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각자

Search Result 91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Intention to Use Personal Cloud Services: Focusing on Value Comparison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 의도 연구: 가치 비교를 중심으로)

  • Kyunghoi Min;Chanhee Kwak;HanByeol Stella Choi;Heeseok Lee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2 no.2
    • /
    • pp.1-24
    • /
    • 2020
  • Cloud computing technology is expanding its services to individual consumers through storage and application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redisposing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ived value and the intention to use between users who have used or experienced services and those who have never experienced services from the perspective of benefit and sacrifice based on the value-based acceptance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crifice factor (perceived cos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ntion to use, but showed a difference in perceived benefit. Perceived usefulness, ubiquity, and network effects had significant impact for experienced users' perceived value, but for inexperienced users, ubiquity did not have significant impact. In addition, usefulness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experienced users while network effect was the same for inexperienced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nsumers' intention to use personal cloud service is evaluated as a benefit and sacrifice point and a new attempt to re-examine the role of previous experience.

Induction of Expension and Shrinkage in Spatial Location Using Double-Step Paradigm (이중도약과제를 사용한 공간의 확장감과 축소감 연구)

  • 김경한;이춘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83-188
    • /
    • 1997
  • 안구의 운동은 시각 환경에서의 진행중인 정보처리와 관련된 지각적, 인지적 과정을 밀접히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특히 공간 지각과의 상관은 비교적 명확히 확립되어 있다. 본 연구는 공간지각에 관여하는 안구운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공간지각을 반영하는 안구운동 지표를 개발한다는 목표 아래, 피험자가 느끼는 공간의 확장과 축소의 특성을 이중도약과제(double-step paraeigm)를 사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이중도약과제는 도약(saccadic)안구운동의 오차를 유발시키는 실험기법으로, 두개의 시각자극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보여주되, 두번째 자극은 안구운동이 일어나는 도중에 제시하는 것으로서, 인위적으로 왜곡된 공간에 대한 피험자의 공간적응을 관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 과제는 다시 자극의 이차도약 방향에 따라 축소감 조건과 확장감 조건으로 나뉘었고, 머리운동의 역할을 판별하기 위해 머리를 고정한 조건과 머리를 자유롭게한 조건으로 분류되었다. 그 결과 머리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축소감 조건에 대한 적응이 확장감 조건에서보다 더 빨리 일어나고, 그 적응후의 시선이동의 변화량에서도 축소감 조건이 더 크게 나타났다. 또한 머리를 자유롭게 할 공간 지각의 정확성이 증가하며, 축소감과 확장감 경험속도의 차이가 약 49.2%까지 해소되었으나, 여전히 축소감의 경험이 더 잘 일어났다.

  • PDF

Exam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Supports for Regulation Toward Girl Groups' Suggestiv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Third-person Effect (걸그룹의 선정적 퍼포먼스 규제 태도 영향 요인에 대한 고찰: 제 3자 효과를 중심으로)

  • Lee, Sungj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137-150
    • /
    • 2014
  • This study has two major purposes. First, this research empirically tests whether there are the impacts of the third-person effects on individuals' perceptions of the girl groups' suggestive performance.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ptual biased toward the influences of the girl groups's suggestive performances and the supports for regul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investigated individuals' perception of different degrees to which the suggestive performance has influences on three dissimilar groups including 'the self', 'colleagues' and 'the others' and how they affect supports for regulation. An online survey was administrated on 305 people who have watched the girl groups' lasciviousness performance for data gather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multiple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the effect of suggestive performance on three groups including 'the self', 'colleagues' and 'the others'.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lasciviousness performance on 'the others' is one of the strongest predictors for the supports for regulation.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also discussed.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Learner Flow in e-Learning Community (전자교육공동체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용이성이 학습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Kim, Sung-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1 no.6 s.44
    • /
    • pp.87-97
    • /
    • 2006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on learner flow in e-learning communit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a potential model and five hypotheses were suggested.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among 62 members of one e-learning community for preparatory teacher Cronbach alpha of the questionnaire was.88.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ree hypotheses were adopted: Perceived usefulness will affect on attitudinal flow, Perceived ease of use will affect on attitudinal flow. and Attitudinal flow will affect on behavioral flow. Two hypotheses were rejected;. Perceived usefulness will affect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ase of use will affect on behavioral flow. The model revised through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had good-fitness. That is. overall fit measures (RMSEA, CFI. NNFI). indexes that show the suitability of the model were quite good.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e important strategies for designing e-learning community in order to promote learner flow.

  • PDF

Learning acoustic cue weights for Korean stops through L2 perception training (지각 훈련을 통한 한국어 폐쇄음 음향 신호 가중치의 L2 학습)

  • Oh, Eunjin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3 no.4
    • /
    • pp.9-21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Korean learners improve acoustic cue weights to identify Korean lenis and aspirated stops in the direction of native values through perception training that focused on contrasting the stops in various phonetic contexts. Nineteen native Chinese learners of Korean and two native Korean instructors for the perception training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 training group and a non-training group were divided according to pretest results, and only the training group participated in the training for 5 days. To estimate the perceptual weights of the stop cues, a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with stimuli whose stop cues (F0 and VOT) were systematically manipulate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each learner's test results to calculate perceptual β coefficients, which estimate the perceptual weights of the acoustic cues used in identifying the stop contrast. The training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of 0.451 on average in the posttest for the coefficient values of the F0, which is the primary cue for the stop contrast, whereas the non-training group showed an insignificant increase of 0.246. The patterns of change in the F0 use after training varied considerably among individual learners.

Adolescent-Mother Discrepancies in Perceptions of Patenting And Adolescent Adjustment (자녀 양육 방식에 대한 청소년과 어머니의 지각 차이와 청소년의 적응)

  • Joo, Chyung-Yun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0 no.9
    • /
    • pp.109-125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자녀 양육 행동에 대한 청소년과 어머니간의 지각 차이와 청소년의 적응을 연관시켜 고찰하였다. 자료 수집은 질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참여자들은 미국 동부 소도시에 거주하는 82명의 9 학년 남녀 학생과 어머니들이었다. 자료 분석 결과, 평균적으로는 어머니들이 청소년 자녀들보다 자신의 자녀 양육 행동을 더 긍정적으로 지각했다. 청소년의 적응을 어머니와의 지각 차이에 따라 살펴 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 행동을 어머니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어머니 보다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청소년 보다 문제 행동을 하는 경향이 낮았으며, 자신감은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어머니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그렇지 못한 청소년들에 비해 어머니와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청소년과 어머니간의 지각 차이가 측정 상의 문제만이 아닌 청소년 발달과 연관 있는 요인임을 지적한다. 그리고, 지각 차이를 연구할 때는 그 차이의 크기 뿐 아니라 청소년과 어머니 중 어느 편의 지각이 더 부정적인지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Utilitarian and Hedonic Gift Attributes among American Consumers

  • Kim, Eun-Young;Kim, Young-Kyung;Kim, Yeon-Sook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20 no.4
    • /
    • pp.127-133
    • /
    • 2002
  • 본 연구는 두 가지 선물상황(생일, 크리스마스)과 선물수용자(가족, 친구)에서 성별에 따라 선물 속성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질문지를 이용하여 미국 남녀 비자 97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으며, 자료분석을 위해 MANOVA(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ble)를 실행하였다. 분석결과, 가족과 친구를 위한 생일선물상황에서 성에 따라 쾌락적 속성(독특한, 유행하는, 재미있는)의 중요성 지각에 차이를 보여 여성이 남성보다 선물의 쾌락적 속성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였다. 또한 가족과 친구를 위한 크리스마스 선물상황에서도 성별에 따라 쾌락적 속성에 차이를 보여 여성이 남성보다 가족을 위한 선물로써 독특한, 유행하는 속성을 더 중요하게 지각하고, 친구를 위한 선물은 독특한, 재미있는 속성이 더 중요하게 지각되었다. 그러나 실용적 속성(내구성있는, 실용적인, 비싸지 않은)에서는 두 가지 상황의 가족과 친구를 위한 선물지각에 대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소비자들은 선물구매상황에서 일반제품과 달리 쾌락적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성별에 따라 선물 상황과 수용자에 대한 선물의 쾌락적 속성지각에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성별에 따른 차별화된 선물상품개발 및 이미지 포지셔닝 전략을 통해 효과적 마케팅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