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도법

Search Result 852,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haracter Grouping using 3-D Neighborhood Graph on Raster Map (래스터 지도상에서 3차원 인접 그래프를 이용한 문자 그룹핑)

  • Gang, Yong-Bin;Ok, Se-Yeong;Jo, Hwan-Gyu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6 no.2
    • /
    • pp.273-283
    • /
    • 1999
  • 래스터 지도에서 직선 또는 곡선과 중첩되어 있는 경우의 문자는 추출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립되어 있는 문자뿐만 아니라 문자이외의 요소와 중첩되어 있는 문자도 효과적으로 추출할수 있는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개념에 기반한 문자 추출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먼저 이미지의 연결 요소로부터 볼록다각형(convex hull)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다각형이 충분한게 문자영역만을 포함할때가지 볼록 다각형을 이등분하면서 가장 긴 선분(투사 선분)을 기준으로 두 영역으로 분할한다. 다음으로 문자를 추출하기 위해서 이 선분을 기준으로 연결 요소상의 픽셀의 밀집도를 계산하는 알고리즘(프로파일링)을 적용한다. 또한 지도상에서 추출된 개별적인 문자들을 의미있는 단어들로 묶기(grouping)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특히 지도상에 나타나는 문자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고 또한 이 문자들이 놓여있는 방향 역시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단어를 찾는 kd법은 쉽지 않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인접 그래프(3-D neighborhood graph)G를 소개한다. 이 그래프 G에서 각 노드는 하나의 분리된 문자를 나타내며 자신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서 3차원 공간상에서 위치하게된다. 따라서, 크기가 큰 (작은)문자들은 보다 큰 (작은) z값을 가지고 되며 이 그래프 G에서 서로 인접한 노드들을 연결함으로써 지도상에 존재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문자 스트링을 추출할수 있다. 실험결과는 서로 다른 지도 이미지에 대해서 약 95% 이상의 단어 추출율을 보여준다.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ind Hazard Maps (강풍위해지도 개발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Lee, Young-Kyu;Lee, Sung-Su;Ha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1-8
    • /
    • 2011
  • In this study, a wind hazard map over Korea peninsula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i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the surface roughness model, the topographical effect model and the homogeneous wind model. The surface roughness model is asses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urface roughness on the wind field near ground. The topographical effect model is assessed to quantify the effect of the speed-up caused by topology, which is calculated by adopting the topographical effect factor in Korea building code (2005). The homogeneous wind map is created either by a frequency analysis method for meteorological data or a typhoon simul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wind hazard map can be applied to the determination of insurance premium as well as the assessment of loss and damage.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Coordinate System for Digital Mapping (수치지도 좌표체계의 최적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Yong-Il;Lee, Chang-No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3 no.1 s.5
    • /
    • pp.37-44
    • /
    • 1995
  • Cartesian coordinate systems used in national base map have 3 zones. If these coordinate systems are used at navigable digital maps without modifications, the edge-matching errors will occur near the edge of two zones. Therefore, it's required to eliminate separate zones of national plane coordinates system suitable far navigable digital map, we choose TM projection that is used at national base map but changed the location and the scale distortion of antral meridian.

  • PDF

Co-word분석법을이용한기업수준의기술지도:작성방법과활용전략

  • Kim, Hye-Ri;Park,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370-373
    • /
    • 2004
  • 특허 데이터 정보는 경쟁자 모니터링, 기술 평가, R&D 포트폴리오 관리 등 전략적 계획의 여러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정 분야의 기술 구조를 시각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특허를 사용한 기술 지도를 2차원상에 표현하는 co-word 분석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 방법론을 적용하여 기업이 가진 특허를 지도로 시각화하고 분석을 시도한 연구는 없었으며 특허 포트폴리오는 전체 기술을 시각화하는 데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기업의 일부 분야 특허에 대하여 co-word matrix를 작성하고 기술을 클러스터링하여 다차원 축적 기법(Muitidimensional Scaling)으로 기술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두 경쟁기업의 기술지도를 비교하여 기업간의 cross-licensing 가능 영역을 보이고 시간 흐름에 따른 기업 기술의 동적 분석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Relation Extraction Model for Noisy Data Handling on Distant Supervision Data based on Reinforcement Learning (원격지도학습데이터의 오류를 처리하는 강화학습기반 관계추출 모델)

  • Yoon, Sooji;Nam, Sangha;Kim, Eun-kyung;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55-60
    • /
    • 2018
  • 기계학습 기반인 관계추출 모델을 설계할 때 다량의 학습데이터를 빠르게 얻기 위해 원격지도학습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잘못 분류되어 학습데이터로 사용되기 때문에 모델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강화학습 접근법을 사용해 해결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오 분류된 데이터로부터 좋은 품질의 데이터를 찾는 문장선택기와 선택된 문장들을 가지고 학습이 되어 관계를 추출하는 관계추출기로 구성된다. 문장선택기는 지도학습데이터 없이 관계추출기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학습이 진행된다. 이러한 방식은 기존의 관계추출 모델보다 좋은 성능을 보여주었고 결과적으로 원격지도학습데이터의 단점을 해결한 방법임을 보였다.

  • PDF

Teaching Strategies of the Concept of Programming function Using a Web_based JavaMAL Learning System (웹 기반 JavaMAL 환경을 활용한 프로그래밍의 함수 개념 지도 방안)

  • Jung, Myung-Young;Kim, Kap-S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09-216
    • /
    • 2007
  • 고도의 지식정보사회 속에서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력, 문제해결력을 길러주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JavaMAL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의 함수개념 형성을 위한 학습모형을 구안 적용하고 일반화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요소 중 함수개념과 관련된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차시별 지도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프로그래밍의 함수가 수학적 함수의 모방이라는 것에 착안하여 수학의 '규칙성과 함수'지도 단계를 LOGO의 문제해결력 수업모형인 안내된 발견식 교수법(guided discovery teaching method)에 강화한 후, 인터넷을 활용한 문제해결 수업모형을 구안하였다. 기본명령어와 변수개념을 이미 익힌 계발활동 부서 6학년 아동들을 지도 대상으로 한 달간 웹 기반 JavaMAL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게시판 활동 및 활동지를 통해 함수개념 형성 여부를 측정하였다.

  • PDF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을해중성기 연구

  • An, Sang-Hyeon;Kim, Dong-Bin;Song, Du-Jong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33.1-33.1
    • /
    • 2010
  •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유방택이 계산하여 작성한 중성기가 실려 있다. 중성기란 24절기일 각각에 대해 혼각과 효각에 자오선이위치하는 하늘의 입수도를 표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우리는 유방택이 사용할 수 있었던 역법이 선명력과 수시력이라고 생각하고, 우선 수시력에 의한 중성 계산법으로 을해중성기를 계산해 보았다. 이때 적도수도 값에 따라 중성기가 달라질 수 있는데, 유방택이 사용가능한 28수의 적도수도는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수록되어 있는 것, 수시력에서 사용한 것, 선명력에서 사용한 것이 있었을 것이다. 우리는 여기에 몇 가지 다른 적도수도들의 경우를 더하여 유방택이 어떤 계산 방법으로 중성기를 작성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베이징 기준의 수시력과 선명력의 적도수도의 조합이 을해중성기와 가장 가까운 결과를 주었으며,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적도수도와 수시력의 적도수도도 비교적 을해중성기에 가까운 결과를 주었다. 우리는 유방택이 선명력의 중성 계산 방법과 선명력의 적도수도를 사용하여 을해중성기를 작성한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추후 연구를 계속하려고 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Policy among Countries (국내.외 홍수예보 정책의 비교 분석)

  • Choi, Heung-Sik;Lee, Woong-Hee;Jun, Jae-R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29-834
    • /
    • 2012
  • 선진 외국에서는 홍수예보 시스템 활용의 극대화를 위하여 홍수예 경보를 위한 정책적 가이드라인 및 홍수시 주민의 행동요령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여 홍보를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현재 홍수위험지도(홍수피해예상지도)의 홍보 및 주민 대피요령 등 홍수피해경감을 위한 정책적 대책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외 홍수예 경보관련 법 제도의 변화과정 및 현행 홍수예보관련 법령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홍수예 경보관련 기관의 구조체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의 홍수예보 정책은 통합된 홍수예보만을 위한 내용으로의 법적 편제가 필요하며, 정확하고 신속한 홍수예보를 위한 정책적 가이드라인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홍수예 경보 시스템의 활용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 국가차원에서의 국민에 대한 홍수 예방 교육 및 홍보, 아울러 홍수위험지도를 이용한 홍수위험 지역의 주민에 대한 홍수대피요령 등의 내용을 포함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 PDF

On Feasibility of Using Scanned Maps for Ground Control Point Marking (지상 제어점 결정을 위한 스캐닝된 지도의 이용 가능성 연구)

  • 신동석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12 no.1
    • /
    • pp.17-25
    • /
    • 1996
  • This paper presents a GCP marking technique using scanned maps. Twelve maps with a scale of 1:250, 000 were scanned and stored as raster images. The distortion factors of scanned maps were modelled by polynomials. The coefficients of the polynomials were determined by a least squre fit. This technique does not require a bulky and expensive digitizing table so that it is suitable for a low-cost pre-processing system. The GCP marking using this technique showed a sufficient accuracy for KITSAT1, 2 narrow camera images.

Face Super Resolution using Self-Supervised Learning (자기 지도 학습을 통한 고해상도 얼굴 영상 복원)

  • Jo, Byung-Ho;Park, In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724-726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GAN 과 자기 지도 학습(self-supervised learning)을 통해 입력 얼굴 영상의 공간 해상도를 4 배 증가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변형된 StarGAN v2 구조의 생성자와 구분자를 사용하여 저해상도의 입력 영상만을 가지고 학습 과정을 거쳐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도록 자기 지도 학습을 수행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복원된 영상과 고해상도 영상 간의 손실을 줄이는 지도 학습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고 입력 영상만을 가지고 영상 내부에 존재하는 특징을 학습하여 얼굴 영상에 대한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한다. 제안하는 기법과 Bicubic 보간법과의 비교를 통해 우수성을 검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