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방산 조성

검색결과 1,841건 처리시간 0.029초

티오시안산염 이용 균주인 Bacillus Brevis의 지방산 개요도 (Fatty Acid Profile Of Thiocyanate Utilizing Bacillus Brevis)

  • Tm, Usha Mary;Balasubramaniyan, S.;Swaminathan, M.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1-55
    • /
    • 2007
  • 화탄과정의 폐수에서 단리된 티오시안산염 이용 균주인 Bacillus brevis의 지방산 조성을 기체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하였다. 이 균주는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이외에 히드록시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다. 히드록시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흥미로운 박테리아의 화학적 계통분리학의 지표로 알려져 있다. 이 균주에는 시클로프로판 지방산이 전혀 없다. 이균주와 Baciluus brevi B-33 및 B-34 균주의 지방산 조성을 비교하였을 때 이 균주들 사이에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티오시안산염의 충격 효과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이 결과는 지방산의 생합성이 환경에 크게 의존된다는 것을 지지하여 준다.

파밤나방 유충의 조직별 지방산 구성과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의 역할 (Fatty Acid Composition of Different tissues of Spodoptera exigua Larvae and a Role of Cellular Phospholipase A2)

  • 김용균;이승희;서승환;김건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29-138
    • /
    • 2016
  • 아이코사노이드는 탄소수 20 개의 다가불포화지방산 산화물로 구성된다. 이들 다가불포화지방산의 생합성 전구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서로 다른 조직으로부터 지방산을 분리하여 GC/MS로 조성을 분석하였다. 파밤나방 5령 유충에서 소화관, 지방체, 혈구 및 체벽을 분리하고, 각 조직에서 지질을 추출하여 각각 중성지질, 당지질 및 인지질로 분리하였다. 대부분의 조직은 palmitic acid (16:0), stearic acid (18:0), oleic acid (18:1), linoleic acid (18:2) 그리고 linolenic acid (18:3)를 주요 지방산으로 함유하였다. 그러나 이들 지방산의 조성은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지방체와 혈구세포는 이들 주요 지방산 이외에 myristic acid (14:0)와 3 종류의 미동정 지방산들이 추가로 검출되었다. 서로 다른 지질 종류 가운데 인지질은 중성지질이나 당지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linolenic acid를 지닌 반면 포화지방산의 함유량은 낮았다. 전체 불포화지방산의 조성도 조직과 지질 종류에 따라 상이하였다. 인지질은 지방체, 혈구 및 소화관에서 높은 불포화지방산 함유량을 나타냈다. 세포성 인지질분해효소인 calcium-independent phospholipase $A_2$ ($iPLA_2$)는 지방산 조성을 조절하는 데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 유전자의 RNA 간섭은 중성지질과 인지질에서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유발하였다. 본 연구는 아이코사노이드 생합성의 전구물질로 여겨지는 아라키도닉산을 검출하지 못했다. 이는 곤충에 있어서 아이코사노이드는 포유동물과는 다른 새로운 생합성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의 비밀-오리기름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

  • 한국오리협회
    • 오리마을
    • /
    • 통권46호
    • /
    • pp.78-79
    • /
    • 2007
  • 오늘날 질병은 과거의 질환이나 섭생부주의로 오는 것이 아니라 호흡과 음식물의 섭취를 통해 체내에 유입돼 축척되는 온갖 독성물질과 중금속, 유해물질이 면역체계를 약화시켜 발생한다는 것이 지금의 의학계 소견이다. 오리의 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이 다른 육류와는 크게 다르다. 포화 지방산이 20% 정도인데 불포화 지방산이 70% 이상이다. p/S비율(불포화 지방산 함량을 포화 지방산 함량으로 나눈 값)은 3.4이며 포화 지방산인 팔미트산의 함량이 다른 육류에 비해 적다. 또한 콜레스테롤 함량도 적은 편이다.

  • PDF

고온(高溫)과 재배광도(栽培光度)가 인삼(人蔘) 잎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High Temperature and Growth Light Intensity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Panax ginseng leaf)

  • 박훈;박현석;홍종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66-371
    • /
    • 1986
  • 광도(光度)가 다른 포장조건에서 자란 6년근 인삼잎과 온도별 20시간 처리된 관행재배 6년근 절제엽중(切除葉中)의 지방산을 gas chromatography로 분석하였다. 재배광도(온도)가 높을수록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다. Linoleic, linolenic, palmitic과 palmitoleic acid가 다량(多量)지방산으로 80%였다. 지방산 조성의 유사도는 광도 20%까지는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30%에서 차이를 보여 20%가 재배 한계 광도인 것 같다. 재배광도가 높을수록 불포화 지방산비율이나 불포화대(不飽和帶)의 비율이 적어져서 고온에 대한 적응 기작으로 보였다. 30% 수광율과 수확기잎이 지방산특성이 유사하였으며 고온적응과 노화(老化)의 관계가 불분명(不分明)하였다. 단시간(短時間)의 고온처리 ($25^{\circ}$$35^{\circ}C$)는 지방산함량, 불포화산비율 및 불포화도의 비율을 증대시켰고 지방산 조성이 유사하여 장기 온도효과와는 반대의 결과였다.

  • PDF

한국산 잣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s from Seeds of Pinus koraiensis)

  • 윤태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93-97
    • /
    • 1987
  • 한국산 잣나무(Pinus Koraiensis Sieb. et Zucc.)의 종자 즉 잣에는 수분이 3.6%, 정제한 상태의 총지방질이 70.4%, 회분이 2.5% 함유되어 있었으며, 잣 수확년도에 따른 일반성분 차이는 없었다. 잣 총지방결의 지방산에는 14:0에서 22:0까지 21종류가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 중에서 5-olefin계 지방산으로 18:3(5,9,12), 20:2,11), 20:3(5.11.14) 등 3종류가 검출되었다. 지방산 조성에서도 잣 수확년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지방산 중 47.9%의 $18:2{\omega}6$, 28.4%의 $18:1{\omega}9$, 11.1%의 18:3(5,9,12) 등 3종의 지방산이 주요 지방산이었다.

  • PDF

생.건 참서대의 조리방법별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 함량변화 (Changes of Fatty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Raw and Salted-dried Red Tongue Sole During Cooking)

  • 신애숙;홍정훈;김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35-540
    • /
    • 1998
  • 참서대를 생으로 또는 염건하여 찜, 삶기, 구이의 3종류의 조리방법에 따라 일반성분 분석 및 유리지방 산과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시료의 일반성분은 수분 78.4%, 회분 1.2%, 조 지방 1.1%, 조 단백질 18.3%로 나타났다. 2. 생시료의 지방산 조성은 24:0(43.1%)을 주로한 polyene산의 비율이 67.2%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16:0(22.3%)을 주로한 포화산이 25.7%, 18:1(6.8%) 을 주로한 monoene 산이 7.1%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구성 지방산은 16:0와 24:0이었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조성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해 포화산은 찜의 경우 감소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Monoene 산은 찜, 삶기, 구이 모두에서 감소하였으며 polyene 산은 찜의 경우에만 증가하였고 나머지는 별 변화가 없었다. 염건 시료에서는 생시료와는 달리 16:1을 주로 한 monoene 산이 38.9%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6:0을 주로 한 포화산이 35.3%, 22:6을 주로 한 polyene산이 25.8%였다. 염건시료의 가열조리별 조성변화를 보면 염건생시료에 비해 포화산과 monoene산 모두 감소하였으나 polyene 산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의한 고도 불포화 지방산의 잔존율을 살펴보면 생시료 0.8, 삶기 0.22, 구이 0.26으로 고도불포화 지방산이 가열조리에 따라 점차 분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생시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6934.5 mg%이었고, glutamic acid(1029.8 mg%, 14.9%), aspartic acid(846.2 mg%, 12.2%), Iysine(696.1 mg%, 10%), leucine(582.5 mg%, 8.4%), arginine(474.1 mg%, 6.8%), serine(388.4 mg%, 5.6%), alanine(386.1 mg%, 5.6%)등이 주요 유리아미노산으로 이들이 전체의 63.5%를 차지하고 있다. histidine이 196.4 mg%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생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변화는 생시료가 6934.5 mg%, 찜이 7132.3 mg%, 삶기가 7229.8 mg% 그리고 구이가 6682.6 mg%로 찜과 삶기의 경우는 증가하였고 구이는 감소하였다. 생시료의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6490.0 mg%이었으며 이는 생시료에 비해 440.5 mg% 정도가 감소한 것이다. 주요 아미노산의 구성은 생시료와 동일하였다. glycine 함량이 생시료에 비해 염건시료에서 60.8 mg% 정도 감소하였고 그 이외의 유리아미노산은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염건시료의 가열 조리별 총 함량변화는 생시료와 마찬가지로 찜과 삶기에서는 증가하고 구이에서는 감소하였다.

  • PDF

맨드라미 뿌리의 물 추출물질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조성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in Water Extracted Material from Cockscomb Plant Root)

  • 남현근;노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72-175
    • /
    • 1988
  • 맨드라미의 물추출 물질의 지방산과 아미노산의 조성을 조사한 결과 지방산은 모두 14종이 검출되었으며 특히 $C_{16:2}$가 되어 있었으며 필수지방산도 모두 포함되어 있었다. 미지의 물질을 확인한 결과 tricosanoic acid, lignoceric acid, cerotic acid, 1, 1'-[3-(2-cyclopentylethylidene)-1, 5-pentanediyl] biscyclopentane의 methyl ester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아미노산은 모두 16종이 검출되었고 산성아미노산의

  • PDF

호박씨의 지방산(脂肪酸) 및 단백질(蛋白質)의 조성(組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Protein in Pumpkin Seeds)

  • 김준평;이영자;남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83-87
    • /
    • 1978
  • 한국산 호박씨중에서 지방(脂肪)을 추출하여 지방산(脂肪酸)의 종류를 조사하였고 또한 물에 가용(可溶)인 단백질(蛋白質) 및 불용성(不溶性) 단백질(蛋白質)을 분리(分離)하여 Disc 전기영동으로 단백질의 Pattern을 확인하고 아미노산 조성(組成)을 관찰하였다. 1. 호박씨의 일반성분중 지방은 46.5% 단백질 25.5%를 함유하고 있다. 2. 호박씨기름의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은 linoleic acid 51.74%, oleic acid 22.2%, palmitic acid 18.1%, stearic acid 7.84%로 이들 4가지를 주 지방산으로 하고 있다. 3. 호박씨 단백질(蛋白質)의 아미노산(酸) 조성(組成)은 tyros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glycine등을 다량(多量) 함유하고 있으나 함황(含黃) 아미노산(酸)은 함유(含有)하고 있지 않다. 4. 단백질의 Disc전기영동 결과 가용성(可溶性) 단백질(蛋白質)에서 13개의 band와 불용성(不溶性) 단백질에서 4개의 band가 분리 되었다.

  • PDF

고영양수액제의 안정성에 대한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측쇄 길이의 영향 (Effect of Triglyceride Chain Length on the Stability of Total Nutrient Admixtures)

  • 고영탁;문홍섭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4-19
    • /
    • 2013
  • Background :긴 측쇄의 트리글리세라이드(long chain triglyceride, LCT)는 대두 또는 홍화씨로부터 제조된 지방유제의 주요 성분이다. 중 측쇄 트리글리세라이드(medium chain triglyceride, MCT)는 LCT와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MCT의 지방산은 LCT의 지방산 보다 작은 분자량을 가지기 때문에 물에 더 잘 녹으며 다른 경로를 통하여 더 빨리 대사된다. Objectives & Methods :본 연구에서는 지방산의 길이에 따른 고영양수액제(total nutrient admixture, TNA)의 안정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LCT와 MCT 조성을 가지는 4 가지 TNA 처방의 안정성을 실온 및 냉장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Results :그 결과 MCT와 LCT의 혼합 조성의 TNA는 LCT 단독 조성의 TNA 와 유사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MCT와 LCT 혼합 TNA는 LCT 단독 TNA에 비하여 작은 입자크기를 보였지만 외관, 산도, 과산화수소가, 삼투농도, 아연 농도, 니코틴아미드 및 리보플라빈 농도에서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onclusion : 따라서 MCT와 LCT의 혼합 TNA는 LCT 단독 조성 TNA에 상응하는 안정성을 가지고 LCT단독 TNA을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TNA의 2가지 타입 모두 3일 동안 실온과 냉장에서 안정하고, MCT와 LCT의 혼합 TNA는 LCT 단독 조성 TNA보다 생리화학적으로 더 안정하므로 환자들에게 좀 더 효과적인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포내 지방산 조성 분석에 따른 Candida속의 분류 (Taxonomic Study of the Genus Candida by Cellular Fatty Acid Analysis)

  • 신기선;홍순덕;배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1-85
    • /
    • 1997
  • Candida속 효모 27종이 표준 균주를 대상으로 세포내 지방산 조성을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함유 지방산의 종류와 함량비를 근거로 27종이 균주를 3개의 분류군으로 나누었다. 이들 지방산 분석에 의한 분류군을 Candida속의 다른 분류학적 결과들인 coenzyme Q 분자종의 종류, DNA 염기함량 분석, ITS 부위의 제한효소 절단 다형질의 양상, 리보좀 소단위 RNA 유전자의 염기배열 보고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같은 분류군에 위치하는 균주들 사이의 연관 관계가 거의 일치하였다. 다라서 세포내 지방산 분석은 Candida속 규준들을 유전적 동질성을 갖는 균주들로 분류하는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유전적으로 매우 다양한 균주들의 집단으로 알려진 Candida속에 관한 분류적 고찰에 일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