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방종

검색결과 1,743건 처리시간 0.038초

대퇴골의 과골증을 동반한 방골성 지방종: 증례 보고 (Parosteal Lipoma of the Femur with Hyperostosis: A Case Report)

  • 김도연;전호승;전승주;노행기;강서구;송지웅;박병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4-108
    • /
    • 2012
  • 방골성 지방종은 골막 주위의 지방 조직에서 발생하는 매우 드문 형태의 지방종으로 대퇴골, 요골, 경골 및 비골 등에서 호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치료는 골 부착부를 포함한 지방 종괴를 절제하고 과골증을 동반시 골막의 제거를 원칙으로 한다. 저자들은 대퇴골 간부 내측에서 발병한 드문 방골성 지방종 1예에 대해서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협심증 증상을 동반한 심낭내 원발성 지방종 (Primary Cardiac Lipoma Combined with Chest Pain Like Angina Pectoris)

  • 김정태;오태윤;장운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4호
    • /
    • pp.320-322
    • /
    • 2006
  • 60세 남자 환자가 호흡곤란 및 협심증을 의심케 하는 흉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시행한 비침습성 검사상 좌심방 후면에 종양이 발견되었다. 심폐기하에서 종양제거술을 시행하였다. 종양은 좌심방에서 기시하였으며 다른 장기로의 침범은 없었다. 조직검사상 부분 괴사를 동반한 성숙 지방 세포였으며 지방종으로 확진되었다. 이에 심낭 내 좌심방에서 기원한 드문 심장 지방종을 발표하는 바이다.

소아에서 발생한 근하 골막 주위 심부 혈관 점액 지방종 (Deep Submuscular Parosteal Angiomyxolipoma in a Child)

  • 김홍균;유정한;박용욱;박진수;노규철;정국진;장근종;황지효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2-46
    • /
    • 2010
  • 혈관 점액 지방종은 지방종의 한 변이형으로, 1996년 Mai 등이 처음 보고한 이래 현재까지 9 예에서 보고될 정도로 드문 병변이다. 병리학적 소견으로 세포수가 적은 점액질 다수와 울혈된 얇고 많은 혈관이 포함되어 있는 지방 세포로 구성이 되어있다. 지금까지의 보고된 모든 경우, 성인에 있어서 두피나 조갑 하, 체간의 표재성 병변이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 있어서 슬관절 주위 근처에서 근육 하 골막 주위의 혈관 점액 지방종 1예를 경험하고 드문 증례로 생각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이하선에 발생한 지방종 (LIPOMA OF THE PAROTID GLAND)

  • 김준배;배정수;장동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6권3호
    • /
    • pp.473-476
    • /
    • 1994
  • 이하선에 발생한 지방종은 과거에 적절한 진단방법의 부재와 낮은 발생빈도로 인하여 종종 양성혼합종이나 와르틴종양으로 진단되어 종물을 포함하는 이하선을 절제하여 왔다. 하지만 진단방법의 발달로 전산화단층촬영이나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술전에 지방종의 진단이 가능해져 다른종양들과 감별되므로 이하선의 실질을 보존하며 종물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었다. 본증례에서는 이하선 천엽에 발생한 지방종을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하여 진단하고 이하선절제술을 시행하지 않고 이하선의 실질의 손상을 최소화하며 종양을 제거하였다. 술후 3개월 후에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이하선의 기능검사를 통하여 이하선의 정상적 기능을 확인하였다.

  • PDF

흉부컴퓨터 단층촬영으로 진단된 기관지내 지방종 -1례 보고- (Endobronchial Lipoma Diagnosed by Chest CT - A Case Report -)

  • 박찬범;김환욱;조덕곤;안명임;송소향;김치홍;유진영;조규도;이선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9-42
    • /
    • 2003
  • 기관지내 지방종은 폐에서 발생하는 양성종양중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개 서서히 진행되는 기관지 폐색과 함께 증상을 나타나는데, 대부분의 경우 기관지 폐쇄가 일어난 다음에 진단되므로 비가역적 기관지 확장이나 폐실질의 비가역적 손상을 가져온다. 진단은 흠부 기관지경검사나 흉부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촬영등으로 할 수 있으나, 흉부컴퓨터 단층촬영이 특히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치료는 내시경하 종괴의 제거 또는 개흉술을 통한 종괴의 제거 또는 폐엽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저자들은 우중엽을 완전히 막고 있으면서, 폐색후 폐실질의 손상을 동반한 기관지내 지방종을 1례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한국 약용식물 추출물이 In vitro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 (Extracts of Korean Medicinal Plant Extracts Alter Lipogenesis of Pig Adipose Tissue and Differentiation of Pig Preadipocytes In vitro)

  • 최영숙;최강덕;김성도;필립 오웬즈;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5호
    • /
    • pp.383-388
    • /
    • 2010
  • In vivo 실험에 의해서 지방축적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아내는 것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본 연구는 돼지 지방조직을 이용한 in vitro system을 이용해서 한국의 약용식물 중에서 지방축적 억제 작용을 가지는 것을 조사하고자 수행하였다. 총 183종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이들이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과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작용을 조사하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72종, 물 추출물은 111종, 이 중에서 65종은 물과 에탄올 모두 이용해서 추출하였다. 돼지 지방조직의 지방합성은 13종류의 약용식물이 영향을 미쳤는데, 그 중 11종은 대조구에 비하여 지방합성을 40% 이상 억제하였고, 4종은 지방합성을 70% 이상 억제하였다. 가장 강력한 지방합성 억제작용을 나타낸 것은 붓꽃과와 고삼(에탄올 추출) 그리고 좁쌀풀(물과 에탄올 추출)이었다. 그러나 소목과 황백은 지방합성을 촉진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결과는 총 28종의 약용식물이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쳤는데, 이 중 16종의 약용식물은 증가시켰고, 12종은 억제시켰다. 목단피와 강활(에탄올 추출) 그리고 당귀, 목향 및 신이(물 추출)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두 배 정도 증가시켰다. 10종의 약용식물 즉 감초, 형개 및 구월나무(에탄올 추출) 그리고 비름과, 천문동, 백출, 유자나무, 향부자, 구엽초 및 목단피(물 추출)은 지방세포의 분화를 35% 이상 억제시켰다. 구월나무(에탄올 추출)만이 지방합성뿐만 아니라 세포분화도 억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약용식물로부터 가축과 사람의 지방축적 억제효능 후보물질을 발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시판하는 재래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도체성적, 육색, 지방산 조성 비교

  • 강선문;김용선;강창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제36차 추계 학술발표대회
    • /
    • pp.240-244
    • /
    • 2005
  • 본 연구는 시판하는 재리흑돼지육과 개량종 돼지육의 도체성적, 육색, 지방산 조성을 비교함으로서 재래흑돼지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도체성적은 지육중량, 지육율이 재래흑돼지가 낮았으며(p<0.05), 저장기간 동안 $L^*,\;h^{\circ}$ 값은 저장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육이 낮았으며(p<0.05), $a^*,\;b^*,\;C^*$ 값은 저장기간 동안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은 C14: 0, C18:3n6, C18:3n3, C20:5n3, n3 지방산이 재래흑돼지육이 낮았고(p<0.05), n6 지방산과 n3 지방산의 비율은 재래흑돼지육이 높았다(p<0.05).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재래흑돼지육이 개량종 돼지육보다 육색은 우수하였으나 지육중량, 지육율, n3 지방산은 낮았다.

  • PDF

품종에 따른 돈육의 지방 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의 차이 분석

  • 강선문;강창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6년도 정기총회 및 제37차 춘계 국제학술발표대회
    • /
    • pp.107-111
    • /
    • 2006
  • 본 연구는 돼지 품종에 따른 지방 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자코에 의한 향기 패턴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으며, 평균 생시체중이 111 kg인 멧돼지 5두, 64 kg인 재래흑돼지 5두 및 114 kg인 개량종 돼지($Landrace{\times}Yorkshire$) 5두의 등심(M. longissimus) 부위를 본 실험에 이용하였다. 근내 지방함량은 재래흑돼지가 멧돼지, 개량종 돼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C14:0, C18:3n3, MUFA/SFA 비율은 재래흑돼지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C18:1n9는 개량종 돼지가 멧돼지보다 높았다(p<0.05). C16:1n7, C18:1n7, UFA/SFA 비율은 멧돼지가 가장 높았으며(p<0.05), C18:0, C20:1n9는 멧돼지가 가장 낮았다(p<0.05). C20:4 n6은 멧돼지가 개량종 돼지보다 높았고(p<0.05), C22:4n6은 재래흑돼지가 가장 높았으며(p<0.05), C22:5n3은 멧돼지가 재래흑돼지보다 높았다(p<0.05). PUFA n6/n3 비율은 개량종 돼지가 가장 낮았으며(p<0.05), 멧돼지가 재래흑돼지보다 낮았다(p<0.05). 전자코의 PCA에 의한 향기패턴은 신선육에서 품종에 따른 차이가 명확히 나타났으며, 가열육에서는 멧돼지 및 재래흑돼지, 개량종 돼지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재래흑돼지가 가장 높은 근내 지방 함량 및 가장 낮은 MUFA/SFA 비율을 가졌고, 멧돼지가 가장 높은 UFA/SFA 비율을 가졌으며, 개량종 돼지가 가장 낮은 PUFA n6/n3 비율을 가졌다. 또한 전자코에 의해 돼지 품종에 따른 돈육의 향기 패턴 차이를 효과적으로 분별할 수 있었다.

  • PDF

한국과 몽고 일부 재배마늘의 유전적 변이와 재배종 특이적 RAPD 마커의 탐색 (Genetic Variation and Identification of RAPD Markers from Some Garlic Cultivars in Korea and Mongolia)

  • 배성국;정은아;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58-464
    • /
    • 2010
  • 국내외에서 재배되는 12종의 마늘을 수집하여 총 143개의 임의의 primer를 이용하여 RAPD분석을 실시한 결과 55개의 primer로부터 종간에 다형성을 보이는 DNA밴드가 나타났다. RAPD에 의해 다형성을 보인 55개의 primer에서 확인된 총 DNA 밴드 수는 187개였으며, 그 중 128개(68.5%)가 12종의 마늘 지방종간에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PCR에서 다형성을 보인 DNA 밴드를 대상으로 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가 0.71이상에서 3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졌는데, 제1그룹은 의성, 서산, 삼척, 예천-A, 예천-B종, 의성노랑, 정선, 남도, 단양 및 육백종 등으로 대서종을 제외한 한국의 재배종이 모두 포함되었으며, 제2그룹과 제3그룹은 각각 몽골종과 대서종 단독으로 나누어졌다. 종 특이적으로 DNA밴드를 나타내는 primer를 분석한 결과 21개 primer에서 30개의 DNA밴드가 어느 특정의 지방종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어, 지방종 마늘 10종을 구분할 수 있는 30개의 RAPD 마커가 확인되었다.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 (Infiltrating Intramuscular Lipoma)

  • 서정탁;김정일;천상진;이춘기;구자경;김영균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0-45
    • /
    • 2005
  • 목적: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의 임상적, 생물학적, 방사선학적 및 병리 조직학적 특징들을 분석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방침을 확립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0월부터 2001년 10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서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으로 수술받은 후 5년까지 추시 가능한 환자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나이는 12세에서 63세까지로 평균 45.8세였다. 남자 4예, 여자 8예였으며, 종양의 위치는 상지 5예, 하지 3예, 배부 3예, 대둔부에 발생한 1예가 있었다. 모든 예에서 술전 단순 방사선 사진과 자기공명 영상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시 획득한 조직에 대해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하였고 종양의 재발을 추시 관찰 하였다. 결과: 술전 방사선 검사상 골격근에 침윤을 보인 경우는 7예였다. 1예를 제외하고 11예에서 종양 조직과 침윤된 주변 골격근의 제거가 완전히 이루어졌고 수술시 얻어진 조직에 대한 병리조직학적 검사상 피막이 있는 3예와 피막이 없는 9예가 있었으며 지방 세포와 골격근 세포가 혼합된 7예가 있었다. 완전 제거가 불가능하였던 1예를 제외하고는 추시 관찰상 재발은 없었다. 결론: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은 침윤성으로 인하여 분화가 잘된 지방 육종으로 오진될 수 있으므로 병리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 정확한 병리 조직학적 진단이 필요하며 술전 연부조직 단순 방사선 사진과 자기 공명 영상 검사는 종양의 정확한 진단과 위치 파악에 도움이 된다. 치료 방법으로 침윤성 근육내 지방종과 침윤된 근육을 충분히 절제하였을 때 재발없이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