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반개량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3초

심층혼합공법의 최저 개량 심도 결정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the Lowest Improvement Depth of Deep Mixing Method)

  • 박춘식;송지원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35-44
    • /
    • 2020
  • 연약지반 개량 공법 중 심층혼합공법에 대한 설계 기법으로는 복합지반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말뚝지반으로 해석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에 대한 비교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설계 시 해석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 내리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및 3차원 해석을 통해 성토 높이와 연약지반의 심도, 보강구간의 치환율을 변화시키며 각 조건별로 복합지반과 말뚝지반을 가정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 최저 개량 심도는 3차원 해석에 비해 2차원 해석 결과가 6.85~9.08% 더 깊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말뚝지반 해석의 경우 복합지반 해석에 비해 개량 심도는 12.22~14.45% 더 깊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설계를 위해서는 2차원 해석보다는 3차원 해석을 실시해야 하고, 경제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복합지반으로 해석해야 하며, 안정적인 설계를 위해서는 말뚝지반 해석을 실시해야 된다고 판단된다.

Fly ash로 매립된 지역에서 쇄석다짐말뚝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Granular Compaction Pile in Fly Ash Landfill Area)

  • 이준의;이승주;홍종철;이종영;한중근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Fly ash로 매립된 지반에서 쇄석다짐말뚝을 적용하여 지반개량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반조사 및 콘 관입시험을 통해 Fly ash 매립층의 심도, 강도정수를 산정한 후 STONE C 프로그램을 이용해 개량된 지반의 강도정수 및 이론식을 이용해 대상지반의 지지력과 침하량을 예측하였다. 현장에서 실시한 평판재하시험 결과 쇄석다짐말뚝으로 시공된 Fly ash 지반의 지지력은 설계하중을 상회하였으며, 침하량은 모두 기준치 이내로 만족하였다. 시공 후 콘관입시험에 의한 개량효과를 확인한 결과 GCP시공에 따른 복합지반 형성 및 주변지반의 밀도증가에 따라 콘 관입저항치($q_c$)는 250%~500%가량 증가된 것으로 나타나 Fly ash매립지에서 쇄석다짐말뚝의 지반개량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P부산물을 재활용한 알칼리활성화 지반개량재의 지반개량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s of Alkali-Activated Soil Stabilizer Binder Based on Recycling BP By-Products on Soil Improvement)

  • 이영원;강석표;김재환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158-165
    • /
    • 2014
  • 연구에서는 BP부산물을 혼입한 알칼리활성 무시멘트 지반개량재의 사면안정 및 침투류 수치해석을 통하여 원지반토와 비교하여 개량토의 지반개량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건기시, 우기시 모두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기준(국토해양부, 2006)의 기준안전율을 만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우기시 쏘일네일링으로 기준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하는 사면이 개량토로 보강하여 기준치를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침투류 해석을 실시한 결과 개량토의 투수계수가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지반토에 비하여 개량토로 표면보강된 경우는 포화심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반개량(SI)앵커의 인발거동특성 (Characteristics of Pullout Behavior of Soil Improvement(SI) Anchor)

  • 임종철;홍석우;송무효;강낙안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139-151
    • /
    • 1998
  • SI 앵커는 지반개량 앵커를 의미한다. 이는 앵커를 지지하는 지반을 JSP로 개량한 것으로, SI 앵커체는 80cm 정도의 직경을 가지게 된다. SI 앵커는 앵커체와 지반사이의 마찰저항력과 앵커체 앞면의 지압저항력으로 인해 높은 인발저항력을 발휘하게 되는데, 특히 마찰저항력은 JSP로 개량된 앵커체의 직경의 증대로 인해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SI 앵커의 인발저항기구를 분석하기 위해 실내 모형실험과 현장실험을 실시하였다. 공기건조 모래지반 내에서의 실내 모형실험을 통해 SI 앵커 주변지반의 변형률장을 분석하였는데, 이는 토조 벽면에 설치된 라텍스 멤브레인을 이용한 사진 분석법을 통해 이루어 졌다. 10매의 변형률게이지가 부착된 특수 설계된 PVC 파이프를 앵커체 내에 설치하고 변형률을 측정하여 현장실험의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역시 실내 모형실험과 같이 앵커체 내에서의 변형률을 측정하였다.

  • PDF

모래다집말뚝(SCP)의 치환율 변화에 따른 거동 특성 연구 (Behaviour Characteristics of Sand Compaction Pile with varying Area Replacement Ratio)

  • 박용원;김병일;윤길림;이상익;문대중;권오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4호
    • /
    • pp.117-128
    • /
    • 2000
  • 모래다짐말뚝(SCP)공법은 느슨한 모래지반이나 연약한 점성토지반을 압밀촉진시키고 지지력을 강화하여 지반을 개량할 목적으로 적용되는 개량공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연약지반개량을 위해 점토지반에 모래다짐말뚝을 사용하는 경우에 지반개량목적에 부합되는 적절한 치환율($a_s$)을 결정하기 위해 치환율 변화에 따른 모형토조시험과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다. 원형모형토조를 이용한 실내시험에서는 20%, 30%, 40%, 50%, 60% 의 치환율로 모래다짐말뚝을 조성하여 모래다짐말뚝의 치환율과 복합지반의 응력분담비, 침하저감효과의 한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대형직접전단시험기를 이용하여 치환율 20%, 30%, 46% 의 복합지반에 대하여 치환율이 복합지반 강도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 PDF

연직 매트로 보강된 연약지반의 지지력 특성 (Characteristics of Bearing Capacity of Soft Ground Reinforced by Vertical Mat)

  • 신은철;이길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83-90
    • /
    • 2012
  • 일반적으로 심층혼합공법에 의한 점토지반의 개량효과는 물리적 개량효과에 비해서 훨씬 크며 조기에 큰 개량 강도를 얻을 수 있으나, 국내 시공실적이 부족하고 시멘트-점토의 혼합방법에 따른 품질관리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모래, 점토의 배합비에 따른 강도특성과 연직MAT의 형태에 따른 연약지반의 개량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해성점토를 이용하여 일축압축 강도시험과 모형토조시험을 수행하였다. 일축압축강도 시험을 위한 공시체는 시멘트와 물의 중량비를 기준으로하여 모래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였고, 시멘트는 점토중량대비 각각 10%, 20%, 30%, 40%를 혼합하였고 대상지반토의 함수비는 40%, 60%, 80%로 조정하여 제작하였다. 공시체는 습윤방법을 이용하여 7일, 14일, 28일간 양생하여 양생기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지지력시험은 모형토조를 제작하고 Mat식으로 개량한 지반을 형성한 다음 개량률에 따른 지지력을 비교하고 연직MAT 장벽 상호간의 간섭효과를 분석하였다.

PBD공법이 적용된 연약지반에서 운용 중인 시설물의 잔류침하거동 (Residual Settlement Behavior in Soft Ground Improved by PBD during Operating Facilities)

  • 강기천;김태형;정충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8호
    • /
    • pp.13-21
    • /
    • 2014
  • 항만 터미널 부두 지역의 연약지반 개량을 위해 PBD가 적용되었다. 본 논문은 PBD가 적용된 연약지반에서 PBD가 설치된 직후부터 상부 구조물 운용 후의 잔류침하거동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기존의 연구는 개량공법 시공 중에 발생하는 침하, 즉 PBD 개량 효과에 대해 주로 이루어졌다. 실제 시설물의 운용 중에 발생하는 잔류침하는 시설물의 유지 및 운용을 위해서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나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로 운용 중에 있는 항만 터미널 부두의 침하량 계측결과를 분석하여 운용 중에 발생한 침하량은 PBD 개량층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계측값과 수치해석 값을 비교한 결과 계측값이 수치해석에 의해 예측된 잔류침하량 내에서 수렴하는 것도 확인하였다.

심층혼합처리 공법의 도심지 공사 적용성 연구 (Applicability Study on Deep Mixing for Urban Construction)

  • 김영석;주진현;조용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00-50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연약지반 개량 공사에 사용하는 심층혼합처리 공법을 도심지 공사에서 지반개량 공법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평가하였다. 심층혼합처리 공법을 협소한 도심지 현장에서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소형화시킨 시공 장비를 사용하여 서울 시내 재개발 현장에서 기초 지반개량 목적으로 적용하고 개량한 지반의 강도 특성, 지반교반 시 발생한 진동, 시공위치와 인접한 석축구조물에 발생한 변위를 측정하였다. 강도 시험 및 현장계측 결과 심층혼합처리 공법은 원지반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개량시켰으며 시공 시 발생시킨 진동과 인접 구조물에 발생한 변위가 미소하여 도심지 공사에서 요구하는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심층혼합처리 공법은 소음 및 진동 문제가 중요한 고려사항인 도심지 공사에서 기초공법으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