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 관측 위성

Search Result 60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지구관측위성 현황 조사

  • Shin, Jae-Min;Kim, Hee-Seob;Kim, Eung-Hyun;Im, Jung-Heum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2 no.1
    • /
    • pp.63-72
    • /
    • 2003
  • On the basis of sensor types, satellites can be classified by two types, which are optical observation satellite and radar observation satellite. A satellite typ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specific mission. Optical observation satellite is more appropriate for getting high geometric resolution images and radar observation satellite is more appropriate for getting images independent of weather condition the more a demand of satellite increases, the more an importance of information increases. Therefore, development trend and state of earth observation satellite are surveyed and described in this paper. In the future, domestic development of satellites will be planned considering trend of satellite technologies.

  • PDF

KOMPSAT 삼축자력계로부터 관측된 지구자기장 분석

  • 황종선;김성용;이선호;민경덕;김정우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43-149
    • /
    • 2003
  • 다목적위성 1호(KOMPSAT-1, The first Korea Multi-Purpose Satellite)에 장착된 위성 자세제어용 3축 자력계(TAM, Three-Axis Magnetometer)로부터 2000년 6월 19일에서 21일 사이에 측정된 지구자기장을 분석하였다. TAM Telemetry 값을 지구관성좌표계에서 지구고정좌표계로 우선 변환시킨 후에 다시 구면좌표계로 변환하여 자료를 처리하였다. 지구자기장의 영향 이외의 위성내의 유도 전류나 온도변화로 인한 에러, 태양풍의 영향 등을 제거하였고 태양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제도를 지방시에 따라 상승 및 하강과 두 그룹으로 나눈 후 파동수대비법을 이용해 두 그룹 사이에 서로 역으로 대비되는 (inversely-correlated) 성분을 제거하였다. 측선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파동수 영역에서 Quadrant Swapping법을 도입하였고, 이로부터 연구 기간 중 최종적인 지구자기장을 추출하였다. KOMSAT TAM 으로부터 추출된 자기장의 주성분(corefield)을 동일 기간 중 KOMSAT과 유사한 고도에서 지구자기장 관측을 전문적으로 수행한 Ørsted 위성 관측값과 비교한 결과 이들 사이의 상관계수는 0.97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위성 자세보정용 자력계로 부터 관측된 자기장으로부터 신뢰도 있는 주성분 추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이로부터 전지구 구면조화계수를 유도할 경우 지구자기장 전문 관측위성이 존재하지 않는 기간 및 고도에 대한 자기장 연구가 가능하다.

  • PDF

Development Trends of Civil/Milit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and Direction of Prospective Domestic Satellite Projects (민/군 지구관측위성 개발 동향 및 향후 국내 위성사업 방향)

  • Jeong, Hyun-Jae;Choi, Yoonhyuk;Hwang, In Young;Seo, Inho;Kim, Kyung 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9 no.9
    • /
    • pp.791-800
    • /
    • 2021
  • In this paper, the recent development trends of civil/milit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of space-advanced countries and South Korea are investigated and the current status and the direction of prospective domestic satellite projects is described. The space-advanced countries are the United States, Russia, France, Germany, Italy, Israel, China and Japan. Based on the recent trends, the direction of prospective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is predicted. In general, the term of 'satellite development' usually refers to a concept of satellites, ground stations and launch vehicles consisting a satellite system, but in this paper the term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satellites, not the satellite system.

지구 저궤도 고해상도 관측위성의 개발 동향

  • Kim, Gyu-Seon;Jeong, Dae-W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68-73
    • /
    • 2006
  • 1990년대 중반이후 선진외국의 위성 제작사들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소형 위성체에 고해상도 광학 탑재체를 탑재한 위성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미국의 Lockheed Martin사에서 IKONOS라는 상업용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을 개발한 이후 미국 및 유럽의 선진외국 사에서 유사한 위성을 개발하여 미국 내 정부의 수요 및 해외고객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최근 다음 세대 위성의 개발이 진행되어 1-2년 내에 발사를 앞두고 있는데 미국 내의 개발 동향은 위성의 대형화를 통한 성능 및 수명 증대와 더불어 고용량 자세제어 작동기를 사용한 고 기동성능 확보로 요약할 수 있으며, 탑재체 성능의 경우에는 PAN 채널의 경우 0.5 m 이하의 해상도를 갖는 성능 증대를 보이고 있다. 본 기술동향에서는 기존의 개발 되어있는 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지구 저궤도 고해상도 관측위성의 개발동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저궤도지구관측 위성용 광학탑재체 진동 환경 시험

  • Jeon, Jong-Hyeop;Eun, Hui-Gwang;Im, Jong-Min;Lee, Dong-U;Mun, Nam-Jin;Mun, Gwi-Wo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6.2-136.2
    • /
    • 2012
  • 저궤도지구관측 위성의 광학탑재체는 위성이 궤도에 진입한 이후 관측과 같은 주요 임무를 전담하는 중요 시스템이다. 광학탑재체가 장착된 위성이 발사체에 탑재되어 발사하는 순간부터 우주의 궤도에 진입하기까지 극심한 진동 환경에 노출된다. 이러한 상황을 예측하여 설계된 해당 시스템은 발사 이전에 진동 환경을 모사하는 시험을 통해 완벽하게 검증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저궤도지구관측위성용 광학탑재체에 대하여 실시한 진동 환경 시험 방법 및 분석 내용을 소개하고자한다.

  • PDF

과학기술위성3호 사용자를 위한 관측요청 및 관측데이터 인터페이스

  • Lee, Seung-Heon;Son, Jun-Won;Park, Jong-O;Chae, Tae-Byeong;An, Sang-Il;Lee, Seung-U;Lee, Cheol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90.1-190.1
    • /
    • 2012
  • 과학기술위성3호는 170kg의 소형위성으로 2006년 사업을 착수하였으며, 올 2012년 12월에 러시아에서 발사할 예정이다. 주탑재체는 다목적 적외선 영상시스템 (MIRIS, Multi-Purpose IR Imaging System)으로 천문연에서 개발을 담당하였으며 우주관측과 지구관측을 수행한다. 우주관측은 $0.9-2{\mu}m$ 대역을 관측에서 은하면의 근적외선 방출광을 탐사하여 우리은하 고온가스의 기원 및 성간 난류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한다. 또한 황도극지방을 추가로 관측하여 적외선 우주배경복사의 기원의 연구에 활용될 것이다. 지구관측은 $3-5{\mu}m$의 파장대역으로 한반도의 재해 및 환경변화의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부탑재체는 소형영상분광기 (COMIS, Compact Imaging Spectrometer)로 공주대에서 개발을 하였으며 $0.4-1.05{\mu}m$ 파장대역의 지표면 분광영상의 획득이 주요 임무이다. 소형영상분광기를 위하여 다양한 관측방법 (Strip, Stereo, Slow Skew)을 시도하며, 관측된 분광영상은 수질, 작황, 황사, 근해 환경변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우주관측임무는 확정되어 주어진 임무기간동안 정해진 일정대로 우주관측을 수행되며, 지구관측임무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관측지역 및 관측 횟수가 추후에 결정될 것이다. 과학기술위성3호는 기술적으로 기존 과학기술위성 시리즈 보다 향상된 위성체, 탑재체 시스템으로 주어진 우주 및 지구과학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으로 예상되며, 또한 우주 및 지구과학의 연구를 위해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는 국내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도 기대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관측요청 접수를 위한 지상관제시스템의 설명과 임무관측을 통해 획득된 관측데이터의 전달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 PDF

System Requirement Analysis of Passive Microwave Radiometer in Earth Observation Satellite (지구관측위성 수동형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의 시스템 설계 요구 사항 분석 연구)

  • Ryu, Sang-Burm;Yong, Sang-Soon;Lee, Sang-Kon;Lee, Seung-Hoon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7 no.2
    • /
    • pp.87-96
    • /
    • 2012
  • In this research, we describe recent technologies and system requirements of the passive microwave radiometer used in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nd we classify types of microwave radiometer system for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ccording to observation targets and ways to scan and discuss a design method. Also, requirements of passive radiometer for Earth observation missions in the latest practical examples used and developed are analyzed in this research.

인공위성 원격탐사에 의한 지구 수계환경 감시

  • 박경윤
    • Water for future
    • /
    • v.24 no.3
    • /
    • pp.36-41
    • /
    • 1991
  • 1960년대 초부터 미 국립항공우주국(NASA)에서 기상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리면서 시작되고 우주개발 선도국들에 의해 수 없이 발사되어 지구상공을 선회하고 있는 각종 실험위성, 자원탐사위성들로부터 이전까지만해도 지엽적이고 단편적인으로 알려지던 지구환경현황들이 이제는 지구전체에 대한 시시각각의 정보로 확대되고 있다. 기상위성들에 장착된 Sensor들로는 구름과 기상현상의 분포는 물론이고 각 대양의 해수면 온도 분포들이 파악되고 있으며 식물지수에 의한 지상의 식물분포의 계절적 변화양상에서 열대림의 사막화 추세들까지도 분석된다. 특히 위성탐사에 의한 남극 오존홀 (Ozone Hole)의 확인은 최근악화 되고 있느 swlrnchs 환경문제에 대한 커다란 주의를 환기시켜 주었다. 대양의 Phytoplankton 분포가 계절에 따라 위성자료에 의해 분석되므로서 해양의 생산능력(Productivity)의 변화도 알게되고 있다. 해양수면의 높이를 측정했던 초단파(microwave)영역의 SAR 자료는 구름을 투과하여 지구표면을 전천후 Monitoring할 수 있는 다음 세대의 Sensor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 유럽과 일본, 카나다, 소련 등에서 이들 새로운 Sensor들이 탑재 될 자원탐사 위성(ERS)과 RADASAT 등의 위성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어 이들에 의한 지구환경상태 진단은 크게 각광받게 될 것이다. 그외에도 해면풍 운량, 총강우량 분포, 대기 투명도, 대기의 열수지등의 계절적 변화에 대한 인공위성자료 해석을 통하여 지구의 온난화nas제가 본격적으로 ud가되고 있다. 또한 자원탐사위성인 Landsat 과 SPOT 등의 위성에 의해서는 각대륙의 토지 이용도 변화, 토사의 이도, 지질도 작성, 입체도 제착등과 농산물수확량의 예측있어서 괄목할 만한 발전이 계속되고 있다. 더욱이 NASA와 일본, 유럽등에서 지구관측을 위해서 준비하고 있는 각종 지구관측위성(EOS)들이 실용화 될 2000년 대에는 일반 지구환경감시는 물론 수계환경 감시 체계구축에 획기적인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Selection of Optimal Satellite Imagery by Disaster Type (재해 유형별 최적 위성 영상 선정에 관한 연구)

  • Lim, SoMang;Kang, Ki-mook;Yu, 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79-279
    • /
    • 2021
  • 위성영상정보는 센서의 종류, 취득, 분석, 재난과 위성영상 특성 매칭 등의 제약으로 재난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반적으로 인공위성의 종류는 탑재한 센서의 정보제공 능력 범위에 따라 분류 가능하며 이에 따라 대상 범위가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의 예측, 탐지, 사후처리를 위한 위성자료의 취득과 활용을 위해 다양한 위성과 탑재된 센서의 궤도, 공간 해상도, 파장대 등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고 재난유형별로 최적 위성영상을 선정하였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재난과 재해의 유형을 자연재난(10종)과 사회재난(27종)으로 분류하였다. 위성영상 활용이 가능한 재난 유형은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한 자연재난에 해당하며 그 중 태풍, 홍수, 가뭄, 산불 등 총 4종의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최적의 위성영상을 분석하였다. 재난관측에 사용 가능한 대표적인 탑재체의 종류는 극궤도 지구관측 위성에서 광학과 SAR로 구분할 수 있다. 각 기본 특성에 따라 제공되는 정보의 종류가 분류되며 광학 센서는 태양복사 및 지구복사에너지 파장 영역 중 가시광선-근적외선-단파적외선-열적외선 파장대 영역의 분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중 밴드들로 구성된다. 지표의 특정 대상이나 물질을 탐지하고 변화를 감지·분석하는데 유용하여 홍수, 태풍, 지진 등 자연 및 사회 재난·재해 관측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SAR 센서는 장파장의 전자기파를 방출한 후 돌아오는 신호를 활용하여 대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대기의 효과 및 요소를 투과하는 주파수 대역별 장파장 밴드 정보를 활용하여 고해상도의 대상 표면, 위치, 형태 등의 정보를 측량 및 관측하므로 중·광역 지역에 제약 없이 영상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 산사태, 홍수, 지진, 등의 재난 모니터링에 유용하다. 이러한 다종 위성별 센서들의 특징(공간 해상도, 파장대별 밴드 특성, 관측폭, 재방문 주기 등)들을 분석하여 재난유형별로 가용한 무료/상용 지구관측위성을 분류한 결과 태풍에는 광역관측, 정지궤도 위성, 홍수에는 광학 및 SAR 고해상도 위성, 가뭄은 광역관측, 다분광 광학 위성 그리고 산불에는 정지궤도, 광학, SAR 위성이 적합함을 알 수 있다.

  • PDF

IRES Support Structure Design in a GEO Multi-Functional Satellite (정지궤도 복합위성의 적외선 지구센서 지지구조물 설계)

  • Park, Jong-Seok;Jeon, Hyung-Yoll;Kim, Chang-Ho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8 no.2
    • /
    • pp.68-74
    • /
    • 2009
  • Infra-red earth sensors(IRES) are accommodated in a geostationary multi-functional satellite, which includes optical payloads for observing the earth, to provide pointing reference for the payloads. Even the slight pointing difference between the IRES and the payloads is so critical from the geostationary orbit that can degrade their imaging performance. Therefore, a dedicated support structure is required to guarantee the stability during the flight operation. This paper shows the design justification for the IRES support structure employed in the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COMS). It intends to give an overall design presentation and to justify that this design is compatible with all the requirements in terms of stiffness and strength as well as the stabil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