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데이터

Search Result 1,119,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Conversion between 3D geographical information data formats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 포맷들 간의 변환)

  • Lee, Tae-Hoon;Hwang, Jung-Rae;Li, Ki-Joun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75-81
    • /
    • 2008
  • 오늘날 정부기관, 지자체 그리고 민간 기업 에서 3차원 지리정보데이터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국내에서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 포맷인 3DF-GML(3DFeature-GML)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3DF-GML의 데이터는 기존의 Shape 파일만을 사용하여 구축되기 때문에 활용성에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제작 및 수정 시에는 제한된 애플리케이션 활용만이 허용된다. 이에 따라 3DF-GML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국내의 데이터뿐 만이 아니라 국외에서 제작되어진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3차원 지리정보 포맷(3DF-GML)과 국외의 3차원 지리정보 포맷들간의 데이터 포맷을 비교 및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국외 3차원 지리정보 포맷의 데이터 활용 및 호환을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3차원 지리 정보데이터(3DF-GML)와 국외 3차원 지리정보 데이터 간의 변환 규칙 및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establishing a standard metadata for facilitating the usage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지리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 Kim, Kye-Hyun;Park, Hong-Gi;Kim, Gun-Soo;Song, Yong-Cheol;Kim, Han-Guck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9a
    • /
    • pp.95-100
    • /
    • 2003
  •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리정보체계(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동 활용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성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목록의작성및관리에관한지침'이 2002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현재 국가지리정보유통망에서의 활용을 위해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만, 지리정보관리기관의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에 의거하여 ISO 19115에 부합되는 새로운 통합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 개발을 목적으로 메타데이터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은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을 모두 수용하고, 기존 메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추가하여 총 13개 섹션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통해서 우선 사용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반이 구축되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GIS 활성화를 위한 커다란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stributed Web GIS Service Based On Inter-Operability (상호운영성 기반의 한 분산 웹 지리정보시스템 구현)

  • 김도현;김민수;장병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26-628
    • /
    • 2003
  • 웹 지리정보시스템은 사용하기 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공간 데이터의 접근과 분석기능을 쉽게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들은 독자적인 지리 데이터로의 접근만을 허용하고 분산되어 있는 지리 데이터로 접근할 수 없다. 이는 지리 데이터의 구조와 액세스 방법 등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OLE DB을 기반으로 한 분산 지리 데이터의 상호운영성에 대한 기술한다. 또한 분산 지리데이터 서버에서 전달된 데이터는 웬 기반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위하여 XML 기반의 GML로 변환되어 진다. GML 은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XML기반의 웹 언어로 본문에서는 이를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컴포넌트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구축 비용 및 다양한 사양한 요구사항을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 PDF

Demand Analysis of Framework Data overlap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 수요분석)

  • Shin, Dong-Bin;Park,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89-194
    • /
    • 2008
  • 국가지리정보체계의구축및활용등에관한 법률(이하 NGIS법)에 따라 국가GIS의 효과적인 구축 관리 및 활용을 위하여 기본지리정보가 구축되고 있다. 기본지리정보는 국가공간정보기반으로서 기본이 되는 데이터이며, 법적 근거에 따라 중첩활용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 제고를 위하여 지리정보 중첩활용에 대한 수요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설문 응답자는 민간기업이 38.2%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기관, 정부투자기관, 연구기관,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기본지리정보 활용목적은 기술관련 업무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연구관련 업무용, 부가가치생산용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활용 우선순위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았으며,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수요는 교통분야가 가장 높고, 지적분야, 공간영상분야, 지형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상호간 중첩활용 수요에 있어서도 '교통-시설물' 중첩활용수요가 가장 높았으며, '행정구역-교통', '행정구역-지적', '행정구역-시설물'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을 위한 요구사항을 1순위부터 5순위까지 조사한 후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 결과 데이터품질이 가장 높았으며, 데이터포맷, 데이터모델, 데이터구축지침, 데이터생산사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요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기본지리정보 중첩활용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범구축 등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상호호환성이 확보된 기본지리정보의 공급이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GIS Metwork Security (지리공간 유통망 보안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i-Hong;Lim, Gi-Uk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3 no.2 s.6
    • /
    • pp.53-61
    • /
    • 2001
  • The GIS Network consists of the Clearinghouse Network Gateway and Clearinghouse Node and Geo-spatial Data Server.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Network technologies, GIS Network should be needed to be more secure than ever.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effective access control method for the distributed GIS network. PKI (Public Key Infrastructure) Technologies are used for access control and security for transmission on Geo-spatial data

  • PDF

Database Exchange Experiments for Framework Data Circulation (기본지리정보 유통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교환 실험)

  • 손은정;박창택;조흥묵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25-430
    • /
    • 2003
  • 「국가지리정보체계의구축및활용등에관한법률」 에 규정된 8가지의 기본지리정보가 제2차 NGIS 기본계획에 의하여 구축되고 있다. 국가 기본 데이터로써 지형ㆍ공간적인 기초를 제공하고 타 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기초데이터 및 참조데이터인 기본지리정보가 DBMS기반으로 구축됨에 따라 데이터베이스 사용자와 파일 사용자 등 다양한 사용자층에게 기본지리정보를 공급할 메커니즘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현재, 이미 구축된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통하는 과정에서 표준 파일포맷이나 표준 데이터베이스가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서로 다른 DBMS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기본지리정보의 배포 및 공유를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기종 시스템간의 데이터 공유 및 교환이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본지리정보의 유통을 위해, 파일에 의한 교환, 데이터제공자에 의한 교환, GML에 의한 교환등 세가지 방법을 제시하고 실험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Integrated Map Preprocessor for Mobile GIS Visualization (Mobile GIS 가시화를 위한 Integrated Map Preprocessor 개발)

  • Jeon, Chang-Young;Park, Jun;Song, Eun-Ha;Jeong, Yo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707-710
    • /
    • 2005
  • 과거 지리정보시스템 서비스들은 단일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되어 왔다. 데이터 처리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컴퓨터 및 Mobile 사양이 높아지면서 사용자들은 각각의 지리정보시스템 자체 데이터는 물론, 이질적인 다른 여러 지리정보시스템의 통합 가시화와 효율적인 공유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지리정보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들은 자체 데이터 포맷과 상이한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대표적인 형식이고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DXF(Drawing eXchange Format)파일 포맷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리 정보인 DWG(DraWinG), SHP(SHaPefile)등의 포맷을 통합된 하나의 뷰어를 통해 가시화하기 위한 IMP(Integrated Map Preprocessor)를 설계한다. 또한 Mobile 지리정보시스템 환경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추출된 정보를 공통된 기준의 의미부여로 인덱싱화하여 DB에 저장한다.

  • PDF

Searching River Information using Ontology (온톨로지를 이용한 하천 데이터의 검색)

  • Yoon, Hong-Kyu;Yoo, Sang-Bo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2 no.2 s.4
    • /
    • pp.117-126
    • /
    • 2000
  • As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changes continuously, it has been difficult to manage it in consistent manner. Especially different terminologies are often used for describing the same object. These characteristics of geographical information make the information search be very unproductive. Recently, it is widely recognized that capturing more knowledge is the next step to overcome the current difficulties on sharing geographic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utilize the ontology concept in order to facilitate information search for geographical data in the internet environment. A prototype of search system implemented using the ontology for river-related data is presented.

  • PDF

A Extension of XQuery for Integrated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of GML (GML 문서의 통합 지리 정보 검색을 위한 XQuery의 확장)

  • 안영수;박순영;정원일;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17-619
    • /
    • 2003
  •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장점을 이용하여 지리 데이터의 저장과 전송을 위해 OGC(Open GIS Consortium)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GML은 웹 환경의 발전에 따라 지리 정보 통합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GML 문서에 대한 지리 데이터 검색 기술은 미흡하다. 최근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는 XML 문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표준 질의어로 XQuery를 추천하기 위한 작업 초안(working draft)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XML 질의어는 지리 정보의 추출에 대한 고려는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GML 문서를 기반으로 지리 정보를 검색. 추출할 수 있는 GML Query language인 GQuery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GQuery는 서로 이질적인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통할하여. 통합된 문서내의 지리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Framework Data Model in Facility Area (시설물분야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개발)

  • 이현직;박은관;최동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2 no.2
    • /
    • pp.161-170
    • /
    • 2004
  • This study is to standardize framework data model in facility area. This study focuses on standization of application oriented data model in facility management and other facility applications. In order to outline the framework data model in facility area, building and cultural sub-themes which have been proposed in a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 have initially been considered. Also various international and domestic standards in framework data for facility area have been analyzed to identify appropriate feature classes and types. In order to avoid future conflicts, many facilities experts from various facility areas including facility database and facility manarement have provided their inputs in this study based on their viewpoints and prospects. As a results of this study, we are developed to features and data model or framework data in facility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