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산

Search Result 84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넉넉한 어머니의 품 지리산과 몸을 맑게 하는 대통밥

  • Jeon, Gi-Hwan
    • 건강소식
    • /
    • v.28 no.7 s.308
    • /
    • pp.36-37
    • /
    • 2004
  • 지리산은 넉넉하고 푸근하며 또한 정겹다. 설악산이 고운 여인을 보는 듯한 느낌이라면 지리산은 그리운 어머니를 연상시킨다. 너른 치마 자락에 아이들을 주렁주렁 매달아 키운 우리네 어머니처럼 지리산은 너른 산자락마다 온갖 짐승과 나무,새,꽃들을 키운다. 거기에 사람 사는 마을까지 흩뿌려 놓았다. 구례는 지리산 자락에 안긴 푸근한 마을이다. 등뒤에서 감싸안은 지리산과 발치를 적시며 흐르는 섬진강 덕분에 사철 풍요롭고 행복한 고장이다.

  • PDF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Abies koreana Stand Structure of Mt. Jirisan and Mt. Hallasan (지리산과 한라산의 구상나무 임분 구조의 생태적 특성)

  • Song, Ju Hyeon;Han, Sang Hak;Lee, Sang Hun;Yun, Chung W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0 no.4
    • /
    • pp.590-600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the stand structure of Abies koreana forests between Mt. Jirisan and Mt. Hallasan by analyzing DBH distribution, stem vitality, crown structure, importance value, species diversity, and DCA. The data were acquired through the national long-term ecological research project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the comparison of DBH class distribution, the stem density of A. koreana with DBH < 20 cm was higher in Mt. Hallasan than that in Mt. Jirisan; however, the stem density of A. koreana with DBH > 20 cm was higher in Mt. Jirisan than that in Mt. Hallasan. For A. koreana stem vitality, the ratio of alive standing was higher in Mt. Jirisan (72.0%) than in Mt. Hallasan (60.7%), whereas the ratio of alive leaning was higher in Mt. Hallasan (10.2%) than in Mt. Jirisan (1.1%). A. koreana stand in Mt. Jirisan was a mature stand with four evenly developed and distinct layers, whereas the tree layer in Mt. Hallasan was less than 10 m and the stand had three layers without a subtree layer. Mt. Hallasan's importance value of A. koreana was 39.4% higher than Mt. Jirisan's importance value of 26.6%. The species diversity of the A. koreana community of Mt. Jirisan was 2.52 times higher than that of Mt. Hallasan, which was 1.58. DCA results revealed that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Mt. Jirisan and Mt. Hallasan was relatively distinguished, and the degree of scattering of species composition of Mt. Jirisan was relatively dense compared with that of Mt. Hallasan.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 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80-87
    • /
    • 2000
  •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PDF

지리산이야기 - 맛집 (지리산 우천정)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s.84
    • /
    • pp.24-25
    • /
    • 2009
  • 바쁘고 지친 현실에서 벗어나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여 생활의 탄력을 찾으실 수 있는 곳 지리산 덕산 관광휴양지에 위치한 [우천정]을 소개 합니다.

  • PDF

지리산이 있어 사는 이야기 - 나공주 사무소장 대담 (국립공원 관리자는 자연주의자가 되면 안 된다)

  • 한국자연공원협회
    • 공원문화
    • /
    • s.84
    • /
    • pp.12-13
    • /
    • 2009
  • 바람은 지리산 자락으로 숨어들다 바위틈에 몸을 놓고 살을 부비며 친한 척 너스레다. 그렇지만 천년을 한결 같은 지리산 아니던가. 그 웅장한 자태를 짐짓 바꿔 바람을 맞을 리 없다. 지친 날개를 달래듯 한 숨 돌린 바람은 칭얼대듯 몇 번 더 휘돌다 짐짓 앵돌아진 계집아이처럼 등성이로 꼭대기로 휘휘 날아 논다. 무턱 없이 부는 바람을 따라 가노라니 어느덧 지리산 국립공원 사무소에 닿았다. 나공주 소장님의 반가운 웃음과 소승호 분소장님 등의 인사와 함께 궁금증을 참지 못한 박종규 기자의 문답이 이어졌다.

  • PDF

Value and Composition of Mt. Jiri's Cultural Landscape as a World Heritage (지리산 문화경관의 세계유산적 가치와 구성)

  • Choi, Won-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1
    • /
    • pp.42-54
    • /
    • 2012
  • Since people have set up their lives in the Jirisan(Mt. Jiri) for a long time, there are various historical remains and religious and livehood landscape left. Jirisan has been a sacred ground and the base of livelihood and culture, with both of which Jirisan provides a new concept of a mountainous cultural landscape. Jirisan has long been resided there while hallowing it as a spiritual mother mountain. Various historical remains including mountain fortresses from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ancient tombs from the Gaya age are left in Jirisan. Namakje which is a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 has been conducted until today. Numerous cultural heritages have been preserved in Buddhist temples. The continuously prevalent Buddhism in Korea has helped maintaining the living cultural tradition of Jirisan. In addition, Jirisan has various extraordinary features including history, religion, culture, livelihood forms its own mosaic landscape.

  • PDF

A Study on the Literati's Travels to Mt. Jiri in the Joseon Dynasty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지리산 여행 연구)

  • Jung, Chi-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4 no.3
    • /
    • pp.260-281
    • /
    • 2009
  • This study analyzed people's travels to Mt. Jiri in the Joseon Dynasty; and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such travels and the methods used to do so. Using previous studies dealing with travels to Mt. $K\breve{u}mgang$ and Mt. Chungryang under taken by Joseon people, this study strived to extrapol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velers who visited Mt. Jiri, the motivation for their travels, the journey itself, and the style of travel employed. As a result of this exercise, those who traveled to Mt. Jiri were found to exhibit commo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spects such as their area of residence, personalities, and hobbies. As these were naturally reflected in their travels, the motivation for such trips, as well as the journey to Mt.Jiri itself, tended to differ from those associated with travels to Mt. $K\breve{u}mgang$ and Mt. Chungryang. As far as the style of travel was concerned, the study focused on such aspects as the length of the trip, preparations, nature of the companions, transportation, meals and accommodations, as well as the activities carried out during the travel itself. Here, the comparison with the travelers to Mt. $K\breve{u}mgang$ and Mt. Chungryang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 Spider Fauna of Mt. Jiri, Cholla-namdo, Korea (지리산의 거미상)

  • Namkung Joon;Paik Woon Hah;Yoon Kyung Il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1 no.2
    • /
    • pp.91-99
    • /
    • 1972
  • 지리산은 해발 1915m인 남한 본토 최고인 명산이며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바도 있으나 아직 그 동물상에 대한 조사는 불충분한 바 있다. 1972년 8월 11일-14일의 4일간에 걸쳐 남궁 윤은 한라산 거미상과의 비교 검토를 위하여 지리산의 제 2 고봉인 반야봉과 제 3고봉인 노고단을 중심으로 한 지리산 서남면인 "겉지리산"의 일부를 조사하였다. 한편 백외는 1971년 7일 하순 화엄사, 노고단 및 피아골의 거미상에 대해 조사한 바 있다. 광대한 지리산의 전체적인 면모를 파악하기에는 미급한 조사였지만 대치적인 특징을 추찰한 수 있었기에 이에 보고코져 한다. 지리산 거미에 대하여는 백 갑용(1942-1972), 백운하외 (1970) 등에 의해 18과 76종 (3미확정종포함)이 보고된 바 있으나 채집기록에 불분명한 바가 있고, 그 환경이나 수직분포 등에 대하여는 언급된 바가 없었다. 금번 조사한 장소를 고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연곡사(300-400m), 화엄사(400-600m), 피아골(500-900m), 화엄사골(600-900m), 용수바위 (900-1300m), 코재 (900-1300m), 임걸령(1400-1500m), 노고단(1400-1550m), 반야봉(1550-1750m) (1) 이 조사보고에서는 종전의 보고에서 기록이 분명한 것을 종합하여 21과 135종 (미확정종 6종 포함)의 목록을 작성하였다. (2) 지리산 추가종 56종을 확인하였으며 그 중에서 한국 미기록종은 16종이다. (목록에 *표를 한 것) (3) 미확정종은 개체특징이 분명한 것만 수록했으며 이들 중 금후 연구로써 신종으로 기재됨 것도 있다. (4) 이번 조사의 결과로는 지리산의 거미상은 북방종 26종$(20.2\%)$ 남방종 8종$(6.2\%)$ 세계공통종이 3종$(2.3\%)$으로 북방온대성 $(71.3\%)$의 경향이 짙으다. (5) 고도분포는 반야봉 (1550-1750m)에서 18종$(7.3\%)$, 1400-1550m가 38종$(15.5\%)$, 900-1400m에서 39종$(15.8\%)$, 600-900m에서 72종$(29.2\%)$, 600m이하에서 79종$(32.1\%)$으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종수가 점감되고 1300m 이상에 서식하는 것은 44종$(32.6\%)$에 불과하였다. (6) 지리산의 우점종은 대륙접시거미 (Prolinyphia emphana)로 600m 이상부터 산정부에 걸쳐 널리 분포하며, 개체수에 있어서도 가장 많았다. 깡충거미과(Salticidae), 늑대거미과(Lycosidae)가 극히 적은 것도 특징적이라 하겠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