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 환경 문제

Search Result 78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Recent International Cooperations and Response Strategies to Arrest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에 관한 최근의 국제동향과 대응책)

  • 주수영;김용석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7 no.1
    • /
    • pp.73-80
    • /
    • 1991
  • 인류가 산업발전 등으로 인해 석유등 화석연료를 사용함에 따라 대기오염은 날로 악화되어 1952년 런던스모그 같은 참사를 맞이하였고 이에 각국은 이러한 대기 오염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대기 오염물질은 낮아지고 있으나 이에 반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에 따른 지구 온난화 현상과 오존층 파괴는 지역적인 환경문제에서 번세계적인 환경문제로 확산 전개되고 있다. 특히 산업혁명후 화석연료의 급격한 사용증가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증가는 지구를 온나화시키고 수십년 후에는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으로 이는 지구환경문제 중에서 금회 최대의 과제로 대두되게 되었다. 이에 따라 1985년 UNEP 관리 이사회를 필두로 "지구환경보전에 관한 동경회의", "대기오염 및 기후변동에 관한 노드윅 회의", "백악관회의", "휴스톤 Summit" 등에서 이 문제가 거론되기 시작하여 '90. 8월에는 스웨덴에서 온난화에 대한 과학적 인식과 대책의 메카니즘을 정하기 위한 IPCC 4차 회의가 각국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정치, 경제, 과학의 문제로 등장하여 우리생활의 근본을 좌우할 다각적인 논의가 진행된 바 있다. 또한 미국, 영국, 일본 등 선진국들의 정상이 모이는 G7 회담 등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들 중 정치적인 문제를 제외하고는 환경문제를 가장 많이 다룬다는 외신보도를 우리는 여러번 접한바 있다. 현재 국제적 환경문제로 가장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문제 중 몇가지를 소개하면 우선 <몬트리올의 정서에 의한 오존층 보호>를 들 수 있겠고, 최근 국제 협약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 "지구온난화 방지에 관한 기후협약" 그리고 유해폐기물의 국제교역에 관한 "바젤협약"과 함께 새로이 제기된 "생물학적 다양성 협약"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이에 덧붙여 미국의 "자동차배출가스 규제"도 우리나라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은 이중 대기와 관련된 오존층 보호와 지구온난화 대책에 대한 국제회의 등에서 현재까지 논의되었거나 토의될 내용에 대하여 기술하고 특히 금년부터 집중적으로 국제협상이 진행될 지구온난화 문제에 대한 최근의 국제동향 우리나라의 입장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Earth Science in the Persp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지구과학과 환경 교육)

  • Shin,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2
    • /
    • pp.147-158
    • /
    • 2001
  •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also been emphasized. Science is a subject that enormously contributes to education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environment, and education for the environment. Among various fields of science, earth science has a large amount of contents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that the subjects of earth science are natural and artificial changes in the earth surface. Accordingly, it is clear that earth science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is proved in the fact that the goal and specifics of earth systems education coincidence with th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Earth science curriculum in Korea, however, contains few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Earth science education that concerns our environment as a whole will help not only catch a new interest on the field of earth science but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our environmental problems.

  • PDF

공동이행 방안과 환경비교우위 방안의 실행 가능성 분석

  • Yun, Seong-Lee;Kim, Hong-Cheol;Jo, Byeong-Chan;Yu, Deok-Gi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8 no.1
    • /
    • pp.27-50
    • /
    • 1998
  • 본 논문은 지구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 지구환경문제인 지구온난화 방지에 대한 방법으로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방안에 관해서 검토하였다. 지속가능성을 위협하고 있는 빈부의 격차를 축소하고 동시에 지구온난화에 대한 환경개선을 국제적인 틀 안에서 환경비교우위에 기초한 산업구조의 조정과 공동이행활동이라고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 이러한 방안에 관해서 분석평가하고 비교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산화탄소 문제를 지구 전체 문제라고 가정하고 방안을 강구하였다. 국가간의 GNP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은 최소한으로 하면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양국의 산업구조를 명확하게 한 것이다. 더욱이 남북문제도 동시에 해결한다는 것에 착안해서 이론전개를 하고 있다. 따라서, 여기서는 환경비교우위의 개념을 응용해서 부가가치단위당 이산화탄소 배출이 상대적으로 적은 부문(환경적 우위 부문)에 생산을 특화하고 이것과 반대의 환경적 열위부문에 대해서는 상대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는 것에서 국제적으로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산업의 재배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라고 하는 논리전개로부터 그 결과를 명확하게 하였다. 또한, 지구환경개선을 목표로 하는 또 하나의 전략인 공동이행활동에 관해서 분석하였다. 이것에 관해서는 경제적으로 온실효과가스를 줄인다는 것뿐만 아니라 선진국에서 개발도상국으로의 기술이전을 촉진하고 남북격차를 시정한다는 점에서 기대가 크다는 것에 착안하고 게임이론을 통해 일본과 중국의 실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공동이행활동의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방책의 특징을 검토하여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그 방안에 대하여 고안하고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융합방안에서는 상술한 환경비교우위의 정학적 분석결과와 공동이행의 게임분석결과를 고려하고 확장된 공동이행 게임의 균형점까지 자원의 원조를 한다는 전제조건하에서 201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이를 산정한 결과 융합방안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지구 온난화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 걸림돌이 되고 있는 남북문제의 격차와 협력에 관한 곤란한 문제에 착안해서 환경적 우위와 융합방안이라고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방안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하고 일본과 중국을 모델로 실제 정책으로의 실현가능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Review on Basic Concepts for Clean Technology (청정기술)

  • 김상환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9 no.1
    • /
    • pp.19-24
    • /
    • 1993
  • 인간이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는 자연에서 끊임없이 자원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일상생활에서 유용한 각종 제품을 생산하고 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인간에 유용한 각종 제품이외에 폐기물이 필연적으로 발생되어 자연을 오염시켰고 지구상에 인구가 많지 않았을 때에는 자연의 자정능력이 더커서 발생된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의 문제는 발생되지 않았다. 따라서 인간은 활발한 경제활동에 의하여 더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더 많은 폐기물을 자연으로 방출하였다. 이러한 산업화와 더불어 도시화는 지구 생태계가 가진 자정능력의 한계를 훨씬 넘어 환경을 오염시켰다. 지구 전체적으로도 심각한 문제가 되는 CFC에 의한 오존층의 파괴, $CO_2$에 의한 지구온난화, SOx 및 NOx 등의 배출에 의한 산성비 그리고 산림의 황폐등이 심각한 오염문제로 대두되어 국경을 초월한 전세계적인 문제로 확대되어 "하나뿐인 지구"를 지키기위한 노력이 전세계인의 관심속에 합심하여 강구되고 있다.

  • PDF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Works on Global Atmosphere Station (지구대기 측정소의 운영현황 및 과제)

  • 윤우식;김웅선;오재일;황승만;강창국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59-60
    • /
    • 2003
  •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 오존층파괴, 산성비 등 지구환경 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정확히 파악하여 과학적 기초자료를 산출하기 위한 지구규모의 관측ㆍ수집ㆍ관리 및 이를 제공할 수 있는 체제 구축의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환경여건 변화에 따라 환경부는 오존층 파괴물질 및 온실가스 농도를 분석하여 오존층 파괴 및 지구 온난화 등의 지구환경문제를 파악하고, 몬트리올 의정서, 기후 변화협약, 교토 의정서 등 국제환경 협약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1999년 4월 수립된 2000년대 대기오염측정망 기본계획에 따라 지구대기 측정망을 국가관리 측정망으로 확정하고, 우리 공단에 동 측정망 구축을 위탁하였다. (중략)

  • PDF

Direction of Concrete Engineering Education for Change of Construction and Concrete Industry (건설 및 콘크리트 산업환경의 변화와 콘크리트공학 교육의 방향)

  • 김무한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14 no.4
    • /
    • pp.6-12
    • /
    • 2002
  • 건설구조재료의 70~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콘크리트는 지금까지 강재와 더불어 중요한 건설재료의 지위를 점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방지, 자연환경파괴 방지 등의 지구환경문제와 깊은 관련이 있는 재료이기도 하다. 앞으로 21세기에 있어서도 이러한 콘크리트가 많이 사용되기 위해서는 자원의 고갈이나 에너지의 유한성, 지구환경과의 조화나 환경부하의 저감 등을 고려한 설계, 시공 및 제조기술이 더욱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자원의 유효이용이나 환경문제를 의식한 재료의 활용을 도모함과 동시에 해체ㆍ처분에 따른 문제점을 경감시키고 건설용 자원의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콘크리트 구조물의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중략)

집중기획 I - 낙농분야 환경현안과 IDF의 대응동향 - 지속가능한 낙농만이 식량문제와 환경보전 문제 푸는 키워드 -

  • Son, Byeong-Gap
    • 월간낙농육우
    • /
    • v.29 no.8
    • /
    • pp.74-78
    • /
    • 2009
  • 2050년에는 세계인구가 현재의 두 배가 될 것이라고 한다. 지금도 매년 7천만명의 인구가 주로 중국, 브라질, 인도 등 몇몇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특히 이들 인구증가지역의 식품소비형태가 곡물과 채소위주의 녹말전분에서 육류와 우유 등 단백질로 바뀌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그렇다면 더 많은 우유와 고기가 필요할 것이 분명할 것이고 온실가스 문제도 더욱 문제가 될 것도 분명하다. 가뜩이나 축산업과 낙농업이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의 주범이라는 부정적인 시각이 팽배한 이 시점에서 위와 같은 글로벌 전망은 앞으로 낙농과 축산업계에 몰아칠 환경관련 규제가 더욱 심각해 질 것이라는 우려를 낳게 한다. 우리에겐 아직 생소해 보이지만 이미 IDF와 주요 낙농국에서는 지구온난화와 환경현안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이번 호에서는 지구온난화 등 낙농업계의 환경현안에 대한 최근 동향과 IDF의 움직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Global Warming and Cars : The Facts, the Myths and the Answers (지구 온난화 현상 및 차량과의 연계성 : 현상, 가설 및 해결책)

  • Lee, Ki-Y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0 no.1
    • /
    • pp.106-110
    • /
    • 2008
  • 본 글은 자동차부품혁신센터 및 신소재기술지원센터에 다년 근무한 경험을 토대로 지구 온난화 현상과 연계된 차량 에너지 기술에 관련하여 서술한 기술자료이다. 주된 내용으로는 현재 범 세계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환경문제인 지구 온난화 현상(global warming)을 현상(facts), 가설(myths) 및 해결책(answers)의 3개 측면으로 분류하여 이를 차량 에너지 기술과 연계하여 서술함으로써 지구 온난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구생명의 신비-습지와 개펄

  • Seo, Won-U
    • 공원문화
    • /
    • s.72
    • /
    • pp.86-88
    • /
    • 1998
  • 지구환경문제와 관련 역사이래 오랫동안 '가장 쓸모 없는 땅'으로 여겨져 왔던 습지와 개펄이 21세기 환경경제시대를 앞두고 '지구의 콩팥'으로 비유되며 재평가 되고 있다. 습지와 개펄의 경제적.문화적.경관적.환경생태학적 가치와 보존 방안 등을 기획 시리즈로 엮는다.

  • PDF

Rule-Inferring Strategies for Abductive Reasoning in the Process of Solving an Earth-Environmental Problem (지구환경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귀추적 추론을 위한 규칙 추리 전략들)

  • Oh, Phil-Se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6 no.4
    • /
    • pp.546-55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euristically how abduction was used in a context of solving an earth-environmental problem. Thirty two groups of participants with different institutional backgrounds, i,e., inservice earth science teachers,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high school students, solved an open-ended earth-environmental problem and produced group texts in which their ways of solving the problem were written, The inferential processes in the texts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syllogistic form of abduction and then analyzed iteratively so as to find thinking strategies used in the abductive reasoning. The result showed that abduction was employ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earth-environmental problem and that several thinking strategies were used for inferring rules from which abductive conclusions were drawn. The strategies found included data reconstruction, chained abduction, adapting novel information, model construction and manipulation, causal combination, elimination, case-based analogy, and existential strategy. It was suggested that abductive problems could be used to enhance students' thinking abilities 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earth science and earth-environmental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