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와 달

Search Result 30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역사속으로 - 백신개발의 신호탄, 종두법 창시자 에드워드 제너

  • Choe, Yong-Gyun
    • 건강소식
    • /
    • v.34 no.5
    • /
    • pp.38-39
    • /
    • 2010
  • 에드워드 제너(Edward Jenner, 1749~1823)가 종두법을 발견할 때문 하더라도 천연두는 매우 치명적인 질병이었다. 치사율이 20~40%에 달했으며, 수만년 동안 태양왕 루이 14세를 비롯한 5억 명 이상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갔다. 하지만 제너의 종두법으로 천연두를 서서히 정복해나가 1980년 12월 WHO는 공식적으로 지구상에서 천연두가 완전히 사라졌다는 공식발표를 하기에 이른다. 전염병과의 전쟁에서 인간이 완벽하게 승리한 것이다. 전염병과의 전쟁에서 거둔 첫 승리는 제너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제너의 삶을 뒤돌아보고, 종두법을 창시하기 까지의 도전을 살펴본다.

  • PDF

Flow boil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407C ternary refrigerant mixtures (R-407C 냉매의 흐름비등 열전달 특성)

  • 오종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5
    • /
    • pp.375-388
    • /
    • 1999
  • 1974년 6월 Rowland와 Molina가 CFCs등의 화학물질이 성층권의 오존층을 파괴시킨다는 가설의 발표는 많은 환경론자들의 관심과 함께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이 가설은 1985년 10월 Farman 등의 영국 남극조사팀에 의해 남극상공의 성층권 오존이 1970년대에 비해 약 40% 정도 감소된 것이 확인되면서 지구전체의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었다.

  • PDF

Condensati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410A as an Alternative R-22 in the Condenser with Small Diameter Tubes (세관을 사용한 응축기에서 R-22의 대체냉매인 R-410A의 응축 열전달 특성)

  • Son, Chang-Hyo
    • Clean Technology
    • /
    • v.13 no.2
    • /
    • pp.151-158
    • /
    • 2007
  • An 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condensing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small diameter horizontal double pipe heat exchangers with R-22 and R-410A was performed. Experimental facility was constructed to calculate and observe HTC(heat transfer coefficients), flow patterns and pressure drop. The main components include a liquid pump, an evaporator, a condenser(test section), a sight-glass, pressure taps and measurement apparatus. Two pipes of different diameters are tested; One 5.35 mm ID 0.5 mm thick, the other 3.36 mm ID 0.7 mm thick. The mass flow rate ranged from 200 to $500\;ks/m^2{\cdot}s$ and heating capacity were form 1.0 to 2.4 kW. The flow patterns of R-22 and R-410A were observed with a high speed camera through the sight-glass. The tests revealed that HTC of R-410A was higher than that of R-22 by maximum 5%. Annular pattern was observed for the most cases but stratified flow was also detected when x<0.2. The pressure drop in 3.36 mm ID pipe was higher than that of 5.35 mm by $30{\sim}50%$. Comparing with previous correlations such as Shah, Fujii and Soliman's, Fujii' showed the best good agreement with my data with a maximum deviation of 40%.

  • PDF

Solar motion described in the Richan lili(日躔曆理), the Rìchán bùfǎ(日躔步法) and the Richan biao(日躔表) of the Yōngzhèng reign treatises on Calendrical Astronomy, Lixiang kaocheng houbian(曆象考成後編) (《역상고성후편》의 <일전역리>, <일전보법>, <일전표>에 기록된 태양의 운동)

  • choe, Seung-Urn;Kang, Min-Jeong;Kim, Seulki;Kim, Sukjoo;Suh, Wonmo;Lee, Jinhyon;Lee, Yong Bok;Lee, Myon U;Yang, H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35.5-36
    • /
    • 2021
  • '역상고성'은 '신법산서'에 수록되어 있는 티코브라헤의 역법체계와 그 밖의 천문 내용들을 중국인 천문학자들에 의하여 확실하게 정리를 하였지만 '역상고성'에 따른 추보는 천상과 불일치를 보게 되었다. 藪內淸(야부우치 키요시) 저(1969), 유경로 역(1985)에 의하면 이러한 불일치는 옹정 8년 6월 초 1일의 일식이었는데 예보의 오류를 정정한다는 것을 중국 천문학자들이 감당하기 어려웠다. 퀘글러(Ignatius Kögler, 戴進賢, 1680~1746)와 페레이라(Andreas Pereira, 서무덕(徐懋德), 1690-1743) 등의 선교사 천문학자들이 칙명을 받아 종사하게 되고, 이들이 중심이 되어 '역상고성'보다 더 진보된 서양천문 역법에 기초를 둔 역서가 편찬되게 되었다. '신법산서'와 '역상고성'은 모델에서는 평원(平圓)을 사용하지만 '역상고성후편'에서는 타원(楕圓)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건륭 7년(1742년)에 10권이 완성되어 '역상고성후편'이라 명하였다. 타원모델을 채택하였지만 지동설에 대한 내용은 전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아마도 태양이나 달의 운동을 추보하는데 지구를 중심으로 해야 하기에 이에 대한 언급을 필요치 않았을 수도 있다. '역상고성후편' 은 태양과 달의 운행, 일식과 월식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다.그러나 '역상고성'에서는 청몽기차나 지반경차를 티코브라헤의 표 값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이 값들이 관측과 관련이 되어 있음을 설명하려는 무리를 두고 있다. 너무 정확하게 값들이 관측 값들로부터 유도되어 의심이 갈 정도이다. 카시니(Giovanni Domenico Cassini, 喝西尼, 1625~1712)는 자신의 동료 리셰와 함께 파리와 프랑스령 기아나 카이엔에서 충의 위치에 있는 화성과 부근 별의 고도를 관측하여 충의 위치에 있는 화성의 시차를 측정하여 최초로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어림하고, 태양의 지반 경차를 현재와 값과 거의 비슷하게 얻었다. '역상고성후편'에서는 이 내용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또한 대기에서 입사각과 굴절각 사이에 Snell의 법칙이 성립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모호하게 알았던 청몽기차를 대기의 굴절을 이용하여 현재의 값과 비슷한 값을 얻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모든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정확한 값들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황도-적도 경사각도 정확하게 얻어진다. '역상고성후편'은 옹정원년을 역원으로 하고 있다. 태양의 운행에 있어서 케플러의 타원 궤도를 이용하게 된다. '신법산서'와 '역상고성'에서는 평균근점이각 M을 모델에서 보여 줄 수 있지만 타원 궤도에서는 이 각이 면적각으로 주어지고, 원 대신 타원을 다루기에 쉽지 않다. 현재는 케플러 방정식을 풀어 가감차를 구하게 되는데 이를 기하학적으로 풀이하는 차적구적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면적을 이용하여 타원계각과 타원차각을 구하는 차각구각법도 소개한다. 타원계각과 타원차각을 모두 고려하였기에 현재의 태양의 운동을 기술하는 타원모델과 완벽하게 같다. 다만 사용하는 상수가 아주 조금 다를 분이다. 태양의 경도를 추보하는 방법도 동지점을 기준으로 하고 현재의 방법과 동일하다. 달의 운행도 타원 궤도를 사용한다. '역상고성후편'의 내용은 우리나라의 전해져서 1860년 남병길이 쓴 '시헌기요(時憲紀要)'에는 태양, 달, 일·월식, 오행성의 운동, 항성의 위치, 시간 등을 추보하는데 필요한 내용들이 매뉴얼화 되어 기록되어 있고, 1862년 남병철이 쓴 '추보속해(推步續解)'에도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PDF

The Conceptions of Astronomical Dis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개념 연구)

  • Jeong, Jin-Woo;Han, Sh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7
    • /
    • pp.827-83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variation scale about astronomical distance and its accuracy with distance increased. The astronomical distance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9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n; three teachers were selected to interview about their conceptions. Results showed that many elementary school teachers overestimated the distance from the Earth to the Moon and to the Sun, and dramatically underestimated the distances to the nearest star and to the nearest galaxy. They inferred astronomical distance with the use of both intuitive (psychological) measure and theoretical (calculative) measure. They well recited the terminology such as AU and a light-year, yet they did not show a good understanding of what the terms exactly means. Some teachers thought that the distance to Neptune is farther than the distance from Earth to the nearest star. There was a considerable variability in the participants' estimates of astronomical distanc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tendency to overestimate the distance as it gradually increases to the outer solar system.

Records of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the solar system in rocks and minerals (암석과 광물에 저장된 태양계 탄생과 초기 진화의 기록)

  • Choi, Byeon-Ga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3 no.1
    • /
    • pp.71.2-71.2
    • /
    • 2018
  • 태양계 질량의 대부분은 플라즈마, 기체, 또는 액체 상태로 존재하며, 극히 일부만이 고체 즉 암석과 광물로 존재한다. 하지만, 반응 특히 혼합(mixing)이 일어나는 속도가 매우 느린 고체의 특성상 태양계의 탄생과 진화 과정의 기록은 고체태양계 물질에 더 잘 보관되어 있다. 지구를 제외한 고체 태양계 물질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구로 낙하한 암석인 운석(meteorites)을 발견하거나, 우주로 나가 시료를 가져와야 한다. 아폴로 미션(Apollo mission)에 의한 월석(lunar rocks) 채취(Papike et al., 1998), 하야부사 미션(Hayabusa mission)에 의한 소행성(asteroid) 시료 채취(Nakamura et al., 2011), 스타더스트 미션(Stardust mission)에 의한 혜성 시료 채취(Zolensky et al., 2006) 등이 후자에 속한다. 능동적으로 가져온 시료는 아직까지는 그 종류와 양에서 운석에 비해 매우 부족하므로 현재까지 우리가 알고 있는 고체 태양계에 관한 대부분은 운석 연구를 통해 얻어졌다. 운석은 크게 미분화운석 즉 콘드라이트(chondrites)와 분화운석(differentiated meteorites)으로 구분한다. 분화운석 중 일부는 달운석(lunar meteorites) 또는 화성운석(martian meteorites)이며, 나머지 분화운석과 콘드라이트는 암석-지구화학적 특징과 성인적 연관성에 의해 다양한 그룹으로 세분되는데 각 그룹은 하나의, 또는 둘 이상의 매우 유사한, 소행성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석된다(Krot et al., 2014; 최변각 2009). 다양한 종류의 운석과 구성 광물에 포함된 기록으로는 (1) 태양계 이전 존재한 항성의 대기에서 생성된 광물, 즉 선태양계 광물(presolar grains), (2) 태양계 성운 탄생과 각 진화 단계의 정확한 시기, (3) 태양계 성운의 화학조성-동위원소 조성, 온도-압력 조건 등을 포함한 물리-화학적 특징, (4) 가스-먼지로부터 미행성, 소행성, 행성으로의 진화 과정, (5) 행성 진화의 열원, (6) 소행성 핵의 생성 과정 등이 있다. 강연에서는 이들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운석연구 등을 통해 태양계 생성과 진화과정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축적되었지만, 앞으로 연구할 것들이 더 많다. 또한 태양계 물질 중에는 운석의 형태로 지구로 들어왔거나 앞으로 들어올 수 있는 것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가스나 기체의 경우가 그러할 것이며, 고체지만 결합이 약해 일부라도 원형을 유지한 채 대기권을 통과 할 수 없는 것도 있을 것이다. 또 공전궤도나 중력 등 물리적 이유로 지구권 진입이 불가능한 것도 있다. 이러한 태양계 구성원에는 우리가 아직까지 얻지 못한 정보들이 다량 보존되어 있을 것이다. 미래의 태양계탐사가 기대되는 이유 중 하나이다.

  • PDF

Analysis of Development Requirements on Simulated Ground Test Module for Underwater Residential Facilities (해저거주시설 모사 지상실험모듈 개발 요구사항 분석)

  • Joohee Lee;Younkyu Kim;Jongwon Lee
    • Journal of Spac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 /
    • v.2 no.3
    • /
    • pp.206-220
    • /
    • 2022
  • There are various systems that allow humans to safely maintain their space exploration missions and lives in completely different environments, such as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the Moon (the closest celestial body to Earth), and Mars (the only planet in the solar system for manned mission in the 2030s). Among them, when it comes to maintaining the basic breathing of humans, the human life support air management system is a key device system. Such an air management system can be used not only for space exploration but also for undersea bases and submarines on Earth where humans reside. The air management system basically consists of an oxygen generation system, a carbon dioxide removal system, and a harmful substance removal system. In this paper, in order to develop an air management system that can be used in an underwater residential platform, the development requirements of a ground test module to be used as an experimental facility were analyzed.

Effects of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Using Equivalent Test o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Focused on the 'Earth and Moon' Unit (동형검사를 활용한 진단 및 형성평가가 초등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 Son, Jun Ho;Kim, J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4
    • /
    • pp.619-628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on elementary science classe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the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test and provided them to students before giving them the equivalent and learning achievement tests. The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for the science class that took the diagnostic assessment; the test provided help in improving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Second, for the science class that took the formative assessment; the test did not provide help in improving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and in improving their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y only to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Third, for the science class that were given both the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test; the tests provided help in improving the students' learning achievement. It also helped in improving their openness to learning opportunity, initiative for learning, and passion for learning except in problem-solving skills on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Therefore, I recommend the utilization of the diagnostic and formative assessment tests be provided to students in order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in science classes.

The Effect of Science-centered STEAM Program on Science Positive Experience: Focused on the "Earth and Moon" Unit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과학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 Mun, Juyoung;Shin, Youngjoo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2 no.2
    • /
    • pp.214-22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based STEAM program on the positive scienc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64 fourth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The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group of 30 students and the comparative group of 34 students. The program was reorganized into the STEAM program, which emphasized communication with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4th grade, centered on 'Earth and Moon' unit which were carried out in total 16 time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ing the science-centered STEAM program, and the comparative group was giving the general instruction model based on the instructional book guidelin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science-centered STEAM program showed a further influence on the positive scienc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class using the science-centered STEAM program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students' positive science experience.

Analysis of Features of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TIMSS Science Achievement in Content Domains with Curriculum Change (교육과정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TIMSS 과학 내용영역별 성취 특성 분석)

  • Kwak, Youngs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7 no.4
    • /
    • pp.599-609
    • /
    • 2017
  •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trend of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achievement in TIMSS 2011 and TIMSS 2015 science content domain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improvement. With four elementary science teachers and three science educators, we analyzed Korean fourth grade students' percentage of correct responses in TIMSS 2015 science content and cognitive domains, and conducted item-curriculum matching analysis for test items. According to the results, Korean students performed relatively better in test topics covered in the science curriculum for 3-4 grades regardless of the science content domain (i.e., Life science, Physical science, or Earth science). Korean students showed low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items related to such topics as heat conduction, the action of electricity, the mo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etc., which were covered in the 5th-6th grade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For science cognitive domains, Korean students' achievement dropped significantly in reasoning between TIMSS 2011 and TIMSS 2015.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implications to reconstruct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and ways to improve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