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능기계

검색결과 1,038건 처리시간 0.039초

지능재료를 이용한 진동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

  • 선경호
    • 기계저널
    • /
    • 제55권4호
    • /
    • pp.35-38
    • /
    • 2015
  •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 에너지 하베스팅(micro energy harvesting)에 사용되는 지능재료 (smart material)의 작동 원리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이용한 진동에너지 수확장치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 센서와 지능형 자동차

  • 강경태
    • 기계저널
    • /
    • 제54권10호
    • /
    • pp.32-34
    • /
    • 2014
  • 이 글에서는 최근에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스마트 센서와 센서 기술들을 이용한 지능형 자동차 연구의 최신 연구 동향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인간과 로봇 상호작용

  • 조성배
    • 기계저널
    • /
    • 제42권3호
    • /
    • pp.29-33
    • /
    • 2002
  • 인간형 로봇은 인공지능의 많은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이다. 이 글에서는 학제적으로 수행되아야 할 인강형 로봇 연구를 위한 인공지능의 핵심기술을 알아보고, 이제까지의 연구동향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다.

  • PDF

인공지능 기반의 TensorFlow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Graphic User Interface for TensorFlow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 송상근;강성홍;최연희;심은경;이정욱;박종호;정영인;최병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221-229
    • /
    • 2018
  • 기계 학습 및 인공지능은 제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이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능력을 요구하는 기계 학습 플랫폼의 특성 상 일반 사용자들의 접근이 힘들기 때문에 인공지능이나 기계학습의 대중화는 제한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도입하여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일반인의 접근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본 기계 학습 플랫폼으로는 Tensorflow를 채택하였고 GUI는 마이크로 소프트 사의 .Net 환경을 활용하여 작성하였다.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일반 사용자도 파이썬 프로그래밍에 대한 부담없이 직관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기계 학습을 실행할 수 있다. 우리는 이 개발이 다양한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IT기계융합기술

  • 김영한;안형준;최동수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5호
    • /
    • pp.28-36
    • /
    • 2011
  • 기계간 지능형 자율 협업을 기반으로 유비쿼터스 생산시스템을 목표로 하는 u-Manufacturing 시스템은 IT와 기계간 융합을 통해 이를 차세대 생산시스템으로서 기존 단위기계 제어에서 공정상 혹은 운영상 연동이 요구되는 일련의 기계들이 상호정보를 교환하고 이를 근거로 제어가 자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능형 제어방식을 근간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궁극적인 IT기계융합시스템의 내용과 그 전단계에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IT기계융합사례들을 살펴본다. 특히 정밀 생산 공정이 요구되는 공장에서의 기반기술이라 할 수 있는 초정밀 모션시스템에 있어서의 IT융합기술 대한 내용을 고찰하여 미래 IT융합기술의 발전방향을 전망해본다.

지능공작기계 구현을 위한 Decision Support Agent 설계

  • 이승우;임선종;김동훈;이안성;박경택;송준엽;김선호;이화기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28-228
    • /
    • 2004
  • 공작기계가 생산시스템에 사용된 이후 생산시스템은 대량생산체제를 거쳐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응하기 위한 Mass Customization 생산체제가 정립되었다. 이러한 생산시스템의 발전은 공작기계와 같은 다양한 생산장비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유연성과 이식성을 부여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해 지능화된 제어시스템을 도입하게 되었다 지능화란 인간전문가가 생산장비를 운영하는 방법과 가공에 필요한 지식 및 이상상태에 따른 대처능력을 대상기계에 구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중략)

  • PDF

미래 지능형 과학실 활용을 위한 "화학원소기호 이미지 기계학습 AI·SW교육 프로그램" 제안 (Proposal for AI/SW Education of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chemical element symbol image for the Utilizing Future Intelligent Laboratory)

  • 박민솔;박주본;박유민;조영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0년도 제6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8권2호
    • /
    • pp.629-632
    • /
    • 2020
  • 현대사회는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초연결, 초지능, 초융합 사회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 교육부는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교육분야, 교육정책 방안으로 SW(소프트웨어)교육에 AI(인공지능) 교육까지 추가되야 한다고 제안하고 2024년까지 첨단 기술을 활용한 지능형 과학실을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교육정책 방안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고 융합 교육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미래 지능형 과학실 활용을 위한 화학원소기호 이미지 기계학습 AI·SW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