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된 소비자 효과성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2초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자기결정성 심리 욕구와 지각된 영향력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mer Self-Determination Psychological Needs and Perceived Influence for Fair Trade Products)

  • 옥정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283-297
    • /
    • 2018
  • 본 연구는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태도와 행위의 갭에 대한 보다 근원적이고 설명적인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지각된 시장영향력(PMI: Perceived Market Influence: 개인의 행동이 시장 내 다른 소비자들의 행동에게 미칠 영향을 인지하고 결과적으로 스스로 공정무역 관련 소비 행동을 하게 만드는 동기가 되는 신념)에 주목하고 이를 공정무역 관련 소비자의 인식 구조에 탐색적으로 적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지각된 자기결정성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련성)와 해당 소비자가 지각하는 영향력(개인영향력, 시장영향력)의 관계검증을 통하여 공정무역제품의 자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의 결과, 자기결정성과 관련된 주요 심리적 욕구 중 유능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과 소비자의 지각된 영향력 관계가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지각된 영향력 간에도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지각된 영향력과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자산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윤리적 소비의 일환인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행동 사이의 갭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아울러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윤리적 제품', 이름만으로 충분한가? 브랜드 명성과 지각된 윤리성의 정도가 소비자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Is it Enough to Have an 'Ethical Product' Label?: the Effects of Brand Reputation and Perceived Ethicality on Ethical Consumers' Choice)

  • 이청림;차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27-541
    • /
    • 2020
  • 윤리적 제품과 기업에 대한 소비자의 호의적인 태도, 윤리적 소비자의 증가는 최근 전 세계적인 흐름이다. 그럼에도, 윤리적 제품에 대한 호의가 반드시 구매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연구들 또한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사실에 주목하여, 윤리적 제품의 어떠한 특성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이 구매행동으로 연결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3개의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같은 윤리적 제품이라 할지라도 소비자가 지각한 윤리성의 정도가 높아야 소비자의 선택 가능성이 높아졌으며. 이러한 경향은 친환경 제품과 기부형 제품을 막론하고 확인되었다. 이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진정성(authenticity)'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으로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지각할만한 윤리성의 차이가 없다면, 윤리적 소비자들은 브랜드명성을 구매의사결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별로 윤리성의 정도가 차이가 나는 제품이 아니라면, 결국 윤리적 소비에 있어서도 브랜드명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시사해준다. 셋째, 윤리적 제품의 소비는 소비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점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이타성과 과시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으나, 이러한 개인 특성의 여부와 상관없이 브랜드명성과 지각된 윤리성이 매우 큰 영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는 달리, 이타적 성향의 소비자들에게서 언더독 효과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몇 가지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가 소비자의 과잉혼란 지각에 미치는 영향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Study on Perceived Overload Confusion due to Modular Product's Option Size)

  • 김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275-284
    • /
    • 2017
  • 다양한 선택사항이 있는 모듈형 제품은 제품 구조나 배열 변경의 용이성을 장점으로 소비자들의 제품선택 폭을 확대해주고 맞춤형 제품의 구매기회를 제공해 준다. 또한 생산자로서의 소비자 역할을 수행케 함으로써 구매 후 부조화 감소와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이용만족도도 높여 준다. 하지만 과도한 모듈화 또는 선택사항의 증가는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과정에서 정보량 과다에 따른 소비자의 과잉혼란을 유발하여 구매결정의 연기 및 포기하는 부정적 결과를 유발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택 사항 즉 옵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과잉혼란의 지각 정도가 소비자들의 심리적 성향인 조절초점, 제품친숙도, 자기효능감 등에 의해 어떤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모듈형 제품의 옵션 수에 따른 과잉혼란 지각정도가 이들 세 가지 변수의 영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3가지 조절효과 가설을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실험 결과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향상초점 소비자에 비해 예방초점 소비자가 옵션 수 확장에 따른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친숙도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검증에서는 이들 두 변수 모두 그 정도가 낮은 그룹이 높은 그룹에 비해 옵션 수 확장에 따라 과잉혼란을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리닝과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 매개효과 검증 (Untangling the Way Smartphone-based Multiscreening Influences Attitude toward Mobile Video Advertising)

  • 이기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76-185
    • /
    • 2020
  • 본 연구는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리닝(multiscreening)이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관련 작용기제를 탐색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작용기제의 탐색을 위해서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에 미치는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링의 영향력이 소비자의 지각된 광고정보성과 광고침입성에 의해 매개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온라인 설문(n=155) 결과는 스마트폰 기반 멀티스크리닝이 모바일 비디오 광고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두 변인의 관계성은 모바일 비디오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정보성 인식을 통해 부분매개(partial mediation)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상과 달리 지각된 침입성의 매개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가상시장에서의 소비자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ustomer Satisfaction on Repurchasing Intentions in Cyber Market :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Product Involvement)

  • 배병렬;김종채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3권1호
    • /
    • pp.30-47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상시장에서 인터넷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재구매의도를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인터넷쇼핑몰을 통해 제품을 재구매하기 위해서는 이전 구매경험의 만족이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쇼핑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쇼핑몰의 구조적 특성(심미성, 이용편리성), 제품특성(품질, 가격), 그리고 서비스 특성(확신성, 신뢰성, 반응성) 등을 포함하였다. 이들 요인이 쇼핑만족에 영향을 주고, 만족이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줄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이들 만족과 재구매의도간의 관계는 지각된 위험 및 제품관여에 따라 조절역할을 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러한 가설들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모델을 실시하였고, 조절변인들의 조절효과는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연구가설들은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즉 쇼핑몰의 구조적 특성, 제품특성 및 서비스 특성은 쇼핑만족에 영향을 주며, 이러한 쇼핑만족은 소비자의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과 재구매의도간의 관계는 지각된 위험과 관여수준에 따라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인터넷전문은행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있어서 지각된 위험의 영향력 : 수용요인의 조절효과 분석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of Internet Primary Banks : Moderating Effects of Acceptance Factors)

  • 정주원;조소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8호
    • /
    • pp.133-14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전문은행에 대한 지각된 위험이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각된 위험과 지속적 이용의도의 관계에서 수용적 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인터넷전문은행의 지속적 이용의도를 높이기 위한 지각된 위험의 대처방안과 수용요인의 전략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터넷전문은행 이용경험이 있는 20-50대 소비자 457명을 대상으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수용요인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터넷전문은행이용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 수용요인과 지속적 이용의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지각된 재무적, 기능적 위험은 인터넷전문은행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용성은 보안적 위험과 지속적 이용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편리성은 모든 지각된 위험과 지속적 이용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인터넷전문은행의 안정적 정착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재무적·기능적 위험을 완화하고 인터넷전문은행의 유용성과 편리성에 대한 확대가 이루어져야 한다.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컬래버레이션 제품반응에 대한 브랜드 신뢰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Brand Trust on Consumers' Perceived Value and Collaboration Product Response)

  • 성정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255-260
    • /
    • 2021
  • 기업 간의 비교 우위를 판단하고 공유하여 상호 보완하고자 하는 컬래버레이션이 요즘은 동종 업계뿐 아니라 이종업계 간에 일상적이지 않은 새롭고 이색적인 컬래버레이션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즐거움과 재미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증대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색적인 컬래버레이션이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이끌 수는 없으며 오히려 모든 기업들이 컬래버레이션을 하다보면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반응이 항상 긍정적일 수는 없기 때문에 소비자의 이해를 기반으로 소비가치와 브랜드 신뢰성을 통해 컬래버레이션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한 소비자반응을 탐색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 신뢰성이 컬래버레이션을 구매하고자 하려는 의도와 제품태도에 브랜드 신뢰성이 매개 역할을 하였다. 본 연구는 소비가치와 브랜드 간의 협업제품에 대한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입장에서는 소비자의 이해를 기반으로 이색적인 컬래버레이션 전략을 통한 브랜드 관리와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캐릭터의 특성이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pokes-Character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Quality and Brand Attitude)

  • 선민재;김준석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5-26
    • /
    • 2020
  • 많은 기업들이 브랜드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캐릭터의 활용을 늘리고 있다. 그러나 산업계에서의 캐릭터 사용은 활발한 데 비해 학계에서의 캐릭터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캐릭터의 특성들이 소비자의 브랜드 태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여 기업들이 캐릭터를 직접 디자인하거나 라이선싱 할 때 캐릭터 브랜딩 전략에 대한 유의한 방향을 제시해주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비자와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캐릭터의 특성(신뢰성, 역동성, 친숙성, 매력성, 유사성, 전문성, 향수성, 자아일치성, 동질성)이 지각된 품질과 브랜드 태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으며 회귀분석, PROCESS 매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소비자의 태도 검증을 위한 매개변수는 지각된 품질을 측정하였고, 종속변수는 브랜드 태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캐릭터는 카카오 프렌즈의 '라이언', 라인프렌즈의 '브라운', 텐센트의 'QQ팽귄', 디즈니의 '미키 마우스', 산리오의 '헬로키티', 롯데월드의 '로티'이다. 연구결과 캐릭터의 9가지 특성들은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캐릭터의 특성은 신뢰성이었으며 가장 적은 영향을 주는 것은 향수성이었다. 지각된 품질은 캐릭터의 특성이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칠 때 매개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캐릭터의 특성이 친숙성일 때 지각된 품질의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캐릭터를 직접 디자인하거나 라이선싱하려는 기업들이 캐릭터의 신뢰성과 친숙성을 중요한 요소로 활용해 브랜딩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유튜브 인플루언서 마케팅: 사회적 거리, 지각된 진정성 및 광고태도의 관계에서 제품-인플루언서 일치성의 역할 (Influencer Marketing: The Role of Product-Influencer Congruence between Social Distance, Perceived Authenticity and Attitude toward Ads)

  • 최건;양병화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27-35
    • /
    • 2022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 마케팅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유튜브 인플루언서에 대한 지각된 사회적 거리, 진정성 및 광고태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지각된 진정성은 인플루언서의 활동에 중요한 요소로서 협찬광고의 노출에 따른 소비자의 태도에 영향을 줄 것이며, 특히 지각된 진정성의 효과는 제품과 인플루언서 활동 간의 일치성에 의해 조건부 간접효과를 보일 것으로 가정되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36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무응답 및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340명의 데이터를 타당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플루언서와의 사회적 거리는 지각된 진정성과 광고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고, 지각된 진정성은 광고태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각된 진정성은 사회적 거리와 광고태도의 관계성을 부분매개하는 효과를 보였고, 이러한 매개효과는 낮은 수준의 제품-인플루언서 일치성에서 나타나는 반면 높은 수준의 일치성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인플루언서 마케팅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화장품 품질, 소비자 선호, 조언 및 권유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지각된 행동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Relationship of Cosmetic Quality, Consumer's Preference, Advice & inducement on Purchasing Behavior-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 배혜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250-257
    • /
    • 2021
  • 저자는 AMOS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해서, 독립변수인 화장품 관련 변수, 소비자 선호 변수, 조언 및 권유 변수와 종속변수인 구매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행동통제라는 변수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고자 하였다. 잠재변수들 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화장품품질 관련요인(CQ)들과 구매행동(PB) 간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행동통제(PBC)는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는 화장품 품질이 좋고, 지각된 행정통제가 클수록 구매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화장품 품질 개선에 힘쓰는 한편, 구매행동의 자율성이라고 할 수 있는 지각된 행동통제를 늘릴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