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도도서관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PBL교과수업과 학교도서관 LAI의 연계를 위한 기술적 분석 - PBL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criptive Analysis for Coordination of the School's Library-Aided Instruction With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Korea School Libraries: Focusing on PBL Cases)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167-185
    • /
    • 2018
  • 연구의 목적은 PBL 수업과 관련된 사례 연구들을 조사 분석하여 도출된 기초자료를 근거로 PBL 수업과 연계하여 학교도서관의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PBL 수업이 국내 초 중등교육 현장에 도입되어 사례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0년대부터 2018년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PBL 관련 사례연구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초 중 고등학교로 구분하여 대상학년, 교과목, 수업형태, 학습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원 종류, 협력수업 여부, 도서관협력수업 여부, 교육적 효과에 중점을 두고 조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BL 사례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된 학교급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수업형태는 협력수업보다는 단독수업진행이 대부분이었다. PBL을 적용한 교과목계열은 자연과학, 인문사회, 예체능계열 순으로 많았으며 도서관과 협력하여 실행된 PBL수업은 저조하였다. PBL수업의 주된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만족도,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초로 학교현장에서 도서관협력수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서교사들의 적극적인 인식전환 뿐만 아니라 PBL수업에 집중하여 교과교사와 수업지도안 설계단계부터 평가에 이르기까지 협력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사서교사 교유실습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Practice Teaching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83-203
    • /
    • 2011
  • 이 연구는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교육실습의 전개방향을 모색하고, 사서교사의 전문성 선장방법으로써 교육실습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두개의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첫 번째 모형에서는 교육실습의 영향요인으로 사전교육, 실습프로그램, 지도교사, 실습환경, 실습기관의 조직적 분위기를 선정하여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고, 두 번째 모형에서는 사서교사의 주요 전문성 신장경로인 대학교육과정, 교육실습, 현장경험 및 자기계발이 역할인식과 직무수행 역량에 어느 정도의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실습프로그램으로 나타났고, 전문성 선장경로 중 교육실습은 직무수행 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은 사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정으로써 실제적인 효과가 있으며, 교육실습의 효과적 전개방안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제고, 양질의 실습프로그램 개발, 충분한 사전준비, 지도교사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농촌지역 영어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영어도서관 활용방안 (A Study on Application of English Library to Improve for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in Rural Area)

  • 함정현;김종남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7권2호
    • /
    • pp.261-277
    • /
    • 2010
  • This study is undertaken to present the facilitation plan of English library that specialized the resource-based learning to provide learning that is suited for student's own learning style and self-leading learning as the method to learn contents required for individuals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in the rural areas. For this purpose, a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ossibility of facilitating English library in the rural areas on the basis of consulting for structuring and operating English library in public libraries located in isolated areas clustered with low income class in the urban areas where the conditions are similar to the rural areas and results are shown as the followings. First, it displayed the possibility to have the rural area located with many closed schools or small-sized schools to facilitate the available facilities to build up the environment to specialize in English education that would be as comparable as any facilities in any urban setting. Second, it would enable the conditions to moderate the conflict on education environment for local residents who felt inequality in education by providing the benefit for fine education linked to public education through English library without going through private education. And third, English library that has the limitations in locality or economic means would actively participate by loca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volunteers to enhance the sense of master for the local residents and bring residents together to make positive impact on local economy facilitation.

독서교육 교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문헌정보학과에서 제공되는 독서교육 과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 Construction of "Reading Education" Course in LIS)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44
    • /
    • 2007
  •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양성 과정과 관련한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19개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내용 구성과 전국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 관련 과목들은 주로 독서지도(론) 또는 독서교육(론) 등의 명칭으로 32개교 중 28개교에서 개설되어 있었으며, 과목수는 45과목이었다. 각 대학에서 개설된 과목의 수를 살펴보면, 독서지도 관련 과목이 한 과목 이상 개설된 28개 학교 중 가장 많은 과목을 개설한 학교는 공주대 5개 과목, 계명대와 청주대가 각각 3과목씩 개설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양성을 위하여 13주 강의로 구성된 독서교육 강의계획서의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세 가지 강조점인 다양한 독서자료의 구성, 독서교육방법, 독서치료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자유학기제 지원을 위한 통합 주제 중심의 도서관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Libraries' Information Literacy Program based on Integrated Tasks to Support the Free Semester System)

  • 이경화;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5-10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기제에 참여하는 중학생의 탐구학습능력을 길러주기 위하여 교과 간 연계성을 갖는 통합 주제 중심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가 수준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중학교 1학년 국어, 사회, 미술, 음악 교과 간 관련성을 갖는 통합 주제 6개를 개발하였다. 통합 주제 지도를 위한 교수 학습지도안은 배경지식 형성하기, 탐구하기, 탐구결과 산출 및 평가하기와 같이 3단계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탐구하기의 세부 활동 과정은 문제인식하기, 정보분석 및 해석하기, 정보종합하기, 활동별 평가하기와 같이 4단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 <감상>을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에서 시범 적용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다양한 주제를 교과와 연계하여 구성한 프로그램에 흥미를 보였으며, 만족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사서교사 임용시험 출제경향 고찰 - 학교도서관 실무영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ional Teacher Recruiting Examination for School Librarian Teacher: Focusing on the School Library Practice Area)

  • 노경국;임정훈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85-104
    • /
    • 2023
  • 본 연구는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출제된 시험 문항의 영역, 내용 및 평가 요소 등을 분석하여 임용시험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2002년 이후 사서교사 임용시험 문제를 수집하여 영역별 출제 빈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도서관 운영 106문항(21.95%), 분류학과 정보검색 각 63문항(13.04%), 도서관 전산화 59문항(12.22%), 독서지도론 58문항(12.01%), 목록학과 정보봉사론 각 56문항(11.59%), 정보매체론 18문항(3.73%) 순으로 출제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최근 10년간(2014~2023학년도) 임용교사 출제 영역을 사서 전문성과 학교도서관 실무영역으로 구분하여 출제 빈도를 분석한 결과, 사서 전문성 관련 문항은 총 149문항(66.22%), 학교도서관 실무 관련 문항은 총 76문항(33.78%)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평가영역 및 평가요소의 갱신, 정보매체론 영역의 확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교원 수급 정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독서교육에 있어서 청소년의 성격유형과 독서성향의 관련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 of Personality Type and Reading Tendency of the Youth in Reading Education)

  • 한윤옥;조미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9-8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주요 봉사대상자이며, 성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인 청소년의 성격유형별 독서성향과 행태가 어떻게 다른지를 밝혀내어 성격에 기반한 예방적 차원의 독서지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생과 중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에 이용된 설문지는 총 583부(초등학교 324부, 중학교 259부)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적응, 사회적 적응, 문화적 적응영역 모두 7-9개 주제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성격유형에 따른 독서교육 방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미국 대학도서관 이용지도의 발달

  • 이영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권
    • /
    • pp.51-78
    • /
    • 1976
  • Since educating all students in learning how to learn and iic\il- to adapt thernselves to the changing society is the most desirable :.:.il:ii of education in the modern world, it is necessary that the library hc:one an increasingly important part of the students' learng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the desire and necessary skills to seek mi! to acquire lino~vledge should be encouraged and planned by the acac:e:liic library. The effective instruction in the use of academic lihra1.1.- can provide the students with the cspxbility to carry on their own icL,i.!nal education through their life. This paper is to make a brief trace of the development of liGl-ary instruction in American universities and colleges oiyer the decades, providing the overview of many successful components of saxe representative projects and experiments, from which to clarify coi~in;on problems and principles involl-ed in them. Any one of standard approaches so far identified has turned o:lt to be not a perfect method in that each has its own merits and pl-oblcms. It may be that the process of analysis and evaluation is 1-aluab!e for better comprehensive perspectives in future program of the instr~iction in the use of academic libraries. An effort is sincerely made to giie an impetus to the recogrriiivn of the importance of library instruction in Korean academic .yorid to meet the urgent needs of the modern society.

  • PDF

장서개발의 교육 : 교과과정의 연구 (Education for Collection Development : A Study on the Curriculum)

  • 엄영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9-184
    • /
    • 2000
  • 본 논문의 목적은 문헌정보학과와 도서관학과에 개설되어 있는 장서개발교육의 변화와 그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서선택으로 출발한 교과목이 장서개발 및 장서관리로 바뀌게 된 배경을 살펴본 후, 교과목명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교육의 내용은 장서개발 관련 교과목의 소개 및 개요를 모아서 분석하였다. 1980년대까지도 대부분의 학과가 자료선택(론)으로 가르치던 것이 1990년대에는 장서개발(론)로 변하였으나 교육되는 과정의 개요를 분석한 결과는 과목 명은 달라졌으나 내용 및 교육의 목적은 자료선택에 가깝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장서개발의 교육과 실행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