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정보체계사업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f Renovation method of Framework Data Using the UFID's Work_Process (UFID 업무 프로세스를 이용한 기본지리정보 갱신 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Jae-Seung;Kim, Ju-Han;Kim, Byung-Gu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9-63
    • /
    • 2005
  • 일부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지리정보의 생산과 향후 생산될 다양한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 지리정보 구축은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사업에서 기 구축된 수치지형도의 구조화 및 체계화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기본지리정보(Framework Data)의 내용을 분석하고, 기본지리정보의 갱신에 있어서, UFID프로세스를 이용한 보다 신속 정확한 기본지리정보의 갱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fense Geospatial Intelligence Governance - Focusing on the Intelligence Community and LandWarNet (국방지리공간정보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 - 미(美) 정보공동체와 육군 랜드워넷을 중심으로)

  • Kim, Dong Hwa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22 no.1
    • /
    • pp.19-26
    • /
    • 2014
  • Recently, ICT environments have been increasingly developed and the pattern of the war also has been changed to NCW.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for example, C4I and TDL(Tactical Data Link), has been prosperous and rapid. But the geospatial intelligence field which is the basis of the network frames relatively has not been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ster the geospatial governance in terms of the defense perspective. In order to do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IC) and the U.S. Army Global Information Grid(GIG), LandWarNet and those could be good examples of roles and statuses of geospatial intelligence. IC has been produced essential intelligence which is required for policymakers and military leaders. IC has several stove-piped intelligence process systems which have been separately developed and competed. And so as to complete GIG, the U.S. Army adopted LandWarNet. The U.S. Corps of Engineers organized the Army Geospatial Center(AGC) on 1 October 2009 to support LandWarNet. In order to develop NCW, we should recognize geospatial intelligence as the basis of network framework and make a central leading organization of defense geospatial intelligence. The mission of Korea Defense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should be changed from producing GEOINT to a strategic GEOINT agency. The Army should organize a laboratory of geospatial intelligence field. The mission of producing GEOINT should be transferred to a geospatial intelligence battalion which is newly organized.

Development of the Web based System for Assessing GIS Benefit (웹 기반의 GIS 효과 측정시스템 개발)

  • 김정옥;유기윤;김용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85-91
    • /
    • 2004
  • 제1차와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기본계획’ 을 시행하면서 체계적인 GIS기반이 마련되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다양한 부문에서 GIS구축사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GIS사업은 초기 막대한 구축비용과 사업완료이후에도 유지관리비용이 지속적으로 소요되기 때문에 그 타당성이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으면 사업의 추진이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효과분석을 위한 GIS사업의 평가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의 GIS 효과분석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GIS 효과분석시스템은 최신의 정확한 정보와 검증된 분석방법을 실시간 제공하기 위해 웹 기반으로 설 계 하였다. 왱 기반의 분석시스템은 GIS사업의 효과분석에 있어 시ㆍ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GIS사업의 효과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GIS사업의 효과측정에 있어서 타당성을 부여하여 과학적인 기준을 제시하며, 분석결과는 사업의 추진을 위한 재원마련과 정책결정자 설득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cheme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olicy (국가GIS정책 평가체계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 김태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1
    • /
    • pp.15-27
    • /
    • 2002
  • GIS has recognized as the Social Overhead Capital to improve national competition and to heighterl the productivity of adminstration in 1990's in Korea. As the size and the scope of the NGIS policy have drastically expanded, evaluation has become a critical process. Thus NGIS driving committee has adopted the GIS project evaluation scheme in NGIS law since 2000. But the HGIS evaluation scheme is not sufficient for the comprehensive appraisal on the GIS project in the Second National GIS Master Plan (2001-2005).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an the improved evaluation scheme of NGIS policy.

  • PDF

Application of RS/GIS Integration for the Landuse Planning in the newly Reclaimed Tideland (신규 간척지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원격탐사/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

  • Cho Byung-jin;Yoo Kyung-hak;K Torii
    • KCID journal
    • /
    • v.4 no.1
    • /
    • pp.10-21
    • /
    • 1997
  • 지상관측위성에 탑재된 센서로부터 얻어진 자료는 지리정보데이터로 그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신규간척지에서의 토지이용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위성자료를 이용한 원격탐사와 지리정보 체계를 종합하는 방법의 적용가능성을 다루고 있다. 현재 공사중인 간척사업지구를 커버하는 LANDSAT TM, MOS, SPOT 디지털데이터를 영상화하고, 영산강 3단계 사업지구 유역의 토지이용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신규간척지의 토지이용계획을 위하여 동원가능한 데이터를

  • PDF

Review the results of river environment evaluation of Cheongmi-Stream through image comparative study (영상이미지 비교를 통한 청미천의 하천환경평가 결과 검토)

  • Kim, Ji Hyun;Kang, Joon Gu;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8-228
    • /
    • 2020
  • 과거 무분별하게 획일화되어 개발되었던 하천 개발 사업으로 인해 수질오염과 생태계 훼손으로 하천의 건천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최근 하천복원 사업이 적극적으로 계획·추진되고 있다. 수생태계의 건강성과 종적 연속성을 회복하기 위한 하천복원사업에 앞서 하천환경의 현상태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하천관리 및 재해 피해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다. 국내의 센서기술과 무선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실시간 수집 가능한 정보의 범위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 하천환경 분야에서는 드론을 활용하여 획득된 원격탐사(RS) 자료와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접목한 하천 공간조사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 국토부에서 제시한 하천환경 평가체계에 따라 국내 도시하천중 하천복원사업을 시행하였던 청미천 지역에 대해 현장 조사와 UAV 영상, 항공영상을 활용하여 하천환경평가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하천환경평가체계 지침서는 캐나다(2013) 온타리오 하천평가기법을 참조하였으며, 급경사/중경사/완경사로 구분되며 사전조사와 현장조사 야장으로 구성되나 본 연구에서는 물리 평가지표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UAV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PIX4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정합한 후 획득된 색체정보를 활용하여 하천환경평가를 실시하였으며, 항공영상은 국토지리정보원의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에서 다운받은 자료를 활용하였다.

  • PDF

A New Approach to Marine GIS based on Uniqueness of Marine Spatial Data (해양공간 특성에 기반한 해양GIS 접근 방안 연구)

  • 박종민;서상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1.10a
    • /
    • pp.183-186
    • /
    • 2001
  • For a long time, the ocean was regarded as unknown area ruled by god, consequently, not so much things were developed in scientific methods and activities. Despite a rapid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marine and ocean fields still remained in the scope of traditional tools and intuitive experiences by the late of 1990. However, land based concepts and technology models require additional customization to apply GIS effectively in marine domains, which are resulted from her dynamic, complex and seamless massive nature. This paper gives a brief review of marine spatial data characteristics and also presents strategic approaches to meet the unique marine GIS requirements.

  • PDF

Construction of Internet Marine GIS through Development of Ship-Navigation System Based Precise Coordinate Analysis of GPS (정밀 GPS 좌표해석기반의 선박항법시스템 개발을 통한 인터넷 해양지리정보체계의 구축)

  • Kang, Ho-Yun;Chang, Yong-Ku;Kang, In-Joon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11a
    • /
    • pp.43-50
    • /
    • 2002
  • 우리나라의 GIS 구축을 육상과 해상으로 나누어 볼 때 육상부분은 국가지리정보체계사업에 의해 대도심지 중심으로 거의 구축이 완료된 상태이다. 그리나, 해상부분에 있어서의 GIS 구축은 해양수산부가 중심이 되어 구축중이나 아직 지리정보와 속성정보의 정의와 초기구축단계에 있는 실정이다. 지리정보체계는 보다 효율적인 활용방안을 위해 GPS와 연결되어 항법 및 위치추적시스템과 연결되어 그 파급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GPS는 정확도면을 기준으로 볼 때 항법용과 정밀측량용으로 나누어진다. 현재는 GPS 기술이 상당히 발전하여 저가격의 정밀측량용 GPS 장비가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비용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저가격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동차나 선박항해를 위해 사장되는 GPS 장비는 저가격의 항법용 GPS 장비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항법용의 저가격의 GPS 장비를 이용하여 해양부분에 있어서 정밀 선박항법 및 위치추적시스템으로 활용하기 위해 측지학적인 좌표해석을 기본으로 한 선박항법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각자의 선박항법과 더불어 관리국에서 많은 선박을 관리하기 위한 인터넷 GIS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게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ost-Benefit Analysis for Geographic Information (국토지리정보의 비용편익(B/C) 분석)

  • Kim, Kye-Hyun;Park, Hong-Gi;Kim, Kwang-Ju;Choi, Hoon-Sung;Song, Yong-Cheol;Park, Tae-O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0 no.4 s.22
    • /
    • pp.85-93
    • /
    • 2002
  • Since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project of 1995, the geographic information projects have been promoted in various areas such as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In the fact that large scale budget has been invested to geographic information projects as a national policy, the cost-benefit analysis would be essential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resource allocation.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nalyzes the costs and benefits of geographic information produced by NGI(National Geography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cost-benefit analysis, the total amount of benefits were estimated approximately 620 million dollars and the accumulated ratio of the cost to benefit was 1 to 4.4. Also, the internal ratio of the benefit was 38%, which justified the large scale investment. In case of adding qualitative benefits which can not be measured in a quantitative term, the overall benefits from using such geographic information would be much higher than quantitative benefits. Further research work is required for more objective verification of the large scale national project such as building nationwide geographic information.

  • PDF

A Study on Data Dictionary of Small Scale Digital Map (소축척 수치지도 자료사전에 관한 연구)

  • 조우석;이하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3
    • /
    • pp.215-228
    • /
    • 2003
  • National Geography Institute(NGI, National mapping agency) has been producing national basemap in automated process since middle of 1980's toward the systematic and efficient management of national land. In 1995, Korean government initiated a full-scal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NGIS) Development Plan. Under the NGIS Development Plan, NGI began to produce digital maps in the scales of 1:1,000, 1:5,000, 1:25,000. However, digital maps of 1:250,000 scale, which are currently used for national land planning, were not included in NCIS Development Plan. Also, the existing laws and specifications related to digital maps of 1:250,000 scale are not clearly defined. It is fully appreciated that data dictionary will be a key element for users and generators of digital maps to rectify the existing problems in digital maps as well as to maximize the application of digital maps. There(ore this study proposed a feature classification system, which defines features that should be represented in digital map of 1:250,000 scale, and data dictionary as we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