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공간 분석

Search Result 1,76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 Explorator Spatial Analysis of Shigellosis (세균성 이질의 탐색적 공간분석)

  • 박기호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473-491
    • /
    • 1999
  • 세균성 이질은 국내 제1종 법정 전염병으로 분류되어 관리되고 있는 질환으로서 1998년 이후 그 발병 사례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1999년 3월 부산시 사상구에서 집단 발병한 세균성 이질을 대상으로 하여, 각 환자들의 발병 시점과 장소의 분포패턴에 대한 지리학적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환자분포의 특징적 공간패턴과 그들의 시계열적 확산 양상 등을 탐색하기 위한 방법론은 보건지리학과 지도학 및 공간통계학에 기반을 둔 공간분석기법을 중심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자료는 해당 지역의 수치지형도, 지적도, 인구 센서스 자료를 포함한 GI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었다. 인구분포를 감안한 밀도구분도를 바탕으로 개별환자의 위치자료와 동 단위로 집계된 자료를 자료의 형태에 따라 분석기법을 달리하였으며, 환자 발생 밀도, 상대적 위험지수 등을 지도화하여 역학자료의 시각적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환자분포의 공간적 중심위치와 분산의 변화 등 기술적 통계분석과 함께 제1차 공간속성을 커널추정법으로 찾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공간적 의존성’과 관련된 제2차 공간속성은 K-함수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여 군집성 등이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역학조사시 GIS의 활용사례가 제시되었으며, 모집단 인구를 고려한 확률지도 작성 기법과 다양한 데이터 가시화 방법, 그리고 시계열별 발생 환자들의 지리적 변이를 분석 하는데 따르는 문제들이 논의되었다.

  • PDF

"Chunhyangjeon" and Geography -With a focus on the common realm of Literary Education and Geographic Education (<춘향전>과 지리(地理) - 문학교육과 지리교육의 공동 영역의 탐색)

  • Kim, Jong-cheol
    • Journal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Education
    • /
    • no.35
    • /
    • pp.47-85
    • /
    • 2017
  • In literary works, space plays a background role, but in geography, it becomes the target of study. Space could, therefore, be a matter of common interest in literary and geographic education. "Chunhyangjeon" contains a great amou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landscape, itineraries, and spatial consciousness. This information is a part of narrative development and represents the geographical situation of the late Yi-dynasty. Thus, "Chunhyangjeon" could be the common material for literary and geographic education. Using "Chunhyangjeon" as the common material, through narrative incidents, learners in a literature class can appreciate the rol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narrative development, and the same learners can, in geography class, recognize the geographic information and gather the sense of place that the characters experience. For the construction of common realm of the two subjects, it is necessary to compare the aims of two subjects and systematically ensure that the aims correspond. This systematic correspondence of aims could be the foundation for curriculum integration.

Geo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in Korea: A Literature Review (한국의 지리공간분석 및 모델링 연구)

  • Lee, Sang-Il;Kim, Kam-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4
    • /
    • pp.606-624
    • /
    • 2012
  •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n adequate and comprehensive review of what has been done in South Korea in the field of geo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This review focuses on spatial data analysis and spatial statistics, spatial optimization, and geosimulation among various aspects of the field. It is recognized that geospatial analysis and modeling in South Korea got through the initial stage during the 1990s when computer and analytical cartography and GIS were introduced, moved to the growth stage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21^{st}$ century when there was a surge of relevant researches, and now is heading for its maturity stage. In spatial data analysis and spatial statistics, various topics have been addressed for spatial point pattern data, areal data, geostatistical data, and spatial interaction data. In spatial optimization, modeling and applications related to facility location problems, districting problems, and routing problems have been mostly researched. Finally, in geosimulation, while most of research has focused on cellular automata, studies on agent-based model and simulation are in beginning stage. Among all these works, some have fostered methodological advances beyond simple applications of the standard techniques.

  • PDF

A Study on Temporal Map for Spatio-temporal Analysis (시.공간분석을 위한 GIS기법의 시간 지도 구현에 관한 연구 - 안양시틀 사례로 -)

  • 오충원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1-202
    • /
    • 2002
  •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geographic features and human activities can be interpreted in terms of spatiality and temporality. The necessity to record the historical changes and the ability to reason in the real world has lead to a new field of research so called Integrated Spatio-Temporal 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mporal maps for Spatio-temporal analysis, which have the integration functionality for visualizing spatiality and temporality of the geographic appearances and human activities. Land information is composed of spatial, attribute and temporal data and requires spatio-temporal representations. It is possible to visualize spatio-temporal variations with spatio-temporal databases and temporal map produced by integrated data models. This study constructs spatio-temporal model for temporal maps of land price variation analysis. Taking advantage of the spatio-temporal model proposed her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spatio-temporal variations with spatio-temporal database and temporal map. On a practical level, this study would be extended and utilized to various geographic features.

Development of a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Mapping Rules (매핑 규칙을 활용한 GML 3.0 엔코딩 시스템의 개발)

  • Lee, Yong-Soo;Kim, Dong-O;Son, Hoon-Soo;Han, Ki-Joon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5 no.1 s.9
    • /
    • pp.27-38
    • /
    • 2003
  • Recently, because of the extensiv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the requirement for the easy circulation and utilization of the various geographic information among the individuals, organizations, societies and countries is raised. In order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the various fields, OGC(Open GIS Consortium) proposed the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specification that defines the XML encoding rule about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In addition, ISO/TC 211 adopted the GML specification to make it as the international standard.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analyzed the GML 3.0 specification in detail that can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of the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And then we suggested and applied the mapping rule that define the encoding method to improve the encoding process easily and efficiently. Finally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GML 3.0 encoding system using the mapping rule to encode the geographic information that was constructed in spatial databases into the GML 3.0 document. Especially, we used ZEUS as a spatial database system to test our encoding system in this paper.

  • PDF

A Study of Renovation method of Framework Data Using the UFID's Work_Process (UFID 업무 프로세스를 이용한 기본지리정보 갱신 방안에 관한 연구)

  • Jung, Jae-Seung;Kim, Ju-Han;Kim, Byung-Guk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59-63
    • /
    • 2005
  • 일부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지리정보의 생산과 향후 생산될 다양한 지형지물에 대한 기본 지리정보 구축은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사업에서 기 구축된 수치지형도의 구조화 및 체계화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기본지리정보(Framework Data)의 내용을 분석하고, 기본지리정보의 갱신에 있어서, UFID프로세스를 이용한 보다 신속 정확한 기본지리정보의 갱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DOM for Spatial Operation of Geographic Data represented by XML (XML 지리정보의 공간연산을 지원하는 GDOM의 설계 및 구현)

  • 조정희;반재훈;문상호;홍봉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96-298
    • /
    • 2000
  • 개방형 GIS는 웹 GIS 환경의 상호운용을 제공하기 위해, 웹 매핑 테스트베드를 통한 맵서버와 GML 명세를 정의함으로써 새로운 웹 매핑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이 환경에서 맵서버는 다양한 데이터 서버들의 지리정보를 XML로 변환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클라이언트는 전송받은 XML 지리정보를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웹 매핑 테스트베드는 XML 지리정보의 발견, 접근 및 출력 방법은 제공하지만 GIS에서 필수적인 공간연산을 수행하는 방법은 제시하지 않는다. 이 논문은 웹 환경의 다양한 데이터 서버들로부터 중첩되어 전송된 XML 지리정보에 대한 공간연산을 클라이언트에서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W3C에서 XML 문서의 분석을 위해 제시한 DOM을 기반으로, 웹 GIS 환경에서 XML 지리정보의 공간연산을 지원하는 GDOM(Geographic Document Object Mode)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웹 매핑 테스트베드 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GDOM을 이용하여 공간연산을 수행하는 과정 및 결과를 보인다.

  • PDF

Standardization o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 Laying Stress on the Basic Surveying - (공간데이터 구축의 공종분류체계 표준화 - 기본측량을 중심으로 -)

  • Choi, Byoung-Gil;Cho, Kwang-Hee;Kim, Sung-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s.36
    • /
    • pp.69-75
    • /
    • 2006
  • This study aims to standardize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in spatial data. It is the base frame to classify the general information systematically in spatial data construction process. Work process of the surveying firm and rules for basic surveying which is being accomplished in the NGII(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ar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refore, types, individual process, and results of surveying work is standardized. If the work classification system from this study is adopted as the national standard and is also advanced by construction methodology, the spatial data will be managed futuristically and systematically.

  • PDF

National GIS Standards: Contents and Future Directions (국가GIS 표준의 내용과 표준화 방향)

  • Jang, Sung-Gheel;Kim, Tschang-Ho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1999.06a
    • /
    • pp.159-178
    • /
    • 1999
  • 국가GIS가 주요 정보인프라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축되는 공간정보에 대한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GIS 표준화 내용에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떠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외국사례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미국, 호주, 일본, 영국 4개국의 국가GIS 표준화와 ISO/TC211, OGC의 표준화를 분석한 결과 첫째, 국가GIS 표준화는 지리정보 표준과 지리정보 서비스 표준의 두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둘째, ISO/TC211 프로파일을 통해 국가GIS 표준을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셋째, 지리정보 어의(語義) 정의를 개체-관계의 데이터 내용으로 표현해야 하며 넷째, 지리정보 서비스 표준 연구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IS를 이용한 교통망상 시간거리 지도화 방법 및 접근성의 구조 분석

  • Kim, So-Yeon;Lee, Geum-Suk
    • Proceedings of the Conference
    • /
    • 2005.12a
    • /
    • pp.40-47
    • /
    • 2005
  • 카토그램(Cartogram)은 통계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공간에 나타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카토그램이란 넓은 의미에서 모든 통계지도를 포함하지만, 좁은 의미에서 지도의 변형을 통해 통계데이터의 특징을 표현하는 시각화 방법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후자의 의미에서 카토그램이란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를 대상으로 절대적 공간을 시간거리 접근성에 의한 공간 카토그램으로 재구성하여 지도화하고, 변화된 공간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카토그램은 특정한 목적을 위해 기본도의 형상이나 지역간의 연속성을 강조시켜서 만든 변형된 지도의 일종으로 전통적인 지도와는 매우 다른 이미지를 주게 되지만, 표현하고자 하는 현상의 공간적 구조를 매우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