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반보강특성

검색결과 475건 처리시간 0.021초

폐광지역 침하방지를 위한 지반 및 구조물기초 보강 (A Case Study on Reinforcement of Ground and Foundation against Subsidence in Abandoned Mining Area)

  • 김도형;최창림;김동현;이두화;이백송;제해찬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4호
    • /
    • pp.255-265
    • /
    • 2007
  • 폐광지역의 침하발생 메커니즘 및 영향범위는 현장의 지반조건, 지압분포, 채굴적의 기하학적인 조건, 상부 구조물의 하중 조건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를 예측하기는 매우 어렵다. 또한 지질 및 지반 상태, 탄층의 발달 상태, 채굴방법 등이 채굴현장마다 다르므로 기존의 보강대책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폐광지역에 대한 합리적인 보강대책 수립을 위해 광역 채굴현황조사를 바탕으로 채굴적의 분포를 파악하고, 대심도 시추조사, 탄성파 토모그래피, 시추공 영상촬영 등의 상세 지반조사를 수행하여 석탄층의 분포현황과 암반이완상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지반침하이론에 의해 침하발생 유형을 예측하고 지반침하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연구대상 지역의 침하발생 메커니즘을 분석하였으며, 기존 폐광지역 보강사례를 분석하여 각 침하원인별로 대상지역의 지반특성에 부합되는 지반 및 구조물기초에 대한 보강대책을 수립하였다.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강도특성 (The Strength Characteristic of Shotcrete Reinforced with Improved Shape Steel Fiber)

  • 김상환;박인준;김지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12호
    • /
    • pp.127-1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를 개발하였으며, 개발 강섬유로 보강된 숏크리트의 강도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시료는 무보강 숏크리트, 기존 후크형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와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이며, 이들 시료를 이용해서 강도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한 실험은 압축강도 및 휨인성시험이다. 실험결과를 통해 형상을 개선한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의 강도특성이 기존 강섬유보강 숏크리트에 비해 향상됨을 확인했다.

지오콤 비탈면 보호공법의 활용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Reinforced Slope with Geocomb)

  • 안원식;김철문;김억기;김영섭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37-43
    • /
    • 2012
  • 일반적으로 수면과 접해 있는 호안이나 제방의 법면은 강우 침투로 인해 지반이 포화되어 침식에 약하고 유수로 인한 붕괴가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사면 및 호안 제방을 축조할 경우, 비탈면 침식 및 세굴로 인해 붕괴가 발생하지 않도록 법면보호용 보강재를 설치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법면보호 보강재 중에서 기존의 3차원 지반보강재인 지오셀의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친환경적인 보강재로 개발된 지오콤의 원지반과의 마찰특성, 수평투수능력, 식생의 뿌리활착 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중형전단시험 결과, 지오콤 보강지반의 내부마찰력은 기존 보강지반의 강도정수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평투수시험에서도 기존의 보강재보다 수평투수계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셀 끝단의 구조가 기존 보강재와 달리 날카로운 돌기를 형성하고 있고, 셀의 내부표면이 망상 구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흙과 보강재 사이의 마찰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rictional Behavior Between Soil and Reinforcements)

  • 유남재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5권3호
    • /
    • pp.51-62
    • /
    • 1989
  • 보강토옹벽의 원심모형분험의 예비실험으로서 모래와 보강재 사이의 마찰거동의 특성을 조사.연 구하기 위하려 마찰실험을 행하였다. 보강재의 종류 및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그들이 모래와 보강재 사이의 마찰계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한편 다른 두가지 실험방법(직원전단시험과 인발시험)을 택하여 어떤 방법이 실제 현장에서의 보강재의 거동을 잘 나타내는지를 비교.검토하였다.

  • PDF

점토지반 조건 및 쇄석말뚝 특성에 따른 응력분담비 산정 (Evaluation of Stress Distribution Ratio According to Clay Ground Condition and Stone Column Characteristics)

  • 김동은;박현일;이승래;유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35-41
    • /
    • 2008
  • 쇄석말뚝은 연약지반의 침하 억제 및 지지력 보강에 사용되는 연약지반 보강공법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지반의 침하저감효과를 평가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인 응력분담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쇄석말뚝으로 보강된 점토지반에 대한 실내실험을 수행하였다. 상재하중 재하 시 시간경과에 따라 쇄석말뚝의 응력비 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토지반의 강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쇄석말뚝의 응력비는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또한, 쇄석말뚝으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응력분담율을 간편하게 예측하기 위하여 제안된 수정된 Baumann & Bauer의 해가 계측 결과와 잘 일치되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성토 지반에 설치된 압력재주입 그라우팅 보강재의 인발특성 (Pullout Characteristics of Pressure Reinjection-Grouted Reinforcements in Clay)

  • 서중원;김나라;이봉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9호
    • /
    • pp.83-89
    • /
    • 2012
  • 지반 및 사면보강을 위해 국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공법으로 앵커, 쏘일네일 및 마이크로파일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공법들은 공통적으로 보강재를 설치한 후 그라우팅을 실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압력재주입 그라우팅은 그라우트체의 직경확대와 그라우트체 주면의 응력 증가 및 불규칙한 표면을 조성함으로써 지지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시공장비와 적용실적의 부족 및 보강효과의 검증이 어려워 널리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점성토 지반을 대상으로 그라우팅 방법에 따른 보강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인발력은 압력재주입 그라우팅 방식이 중력식 그라우팅에 비해 최소 1.22배에서 최대 2.61배까지 크게 발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목섬유보강 성토지지말뚝시스템에서의 하중전이 효과에 관한 모형실험 (Laboratory Model Tests on the Load Transfer in Geosynthetic-Reinforced and Pile-Supported Embankment System)

  • 홍원표;이재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9-18
    • /
    • 2010
  • 토목섬유보강 성토지지말뚝시스템에서의 하중전이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련의 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모형토조에 단독캡 말뚝을 설치하고, 토목섬유를 포설한 후 성토를 실시하였다. 연약지반 대체재료로서 스펀지고무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성토지지말뚝시스템의 효율은 일정한 말뚝간격비에서는 성토고가 증가할수록 비선형적으로 증가하여 이후 일정한 값에 수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성토고가 일정한 조건에서는 말뚝간격비가 증가할수록 효율의 크기는 감소하였다. 토목섬유를 보강한 경우, 무보강시와 비교하여 말뚝으로 전이되는 하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목섬유의 보강이 연약지반의 거동을 억지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결국 토목섬유보강 성토지지말뚝시스템에서의 하중전이 특성은 말뚝캡 설치간격, 성토고, 지반의 강도정수 및 토목섬유 강성 등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다.

  • PDF

지오그리드 보강 Stone Column의 파괴메카니즘 및 지지력 특성 - 축소모형실험을 통한 고찰 (Load Carrying Capacity and Failure Mechanism of Geogrid Reinforced Stone Columns : Reduced-Scale Model Tests)

  • 이대영;송아란;유충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10호
    • /
    • pp.121-129
    • /
    • 2006
  • 쇄석기둥 공법은 성토제방, 교량교대기초, 오일탱크와 같은 침하에 민감한 구조물의 지지력 증대 및 압밀 촉진에 효과적인 지반 개량 공법이다. 쇄석기둥 공법은 지반의 지지력 증대, 침하감소, 측방유동 방지 및 액상화 방지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쇄석기둥의 외벽을 토목섬유로 보강(감쌈) 구속력을 증가시켜 줌으로써 쇄석기둥 지반의 하중지지력을 개선시키는 공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지오그리드 보강 쇄석기둥 공법에 대한 연구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모형실험을 통해 지오그리드로 보강 쇄석기둥의 하중지지력 특성 및 파괴형태를 고찰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통해 지오그리드로 보강하지 않은 쇄석기둥공법에 비해 지오그리드보강 쇄석기둥공법의 지지력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압축형 앵커의 선단정착부 그라우트 보강에 따른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ressive Force of Reinforced Grout at the Fixed head of Compression Anchor)

  • 임종철;이태형;홍석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213-226
    • /
    • 2000
  • 지반 앵커(이하에서는 "앵커"로 칭한다)는 앵커두부, 자유부, 정착부로 나누어져 있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앵커는 지반과 앵커체 표면의 마찰저항력에 의해 지지하는 마찰방식이며, 앵커체에 발생하는 응력에 따라 크게 인장형과 압축형 앵커로 나누어진다. 그런데, 현재까지 이들 앵커의 설계 및 극한하중의 결정은 대부분이 인장형 앵커에 대한 것으로서, 긴장시 압축형 앵커의 선단정착부의 응력집중으로 이한 그라우트 압축저항에 대해서는 명확히 연구되어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과 비슷한 조건에서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선잔 장착부 그라우트의 보강형식에 따른 압축거동특성과 보강효과, 지반의 구속(정지와 포아송 구속)을 고려한 압축형 앵커의 선단 정착부 그라우트 압축저항력 산정식을 제안하였다.정식을 제안하였다.

  • PDF

뒤채움재로 점성토를 사용한 보강토벽의 내적 거동 분석 (An Analysis of the Internal Deformation Behaviors of Geosynthetic Reinforced Soil Walls used Clayey Soil as Backfills)

  • 김흥기;김유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39-49
    • /
    • 2005
  • 보강토벽의 안정성을 증명하고, 경제성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뒤채움재로 현지 점성토를 사용하고 보강재로 부직포와 직포 그리고 부직포와 지오그리드를 혼합 배치하여 일반적인 한계평형해석으로는 안전율이 1.3미만인 2개의 실물 보강토벽을 얕은 연약지반 상에 구축하여 보강재, 수평토압, 그리고 간극수압 등의 거동을 약 15개월 동안 계측 및 분석하였다. 보강재의 길이를 보강토벽 높이의 30%로 설계하였고, 그에 따라 일반적인 한계평형해석에 의한 보강토벽의 안전율이 1.3미만 임에도 불구하고 2개의 실물보강토벽이 얕은 연약지반 상에 안전하게 구축되었고, 분석결과 보강재의 최대변형은 보강재의 특성에 따라 2.3~6.0%로 안전하고, 간극수압은 강우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평토압은 안전율과 부등침하 등의 영향으로 보강토벽의 상 하부에서 주동토압과 정지토압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