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적 변이

Search Result 18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Geographic variation of song on Great Tit, Parus Majo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T'aebaek Mountains in Korea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 한국산 박새(Parus Major) 소리(song)의 지리적 변이)

  • 강정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40-45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산 박새(Parus major)의 소리(song)를 이용해서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서간의 지리적 변이에 관한 논문이다. 박새 소리의 지리적인 변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지역간 음절의 시간과 주파수 요인을 비교하고, factor의 군집화의 지역간의 변이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luster Analysis와 discriminant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태백산맥을 경계로 동쪽지역여과 서쪽지역은 영덕군과 청송군, 삼척시와 태백시를 중심으로 해서 지리적인 변이를 나타냈다.

  • PDF

Systematic Studies of the Genus Cobitis (Pisces: Cobitidae) in Korea ll. Geographic Variations of Cobitis longicowus (한국산 Cobitis속 어류( Pisces: Cobitidae)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1. 왕종개(Colitis longicowus)의 지리적 변이)

  • 박병상;김재흡김종범양서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4
    • /
    • pp.585-593
    • /
    • 1991
  • 한국 특산종 C. longicolpus의 지리적 변이를 조사하고자 discriminant function 분석에 의한 형태적 변이 그리고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적 변이를 전국적으로 조사하였다. 11개 집단의 discriminant function분석결과 11개 집단은 형태적으로 뚜렷한 차이 없이 유사하였다. 13개 집단의 유전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13개 집단 평균 A = 1.37, P = 29.96%, HD = 0.076 및 HG = 0.083으로 일반적인 담수어류의 종내 집단 간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5 : 0.88으로 타 어종의 일반적인 집단 및 유전적 근연정도와 유사하였다.

  • PDF

Systematic Studies of the genus cobitis in Korea III. geographic Variations of Cobitis rotundicaudata (한국산 Cobits속 어류(Pisces: Cobitidae)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111. 새코미꾸리 (Cobitis rotundicaudata)의 지리적변이)

  • 박병상;양서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4
    • /
    • pp.497-504
    • /
    • 1992
  • 한국특산종인 Colitis rotundicuudutu의 지리적 변이를 전국 5개 집단 132개체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4개 집단의 계측형질로 본 다변량분석 결괴 산청집단은 타 집단과 형태적 차이가 있었다 전기영동으로 조사된 5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변이 정도는 A=1.48, P=37. IpA, HD=0. 139, 및 H6=0. 124로 변이 정도가 타 어류에 비하여 비교적 높았다. 5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근인치(S)는 0.83으로 낮았으나 산청집단을 제외한 4개 집단의 근연치는 0. 91로 매우 가까웠다. 반면 산청집단은 나머지 집단과 형태적으로나 유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산청집단의 별종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보다 면밀한 연구로 산청집단의 별종 여부를 명백히 구명하여야 할 것이다.

  • PDF

Geographic variation of song on Great Tit, Parus major of by latitude (위도(latitude)에 따른 한국산 박새(Parus Major) 소리(song)의 지리적 변이)

  • 강정훈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d
    • /
    • pp.46-55
    • /
    • 1998
  • 본 논문은 한국산 박새의 소리를 이용한 위도에 따른 지리적 변이에 관한 논문이다. Note types은 2 음절에서는 low note가 16개, high note에서는 18개 type을 나타내었고, 3음절의 secondary-high note에서 11개의 유형을 나타내었고, low note에서는 대체로 Nm VFV type을 많이 사용하였고, high note에서는 특이하게 모든 sitedptj M type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도에 따른 지역적이 변이는 해안지역이 내륙지역보다 더 많이 나타났고(MANOVA , p<0.001) , factor 별 공유정도는 phrase와 phraserks duration, low note의 frequency range, high note의 frequency range에서는 차이를 보였고 (ANOVA, p<0.05), 다른 factor들에서는 대부분 factor의 유형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tudies on the Intraspecific Variations on Geological Distributions of Acusta despecta sieboldiana in Korea (한국산 달팽이 ( Acusta despecta sieboldiana) 의 지리적 분포에 따른 종내 변이에 관한 연구)

  • 이준상;권오길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2 no.1
    • /
    • pp.19-31
    • /
    • 1996
  • 국내 11개 지역(경기도 옹진군 덕적도, 경기도 의정부시 소요산, 강원도 춘천시, 충청남도 태안군 안홍,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도,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 전라남도 신안군 홍도, 흑산도 비금도, 진도, 제주도)에서 채집된 달팽이 (A. despecta sieboleiana)를 대상으로 외부형태 분석과 동위효소를 검출하여 각 지역 집단간의 형태적, 유전적 유연관계와 변이 정도를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부형태에 의한 집단간 유연관계는 안홍과 덕적도집단(average taxonomic distance, D=0.358)이 형태적으로 가장 유사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Polyacrylamide gel을 사용하여 11가지의 동위효소를 검출한 결과 AKP, ACP, AO, EST, GPD, HBDH, LDH, SDH, XDH의 동위효소에서 유전적 다형현상이 나타났다. 전 집단의 평균 다형형의 빈도는 59.19%이며 이형접합자 빈도는 0.263이고 각 집단의 유전적 차이치는 춘천과 울릉도 집단이 0.066(genetic distance)으로 가장 높은 유사성을 보였다. 지리적 분포에 따른 외부형태 변이와 유전적 변이와의 관계는 유의성이 없었다.

  • PDF

A Study on Variation and Application of Metabolic Syndrome Prevalence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지리적 가중 회귀를 이용한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지역별 변이에 관한 연구 및 적용 방안)

  • Suhn, Mi Ohk;Kang, Sung Hong;Chun, Jin-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2
    • /
    • pp.561-574
    • /
    • 2018
  • In this study, regional variatio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ere grasped using GWR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d methodologies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were then set up to resolve health inequalities.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Statistical Yearbook publish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community health survey (KCDC) and other governmental institutions, indicators of social structural and mediation factors related to the region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ere collected. First, the existence of indicators to measure variations in metabolic syndrome were confirmed with the collected data by calculating the EQ (extremal quotient) and CV (coefficient of variations). The GWR, which is able to take spatial variations into consideration, was then adopted to analyze the factors of regional variations in metabolic syndrome. The GWR analysis revealed that severity and management of the main causes need to be prioritized in accordance with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Consequently, the order of priority in management of region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established, and plan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management of metabolic syndrome were confirmed to be feasible.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I. Geographic Variation of Nemacheilus toni, Lefua costata, and Niwaella multifasciata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1. 종개, 쌀미꾸리 및 수수미꾸리의 지리적 변이)

  • 양서영;이혜영양홍준김재흡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4 no.1
    • /
    • pp.110-122
    • /
    • 1991
  • 기름종개과의 N. toni, L. costota, N. multifasciata 3종에 대한 형태분석, 핵형분석 및 전기영동법에 의한 유전자 분석을 실시 각 종의 지리적 변이 및 계통적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형태 측정치에 대한 discriminant 분석결과 연 yoni 월악산집단, 1. costoto 거제도집단 그리고 환multifasc지물 산철집단이 같은 종내 타 집단들과 형태상 완전히 분리 되어졌다. 핵형분석에서 N. muftifosciota와 1. costoto는 2n: 50으로 염색체수는 조사된 전 집단이 변리없이 동일하였다. N to티 삼척과 진부집단은 2n: 50으로 동일하였으나 고성집단은 2n=50, In : 48인 염색체상이 한개체에서 동시에 발견되었고, 인형성부위의 위치 및 형태가 타 집단과 차이가 있었다. 전기영동을 실시하여 총 28개의 유전자를 검출, 분석하였다. 3종중 N. multifosciata 청도집단의 유전적 변이 (HDi 123, HG : .160)가 가장 높았고, N. toni 고성집단이 가장 적었다. ( HD= .017, HG= .015). N. yoni 고성집단과 강릉집단은 각 집단의 고유한 genetic marker를 다수 갖고 있으며 타집단들과 유전적 근연관계도 매우 먼 것으로 나타나 각기 독립된 별종으로 추정된다.

  • PDF

Morphological variation and aspects of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Orobanche coerulescens Stephan ex Willd. (Orobanchaceae) on Ulleung-do and Dok-do Islands (울릉도, 독도 초종용에서 형태 변이와 지리적 분포 양상)

  • Lee, Woong;Jeong, Keum Seon;Choi, Kyung;Kim, Jin Seok;Cho, Seong Ho;Pak, Jae-Hong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6 no.4
    • /
    • pp.405-412
    • /
    • 2016
  • We investigate the intraspecific morphological variation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s from twelve populations (28 samples) of Orobanche coerulescens in Korea. Two main morphological types were detected, i.e., glabrous (G-type) and pilose (P-type), in the external morphology (stem, leaf, bract, calyx, and corolla). The G-type was found on Ulleung-do and Dok-do, and the P-type was observed on the coasts of South Korea, Jeju-do and Ulleung-do. The distinct difference in the morphological type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suggested the existence of two putative lineages with different distribution processes. O. coerulescens, distributed in very limited areas, was only identified as the G-type on Dok-do. Hence, conservation efforts should focus on protecting native habitats to conserve native species and the unique biogeographic significance of this spe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