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과학 핵심개념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Situating the Anthropocene: The Social Construction of the Pohang 'Triggered' Earthquake (인류세 맥락화하기: 포항 '촉발지진'의 사회적 구성)

  • KIM, Kiheung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9 no.3
    • /
    • pp.51-117
    • /
    • 2019
  • On 15th November 2017, the coastal city of Pohang, located in the Southeastern part of South Korea was shaken by a magnitude 5.4 earthquake. The earthquake displaced more than 1,700 residents and caused more than $ 300 million dollars of economic loss. It was the second most damaging earthquake in the history of Korea. Soon after the earthquake, a group of scientists raised a possible link between the first Enhanced Geothermal System (EGS) project and the earthquake. At the same time, another group of scientists put forward a different hypothesis of the causation of the earthquake claiming that it was caused by the geological movements that were initiated by the Great Tohoku Earthquake in 2011. Since then, there were scientific debates between the two different groups of scientists. The scientific debate on the causation of the earthquake has been concluded temporarily by the Research Investigatory Committee on the Pohang Earthquake in 2019. The research committee concluded that the earthquake was caused by the Pohang EGS system: this means that the earthquake can be defined not as a natural earthquake, but as an artificially triggered earthquake.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ohang earthquake can be defined as an Anthropocenic event. The newly suggested concept, the Anthropocene is a relatively novel term to classify the earthly strata and their relationship to geological time. The current geological period should be defined by human activities and man-made earthly environment. Although the term is basically related to geological classification, the Anthropocene has been widely debated amongst humanist and social science scholars. The current disastrous situation of our planet also implies with the Anthropocene. This paper is to discuss how to understand anthropogenic events. In particular,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wo different scholarly positions on the Anthropocene: Isabelle Stenger's Gaia theory and Barbara Herrnstein Smith's relativist theory. The former focuses on the earthly inevitable catastrophe of Anthropocene while the latter suggests to situate and contextualise anthropogenic event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positions, the article is to analyse how the Pohang earthquake can be located and situat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astronomy and the role of astronomer

  • Lee, Yong B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2 no.2
    • /
    • pp.37.3-38
    • /
    • 2017
  • 우리나라의 천문 관측의 기록의 역사는 삼국시대 이전 선사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선사시대에는 천문 현상을 바위나 건축 유물에 기록을 남기고 역사를 기록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일반 역사 기록 속에 항상 함께 기록하고 있다. 특히 동양은 역사기록 자체가 인간이 남긴 자취뿐만 아니라 하늘과 땅에 일어나는 다양한 자연 현상도 함께 동시에 남겼다. 고대로부터 인간은 하늘과 땅과 항상 유기적인 관계를 갖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정사로서 가장 오래된 역사 기록인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일식, 혜성 출현, 별똥과 유성우, 달과 행성 운행, 초신성 관측 등 250회 이상의 천문 기록이 나타나며 대부분 실제로 일어났던 사실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다. 그 후 고려사와 조선왕조실록에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천문 기록을 남기고 있다. 이러한 천문 기록뿐만 아니라 일찍부터 중국으로부터 역법을 도입하여 천체 운행을 이용하여 우리 생활에 필요한 시각법을 사용하고 달력을 제작하였다. 특히 달과 태양의 운행 원리를 파악하여 일식과 월식을 직접 추산하였다. 역법의 운용은 천체 운행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을 발전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천문 관측과 정확한 시각 체계를 유지하고 정밀한 역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천체를 정밀하게 관측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천문 관측기기를 개발하고 제작하였다. 천문 의기는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고 천체의 운행을 이용하여 시각 체계를 유지 관리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기기이다. 우리나라 천문학 발달의 네 가지 축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등은 조선 초기 세종시대 완성을 보게 되었다. 이는 단일 왕조가 이룬 업적으로 다른 문화권에서 볼 수 없을 정도의 우수한 과학 기술의 유산이다. 특히 칠정산내편과 외편의 완성은 중국의 역법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역법을 완성하려는 시도였다. 이 모든 것은 당시 이를 주도하던 세종대왕의 지도력과 천문학과 수학에 뛰어난 천문학자가 이룩한 업적이다. 그 후 조선 중기로 접어들면서 쇠퇴하다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거의 모든 과학기술의 유산이 파괴되거나 유실되었다. 조선 현종 이후에 세종시대의 유산을 복원하려는 노력 중에 중국을 통하여 서양의 천문학을 도입하게 되었다. 중국에 들어와 있던 서양 선교사들이 주도하여 중국의 역법 체계를 바꾸었다. 즉, 일식과 월식의 예측력이 뛰어난 시헌력을 만들어 사용하기 시작했다. 시헌력에는 서양의 대수학과 기하학을 이용한 다양한 수학적 기법이 사용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 시헌력을 익히기 위한 노력을 하는 과정에서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을 접하게 되고 새로운 우주 체계를 도입하게 되었다. 특히 서양의 천문도와 지도 제작에 기하학의 투사법이 사용되어 복잡한 대수학적 계산을 단순화시켜 활용하였다. 조선 후기에 전문 수학자뿐만 아니라 많은 유학자들도 서양의 수학과 기하학에 깊은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다. 고천문학 전체를 조망해 볼 때 핵심은 현대의 천체물리학이 아니라 위치천문학이다. 따라서 고천문학을 연구하는데 필수적인 요소가 지구의 자전과 공전 운동에 의해서 일어나는 현상과 세차운동에 의한 효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그중에서도 구면천문학과 천체역학에 대한 원리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접근해야 한다. 고천문학의 중심인 천문(天文), 역법(曆法), 의상(儀象), 구루(晷漏) 등의 내용은 이러한 위치천문학이 그 기본 골격을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고려사의 천문 현상을 모아 놓은 천문지(天文志)와 일식과 월식 계산 원리가 들어있는 역지(曆志)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위치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는 연구하는데 한계가 있다. 인문학을 전공하는 학자가 고천문을 연구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점이 위치 천문학의 기본 개념 없이 접근하는 것이다. 심지어 조선시대 유학자들조차 저술한 많은 천문 관련 기록을 보면 상당부분 천체 운행 원리를 모르고 혼란스럽게 기록된 내용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 수학사를 연구할 경우 방정식 해법, 보간법, 삼각법, 일반 기하 원리에 대한 것을 연구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천문 현상이나 천문 의기 제작에 사용되는 수학은 천문 현상에 대한 원리를 모르면 접근하기 어렵게 된다. 수학사를 하더라고 기본적인 위치 천문학의 기본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폭 넓은 수학사 연구에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의외로 천문 현상 추산을 위해 사용되는 수학이나 기하학 원리가 수학사 연구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더구나 한문으로 기록된 천문 내용을 한문 해독이 능숙한 학자라 하더라도 내용을 모르고 번역하면 도무지 무슨 내용인지 알아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한문으로 된 천문 현상 기록이나 역법 관련 기록의 번역 내용 중에 많은 오역을 발견하게 된다. 문제는 한번 오역을 해 놓으면 몇 십 년이고 그대로 그 내용을 무비판적으로 인용하게 되고 사실로서 인정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우리 선조들이 남긴 고천문 관련 기록에 관한 이해는 우리 현대 천문학자의 역할이 대단히 크다.

  • PDF

Constructing a Conceptual Framework of Smart Ageing Bridging Sustainability and Demographic Transformation (인구감소 시대와 초고령 사회의 지속가능한 삶으로서 스마트 에이징의 개념과 모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Hyunjeong Lee;JungHo Park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14 no.4
    • /
    • pp.1-16
    • /
    • 2023
  • As population ageing and shrinking accompanied by dramatically expanded individual life expectancy and declining fertility rate is a global phenomenon, ageing becomes its broader perspective of ageing well embedded into sustained health and well-being, and als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peeds up a more robust and inclusive view of smart ageing. While the latest paradigm of SA has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in the midst of sharply surging demand for health and social services and rapidly declining labor force, the definition has been widely and constantly discussed. This research is to constitute a conceptual framework of smart ageing (SA)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he use of a series of secondary data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GIS), and to explore its compone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A is considered to be an innovative approach to ensuring quality of life and protecting dignity, and identifies its constituents. Indeed, the construct of SA elaborates the multidimensional nature of independent living, encompassing three spheres - Aging in Place (AP), Well Aging (WA), and Active Ageing (AA). AP aims at maintaining independence and autonomy, entails safety, comfort, familiarity and emotional attachment, and it values social supports and services. WA assures physical, psycho-social and economic domains of well-being, and it concerns subjective happiness. AA focuses on both social engagement and economic participation. Moreover, the three constructs of SA are underpinned by specific elements (right to housing, income adequacy, health security, social care, and civic engagement) which are interrelated and interconnected.

STS and the Innovation of Sociology: Focusing on Actor-Network Theory (STS(과학기술학)와 사회학의 혁신: 행위자-연결망이론(ANT)을 중심으로)

  • Kim Hwan-Suk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 no.1 s.1
    • /
    • pp.201-234
    • /
    • 2001
  • Sociology(or social science in general) is often diagnosed as in the state of 'crisis' after the collapse of socialism and the erosion of national societies because of rapid globalization. This paper introduces some recent work within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STS) and discusses its potentials to reinvigorate sociology. Although sociologists have rarely regarded STS as contributing to 'mainstream' issues in sociology, an increasing number of STS writers and sociologists have recently started to notice such possibilities. One main reason of this recent change is that STS is no longer merely concerned to convey substantive findings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but instead attempts to reconstruct key notions of sociology such as 'social', 'society' and 'agency'. It is in this respect that the discussion below aims to introduce, discuss, and assess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some recent work of STS to sociology. In particular, it is 'actor-network theory'(ANT) that explicitly attempts to examine and suggest the ways in which STS ran help innovate sociology. One major characteristics of ANT is to impute 'agency' to things(nonhumans) unlike traditional sociology. ANT argues that if sociology studies heterogeneous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stead of human relations only, it can become once again a vigorous discipline which is able to provide alternative worlds central to the basis of sociology. So this paper focuses on, not the diverse approaches of STS, the characteristics of ANT and its potential contribution to sociology. The author concludes that ANT can not only rejuvenate sociology by implicating new forms of alternative worlds but also open the possibility to contribute to the democratic reformulation of human-nonhuman relationshi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