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와 달의 운동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olar motion described in the Richan lili(日躔曆理), the Rìchán bùfǎ(日躔步法) and the Richan biao(日躔表) of the Yōngzhèng reign treatises on Calendrical Astronomy, Lixiang kaocheng houbian(曆象考成後編) (《역상고성후편》의 <일전역리>, <일전보법>, <일전표>에 기록된 태양의 운동)

  • choe, Seung-Urn;Kang, Min-Jeong;Kim, Seulki;Kim, Sukjoo;Suh, Wonmo;Lee, Jinhyon;Lee, Yong Bok;Lee, Myon U;Yang, Hong-Jin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35.5-36
    • /
    • 2021
  • '역상고성'은 '신법산서'에 수록되어 있는 티코브라헤의 역법체계와 그 밖의 천문 내용들을 중국인 천문학자들에 의하여 확실하게 정리를 하였지만 '역상고성'에 따른 추보는 천상과 불일치를 보게 되었다. 藪內淸(야부우치 키요시) 저(1969), 유경로 역(1985)에 의하면 이러한 불일치는 옹정 8년 6월 초 1일의 일식이었는데 예보의 오류를 정정한다는 것을 중국 천문학자들이 감당하기 어려웠다. 퀘글러(Ignatius Kögler, 戴進賢, 1680~1746)와 페레이라(Andreas Pereira, 서무덕(徐懋德), 1690-1743) 등의 선교사 천문학자들이 칙명을 받아 종사하게 되고, 이들이 중심이 되어 '역상고성'보다 더 진보된 서양천문 역법에 기초를 둔 역서가 편찬되게 되었다. '신법산서'와 '역상고성'은 모델에서는 평원(平圓)을 사용하지만 '역상고성후편'에서는 타원(楕圓) 모델을 사용하게 된다. 건륭 7년(1742년)에 10권이 완성되어 '역상고성후편'이라 명하였다. 타원모델을 채택하였지만 지동설에 대한 내용은 전혀 기술되어 있지 않다. 아마도 태양이나 달의 운동을 추보하는데 지구를 중심으로 해야 하기에 이에 대한 언급을 필요치 않았을 수도 있다. '역상고성후편' 은 태양과 달의 운행, 일식과 월식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다.그러나 '역상고성'에서는 청몽기차나 지반경차를 티코브라헤의 표 값을 그대로 사용하였고, 이 값들이 관측과 관련이 되어 있음을 설명하려는 무리를 두고 있다. 너무 정확하게 값들이 관측 값들로부터 유도되어 의심이 갈 정도이다. 카시니(Giovanni Domenico Cassini, 喝西尼, 1625~1712)는 자신의 동료 리셰와 함께 파리와 프랑스령 기아나 카이엔에서 충의 위치에 있는 화성과 부근 별의 고도를 관측하여 충의 위치에 있는 화성의 시차를 측정하여 최초로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를 어림하고, 태양의 지반 경차를 현재와 값과 거의 비슷하게 얻었다. '역상고성후편'에서는 이 내용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또한 대기에서 입사각과 굴절각 사이에 Snell의 법칙이 성립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모호하게 알았던 청몽기차를 대기의 굴절을 이용하여 현재의 값과 비슷한 값을 얻어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모든 천체의 위치를 관측하는데 있어서 매우 정확한 값들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황도-적도 경사각도 정확하게 얻어진다. '역상고성후편'은 옹정원년을 역원으로 하고 있다. 태양의 운행에 있어서 케플러의 타원 궤도를 이용하게 된다. '신법산서'와 '역상고성'에서는 평균근점이각 M을 모델에서 보여 줄 수 있지만 타원 궤도에서는 이 각이 면적각으로 주어지고, 원 대신 타원을 다루기에 쉽지 않다. 현재는 케플러 방정식을 풀어 가감차를 구하게 되는데 이를 기하학적으로 풀이하는 차적구적법을 소개하고 있다. 이와 함께 면적을 이용하여 타원계각과 타원차각을 구하는 차각구각법도 소개한다. 타원계각과 타원차각을 모두 고려하였기에 현재의 태양의 운동을 기술하는 타원모델과 완벽하게 같다. 다만 사용하는 상수가 아주 조금 다를 분이다. 태양의 경도를 추보하는 방법도 동지점을 기준으로 하고 현재의 방법과 동일하다. 달의 운행도 타원 궤도를 사용한다. '역상고성후편'의 내용은 우리나라의 전해져서 1860년 남병길이 쓴 '시헌기요(時憲紀要)'에는 태양, 달, 일·월식, 오행성의 운동, 항성의 위치, 시간 등을 추보하는데 필요한 내용들이 매뉴얼화 되어 기록되어 있고, 1862년 남병철이 쓴 '추보속해(推步續解)'에도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PDF

Analysis of Perceptions of Teachers on Teaching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Sun and Moon during the Day"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분석)

  • Kim, Dong Seok;Kim, Ji Suk;Lee, Gyu Ho;Oh, Phil Seok;Choi, Sun You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41 no.4
    • /
    • pp.627-641
    • /
    • 2022
  • This study aims to help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crease their knowledge about the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sun and moon during the day and the first time the moon observation begins in the Earth and Space section of the Earth and the Moon. The survey questions were grouped into four categories, namely, textbook explanation, inquiry activities, achievement of learning goals, and other opinions. The perception of each question differed according to advanced science majors and teaching careers and experiences of this unit. In addition, understanding the diverse views of the participants using descriptive questions was possible. The study recruited 67 teachers working at an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do.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exhibited similar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about the description of the textbook on the changes in the positions of the sun and moon during the day. Second, the study found that majority of teachers used alternative methods when guiding students regarding the change in the positions. This trend was not correlated with the sun and the moon, and the study observed no difference in advanced majors and teaching careers and experience of this unit. Third, the majority of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could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through this learning. However, many teachers complained of various difficulties in guiding students about the lesson, and the majority alternative methods. The results demonstrated the perception of teachers that students can achieve learning goals through alternative methods without direct observation.

The Effect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on 'The Earth and Moon' Using Small Inquiry Method (소집단 탐구기법을 활용한 '지구와 달의 운동' 단원 수업이 과학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Lee, Yongseob;Kim, Yoo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9 no.1
    • /
    • pp.88-96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igsaw small inquiry method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For this study, two classes of six graders were divided into a research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The classes were pre-tested in order to ensure the same standard. The research group had the science class with Jigsaw small inquiry method, and the comparative group had the class with a teacher centered lectures for 12 classes for 12 weeks. The Jigsaw small inquiry method was focused on the introduction stage, the whole group activities, professional group activities, restart the whole group activities, supplementary structured study guide, results announced, and excellent group rewards. To prove the effects of this study,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as split up based on the attention power, relation, confidence, and sense of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Jigsaw small inquiry method is effective i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econd, Jigsaw small inquiry method is effective in scientific attitudes. Also, Jigsaw small inquiry method was approved by students. Consequently, Jigsaw small inquiry method had the great effects on developing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for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That means the science class with Jigsaw small inquiry method has potential to develop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s.

DEVELOPMENT OF SIMULATION TOOL FOR ORBITAL MOTION OF METEOROID STREAM PARTICLES (METEOROID STREAM 입자들의 궤도 운동 시뮬레이션 TOOL 개발)

  • 김방엽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7 no.1
    • /
    • pp.107-116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the preliminary survey and simulation results of the prediction of Leonid stream's orbital motion. Based on the model survey on eject velocity and perturbation of meteoroid particles, a simul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orbital motion of Leonid stream. The Jones ejection distribution model was used to describe the particle's eject velocity and the orbital dynamic model includes perturbations of major planet's gravity. DE405 ephemeris file generated by Solar System Dynamics Group at Jet Propulsion Laboratory in NASA was used for the planet's ephemeris calculations. Solar radiation pressure were also considered in the simulation and 8th order Runge-Kutta algorithm was used a numerical integration method.

  • PDF

Concepts on Motion of Earth and Moon to Spatial Ability,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Learning Styles (공간능력, 시지각 회상 능력, 학습양식에 따른 지구와 달의 운동 개념)

  • 김봉섭;정진우;양일호;정지숙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17 no.2
    • /
    • pp.103-111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patial ability, learning styles, visual-perception- recall abiltiy, and the conceptual construction of the earth and moon's motion. Four paper-and-pencil tests were used to measure students' cognitive variables. Spatial ability was measured by Spatial Visualization Test,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was measured by Rey's Figure which also have used to test visual- perception-recall ability of right-temporal lobes, and VVT were used to investigate students' learning styles. further, the test of concept construction was consisted of 15 items about the earth and moon's motion developed by researcher One hundred and twenty-seven 6th-, one hundred and sixteen 7th-, eighty-seven 9th-grade, ninety-three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age and learning style on conceptual construction. In the analysis of students' performances, spatial ability, visual-perception-recall ability, and conceptual achievement showed an increasing pattern with grading. In addition, visual learner's conceptual achievemen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conceptual test than verbal learner's(p<0.05).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pported tile hypothesis that learning styles would differently influence to learning atmospheric concepts by students'learning styles. This study also indicated to be considered the students' spatial ability in learning atmospheric concepts.

  • PDF

Tracking of the Moryang Fault and It's Characteristics (모량단층의 분포와 특성)

  • Choi, Sung-Ja;Ryoo, Chung-Ryul;Choi, Jin-Hyuc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4 no.3
    • /
    • pp.389-397
    • /
    • 2021
  • Moryang Fault is geomorphologically observed as a linear fault valley from Angang through Moryang, Duckhyun and Wondong to Gimhae, and contacts with Yangsan Fault, being obliquely away to the east, at Angang disrict. The fault valley appears a V-shape feature with a width from 100 to 300 m, and has fragmental zones of the fault along the valley on a small scale. Nine fault-outcrop localities were found along the nine-kilometers valley between Daehyun-ri, Gyeongju, and Baenaemi-gogae, Yangdong-ri, Ulsan. The fault strikes the North-North-East to the Northeast and dips to the Northwest with high angles, and reveals it had been undergone predominantly sinistral reverse fault movement sense, left-lateral and right-lateral strike-slip sense in bedrocks. However, after unconsolidated sediments, there was the top-up-to-the-east dextral reverse fault movement.

이원 추력기의 성능 모델링 연구

  • Ham, Mi-Suk;Kim, Yoo;Park, Eung-Sik;Park, Bo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a
    • /
    • pp.82-83
    • /
    • 2002
  • 궤도상에 올려진 위성들은 인형의 궤도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러나 지구가 완전한 구형이 아니고 태양과 달의 인력이 작용하여 위성에 섭동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무중력 상태의 우주이므로 태양풍이나 미세 운석 그리고 위성체 내부의 가스 누출이나 내부의 토크 변화에 의해 위성 자세에 조금의 변동을 야기한다. 통신 위성의 경우 지상의 한 지점을 계속 향하고 있어야 하므로 정기적인 자세제어가 필요하다. 위성의 섭동에 의해 EWSK(East-West station keeping)나 NSSK(North-South station keeping)를 하기 위해 추력 모델은 단일 $\Delta$$\upsilon$기동이나 회전 세차 운동(spin precession maneuver)을 지원해야 한다. 위성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Delta$$\upsilon$기동을 위해 적절한 성능의 추력기와 임무기간 동안 사용할 적절한 양의 추진제를 탑재하고 있다. 지상에서 필요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위성에 지령을 하였을 때, 추력기가 정상작동을 하였는지 그리고 잔류 추진제가 어느 정도 인지를 정확히 알 수 있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Concept by e-Learning (e-Learning을 이용한 행성의 운동 개념변화에 대한 연구)

  • Kang, Gye Suk;Kim, Eui 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602-605
    • /
    • 2009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unscientific concepts shared by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planet movement; produce a learning program to address these concepts; and investigate what impact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planet observation and classroom lessons may have on their grasp of planet movement and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at large. Application of the lear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to teaching and learning courses led to the discovery that the program is a useful tool to enhance students' understanding of planet mov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variety of programs including planet movement activities that may keep students interested in science should be continued. The above study results may be utilized in geo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better learning programs and stud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regarding not only planet movement but also other spheres.

  • PDF

Preliminary Study on Interplanetary Trajectory Design using Invariant Manifolds of the Circular Restricted Three Body Problem (원형 제한 3체 문제의 불변위상공간을 이용한 행성간 궤적설계 기초 연구)

  • Jung, Okchul;Ahn, Sangil;Chung, Daewon;Kim, Eunkyou;Bang, Hyocho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8
    • /
    • pp.692-698
    • /
    • 2015
  • This paper represents a trajectory design and analysis technique which uses invariant manifolds of the circular restricted three body problem. Instead of the classical patched conic method based on 2-body problem, the equation of motion and dynamical behavior of spacecraft in the circular restricted 3-body problem are introduc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Lyapunov orbits near libration points and their invariant manifolds are covered in this paper. The trajectories from/to Lyapunov orbits are numerically generated with invariant manifolds in the Earth-moon system. The trajectories in the Sun-Jupiter system are also analyzed with various initial conditions in the boundary surface. These methods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interplanetary trajectory designs.

달을 이용한 천리안위성 기상영상기 노화 경향 분석

  • Kim, Jae-Gwan;Lee, Byeong-Il;Kim, Yong-Seok;Son, Seung-Hu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1.2-211.2
    • /
    • 2012
  • 천리안위성은 통신, 해양, 기상 임무를 띤 우리나라 최초의 정지궤도복합위성으로 지난 2010년 6월 27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후 동경 128.2도, 적도 상공 약 35,800 km 고도의 정지궤도에 안착되었다. 이 후 약 6개월 여의 궤도상시험 기간과 2개월의 안정화 기간을 거쳐 2011년 4월 1일, 기상청은 위성자료 서비스를 위한 정규운영을 시작하였다. 천리안위성의 기상탑재체인 기상영상기는 다중채널 복사계로 한반도 주변뿐만 아니라 전 지구적 기후 변화 및 대기 운동 그리고 급변하는 기상상황을 감시하기 위해 실시간 관측과 전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 기상영상기를 운용하는 기상청 국가기상위성센터 지상국에서는 자료수신 및 영상전처리시스템을 갖추고 수신된 위성신호로부터 영상 분리 후 복사보정 및 기하보정을 수행하며, 위성자료배포시스템을 통해 일정 시간 간격 내에 사용자들에게 처리 자료를 배포하고 있다. 영상 복사보정은 기상영상기 내의 각 채널별 디텍터가 감지한 지구복사휘도의 전기적 신호를 지상에서 복사휘도와 휘도온도 값으로 변환하는 작업이다. 절대검정체로서 흑체와 우주보기 값을 이용하는 적외채널과 달리, 가시채널 디텍터는 절대검정체가 탑재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우주보기 값 외에 대리검정 방법을 이용한다. 이러한 가시채널 노화도 분석에 달 관측을 통한 비교 분석이 한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천리안위성 기상영상기의 정규운영 1년간의 가시채널 디텍터의 노화도는 6 % 이내로 측정되었고, 이는 일반적인 정지궤도위성 센서의 노화도인 6 % 내외 값 변화량에 견주어 잘 운용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논문에는 천리안위성 기상영상자료의 품질 및 매개변수의 변화 경향도 함께 제시하였으며, 달을 이용한 기상영상기 노화 분석과 보정에 관한 내용을 싣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