하는 요소인 지붕에 주로 사용되는 자재는 기와이다. 과거에는 주로 재래식 한식기와가 사용되었지만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고 양식기와인 스패니시 기와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외장재로 많이 사용되는 자재들과 가장 잘 어울리기 때문이지만 외벽에 돌이 사용된 경우에는 천연슬레이트가 더 적합하다. 최근에는 컬라아스팔트 슁글이 지붕재로 각광을 받고 있는데 미려한 외관을 만들 뿐만 아니라 방수효과도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 한 장두장 이상 겹쳐져 시공되기 때문에 내구성도 강하고, 강인한 글래스매트나 다공성 원지를 심재로 특수개질 아스팔트를 합쳐 채색된 돌입자로 표면을 처리하여 내후성 · 내변색성도 강하다. 무게도 기와의 1/5이 안돼 구조체의 하중부담을 줄여 안정성을 기할 수 있다. 이외의 지붕재로 금속제품, 유리, 태양열 주택의 집열판 등 부분적인 지붕으로 사용되는 것으로가 한때 유행했던 콘크리트 슬라이브 등을 들 수 있다.

  • PDF

피뢰시스템 자연적 구성부재로서의 0.9 mm 금속지붕패널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0.9 mm Metal Roof Panels as a Natural Component of Lightning Protection System)

  • 이태형;김동규;엄주홍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5년도 제46회 하계학술대회
    • /
    • pp.1553-1554
    • /
    • 2015
  • 건축물의 외장재로 널리 쓰이는 금속지붕패널을 피뢰시스템의 자연적 구성부재로 적용하기 위해 KS C IEC 62305-3 규격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금속패널을 피뢰시스템의 자연적 구성부재로 적용할 수 있다면 피뢰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 건축물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 아니라 경제성과 시공성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KS C IEC 62305-3에서 규정한 자연적 구성부재의 조건을 확인하고 LPL I~IV 등급의 임펄스전류를 인가하여 적용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 PDF

라이즈-스팬 비에 따른 개폐식 돔 지붕의 외장재 설계용 피크순압력계수 (Peak Net Pressure Coefficients for Cladding Design of Retractable Dome Roofs according to Rise-Span Ratio)

  • 천동진;김용철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101-109
    • /
    • 2024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ind pressure distribution on circular retractable dome roofs with a low rise-to-span ratio were analyzed under various approaching flow conditions by obtaining and analyzing wind pressures under three different turbulent boundary layers. Compared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ith a rise-to-span ratio of 0.1, it was confirmed that a lower rise-to-span ratio increases the reattachment length of the separated approaching flow, thereby increasing the influence of negative pressur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wind pressures vari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urbulence intensity.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a model for peak net pressure coefficients for cladding design was proposed, considering variations in turbulence intensity and he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