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정보체계사업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Conflict Control for Private Participation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s (지리정보체계 민간투자사업의 갈등조정방안)

  • Yang, Kw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3
    • /
    • pp.70-79
    • /
    • 2007
  • The current system for 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can be applied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projects.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promote the private sector's participation GIS projec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ain the major causes of conflict and conflict control for private participation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s. First,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for private participation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s and conflict issues were represented. Second, this paper presents the causes of conflict and conflict control on the basis of case study. In conclusion, the policy is developed for the promotion of private participation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rojects.

  • PDF

A study for Comparison Analysis of Geographic Information Distribution Models (지리정보 유통모형 비교분석 연구)

  • Shin, Dong-Bin;Jeong, Jin-Seo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375-379
    • /
    • 2007
  • 정부는 지난 몇 년간 국가GIS사업을 비롯해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한 각종 GIS사업을 통해 구축된 지리정보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을 추진해 왔다. 지리정보유통망과 같은 정보 유통체계는 유통 상품이 물류배송이 아닌 인터넷을 기반으로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유통흐름을 가지고 있어 유통의 주체, 객체, 수단, 환경 등 제반 요소의 변화에 따라 유통모형을 달리 적용할 필요가 있다. 국가지리정보유통체계 구축사업에 적용된 유통모형은 크게 중앙집중형, 지방분산형, 혼합형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각의 모형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현황과 정보화 환경을 고려하여 초기 단일 유통센터를 중심으로 운영되는 중앙집중형에서 점차 지역별 통합관리소가 운영되는 지방분산형으로 전환되었고, 근래에는 중앙집중형과 지방분산형이 통합된 혼합형으로 발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적용된 유통모형을 정립하고 이에 대한 장 단점을 도출하여 향후 발전해 나아갈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유통모형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이는 정보 유통을 고려하는 사업의 참고 모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보다 성공적인 유통시장을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초고속정보통신기반구조에서의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 및 표준화

  • Jin, Hui-Chae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6.04a
    • /
    • pp.35-46
    • /
    • 1996
  •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의 측정은 정보처리, 운영능력에 달려있다. 이를 대비하여 국가에서는 초고속정보통신망의 구축과 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등 정보화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들 사업은 단위사업이 아닌 국가 기반구조의 구축이라는 중요한 명분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시스템의 상호운용성, 연동성 등 국가가 지원하여야 할 기본기술은 초고속정보통신망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tandardization o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 Laying Stress on the Basic Surveying - (공간데이터 구축의 공종분류체계 표준화 - 기본측량을 중심으로 -)

  • Choi, Byoung-Gil;Cho, Kwang-Hee;Kim, S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69-75
    • /
    • 2006
  •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It is the base frame to classify the general information systematically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cess. Work process of the surveying firm and rules for basic surveying which is being accomplished in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r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refore, types, individual process, and results of surveying work is standardized. I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is study is adopted as the national standard and is also advanced by construction methodology, the spatial data will be managed futuristically and systematically.

  • PDF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사업의 현황과 전망

  • Lee, Yeong-Ung
    • 정보화사회
    • /
    • s.106
    • /
    • pp.32-36
    • /
    • 1996
  • 지난 '95년 5월 재정경제원에서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건설교통부, 재정경제원, 내무부, 농림수산부, 통산산업부, 정보통신부, 환경부, 총무처, 과학기술처, 통계청, 산림청 등 11개 관계중앙행정기관이 참여하는 범정부적인 사업으로 추진중인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구축사업이 이제 첫돌을 넘기고도 4개월이 지났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management of Marine framework data (해양기본지리정보 구축 및 유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박흥기;원종갑;손은정;박찬혁;조현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41-447
    • /
    • 2004
  •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국토환경에서 해양공간정보에 대한 국민들의 수요가 증가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육상 및 해상의 지리정보는 관련기관, 민간부분 및 일반인에게 확산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사회간접자본으로서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기본계획에 입각하여, 21세기 디지털 해양건설의 초석을 마련하기 위하여 해양지리정보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지리정보체계(MGIS: Marin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사업의 일환으로 해양기본지리정보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해양기본지리정보의 구축 시 필요한 필수항목으로 도출되었던 항목을 기준으로 데이터 모델링 및 데이터구축지침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향후 NGIS의 통합을 고려한 국가차원의 해양기본지리정보 구성(안)을 제시하였으며 데이터의 품질기준,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였다.

  • PDF

A Study on Method of Framework Data Update and Computing Land Change Ratio using UFID (UFID를 이용한 기본지리정보 갱신 및 지형변화율 산출 방안 연구)

  • Kim, Ju Han;Kim, Byung Gu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1D
    • /
    • pp.157-167
    • /
    • 2006
  • During the first and second NGIS projects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first one (1995~2000) was limited on construct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 second (2001~2005) was focused on circulation and practical use of geoinformation from the result of the first project. In the latter half of 2nd NGIS project, However, the ge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NGIS projects have not been renewed even though there were significant geographical changes. The accurate renewal of geoinformation is a matter of great importance to the next generation industry (e.g. LBS, Ubiquitous, Telematics). In this respect, it is time to update the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second NGIS project. Therefore, It is not only important to build an accurate geoinformation but also rapid and correct renewal of the geoinformation. NGII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has been studying for improvement of digital map that was constructed by the result of the 1st NGIS project. Through the construction of clean digital map, NGII constructed Framework Data to three kinds of formats (NGI, NDA, NRL). Framework Data was contained to other database, and provided the reference system of location or contents for combining geoinformation. Framework Data is consist of Data Set, Data Model and UFID (Unique Feature Identifier). It will be achieved as national infrastructure data.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a method of the update to practical framework data with realtime geoinformation on feature's creation, modification and destruction managed by 'Feature management agency' using UFID's process. Furthermore, it suggests a method which can provide important data in order to plan the Framework update with the land change ratio.

A Study on Utility of Cadastral Information to Administrative Affairs by Connecting National Geography Information System (국가지리정보체계와 연계한 지적정보의 행정업무활용에 관한 연구)

  • 김감래;한상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489-492
    • /
    • 2003
  • 사회가 고도의 정보화 사회로 발전됨에 따라 효율적인 국토관리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국가지리정보체계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고 산ㆍ학ㆍ연에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각 국에서는 21세기에는 국토관리를 디지털화하고 있다. 행정자치부에서는 지적도면전산화사업을 2005년에 완료를 목표로 추진하고 있으며, 건설교통부의 지형도전산화사업은 완료단계에 있다. 또한 가스, 전기, 통신 등의 시설물관리를 위해 수치지적도를 필요로 하는 기관에서는 독자적으로 지적도 수치화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리정보체계의 일환으로 지적도면 및 지형도전산화사업의 추진현황을 파악하고 지적정보와 지형공간정보 관리의 이원화로 불편을 겪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하여 연계ㆍ활용 및 개선방향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분석하여 단계적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적정보와 지형공간정보를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행정업무 및 국민의 일상생활에까지 지적과 지형공간자료의 연계를 통한 행정의 효율성 및 국민편익에 유익한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1st National GIS project Policy in Korea

  • Oh, Jong-W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 no.2
    • /
    • pp.119-13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시도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의 1단계사업에 대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해외의 NGIS와 비교하여 2, 3단계 사업의 성공화를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첫 장에서는 Masser(1999)에 의한 세계 NGIS 추진 10개국의 정책과 핵심분야를 한국의 NGIS와 비교 분석하여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의 NGIS정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3장에서 한국 NGIS의 핵심5대 분야와 연계한 결과 및 평가의 구체성과 4장에서 한국의 미래 NGIS의 방향을 동시에 제시하였다. 세계적으로 90년대 후반에 시작된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사업 중에서 11개국에 대한 선행정책연구 분석에서 볼 때 한국이 포함된 7개 국가에서 정부주도형의 하향식(Top-down)형식으로 수행하였으며, 3개 국가는 기존 수행체계를 발전시킨 상향식(Bottom-up) 형식이었고 나머지 한 국가는 절충형의 후발주자에 속하여, 한국의 NGIS 1단계사업은 국가주도형의 정책이 주종을 이루는 하향식 정책의 국책사업으로 밝혀졌다. 한국의 1단계 NGIS사업의 정책과 분야는 1995년부터 정부주도 정책에 따라서 2억 $(중앙정부: 64%, 지방정부: 36%)의 예산으로 2000년까지 11개 중앙부처가 참여하고 5개 분과위원회(총괄분과, 지리정보분과, 토지정보분과, 기술개발분과, 표준화분과)에서 10개 사업(지형도전산화사업, 주제도 전산화사업, 지적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 관리체계개발시범사업, 공공GIS활용체계개발사업, GIS기술개발, GIS전문인력육성, GIS표준화사업, 국가GIS지원연구사업)을 수행한 대규모 국책연구개발사업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미래 NGIS 정책방향은 국가공간정보기반조성을 통한 디지털국토구축으로 국가 Agenda인 'u코리아'를 실현시키고 선진형 대민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해질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GIS Standard Development through Profiling (프로파일링에 의한 지리정보표준 개발방법 연구)

  • Park, Jong-Min;Oh, Se-Woong;Suh, Sa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4
    • /
    • pp.56-64
    • /
    • 2002
  • In order to establish and promote geographic information activities in controled environment maximizing interoperability and the degree of reusability of geographic information resources scattered in distributed platforms, standardization is recognized as one of the basic solutions essentially being performed at the community level, where intends to align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This paper describes some technical aspects of standardization needed to build a systematic mechanism of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tandards development, giving approach to conceptual analysis especially directed by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Following some enumerated benefits for profile based national standard architecture and the brief review from canadian approach we suggest herein a overview of national and community level standardization framework, which identify its primary elements consisting of common basis for standard development mechanism based on profi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