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가

Search Result 179,072, Processing Time 0.109 seconds

A study of standard land selection in public land price based upon spatial statical analysis of land price (지가의 공간분포 분석을 통한 공시지가 표준지 선정에 관한 연구)

  • 정상훈;황철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23-528
    • /
    • 2003
  • 본 연구는 지가의 공간분포 분석(spatial data analysis)을 통하여 합리적인 표준지 선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개별 공시지가는 표준지 공시지가로부터 비교해서 산정된다. 때문에, 표준지는 개별지의 지가를 산정하는데 편리할 수 있도록 선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표준지를 선정할 때, 개별지의 지가와 토지특성을 고려하여 표준지의 수와 공간적 분포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가의 공간적 분포를 해석하기 위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개념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하여 유사 지가구획을 정의하였고, 지가구획의 계층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고 군집수의 변화에 따른 군집별 지가분포의 특성을 해석함으로써 적정표준지 수를 추정하였다.

  • PDF

기획 - 특수인쇄용지 - 최첨단 기능성 종이로 진화한다 -

  • Park, Seong-Gwon
    • 프린팅코리아
    • /
    • v.8 no.5
    • /
    • pp.70-75
    • /
    • 2009
  • 특별한 용도에 맞게 특수 성질을 가진 용지를 특수 기능지라고 한다. 특수 기능지는 새로운 섬유나 무기분말 및 약품 등을 이용하여 초지기술이나 코팅 기술 등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부여한 종이로 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식품포장용의 내수 내유지, 감압지, 항균지, 방청지, 감응지, 감열지, 항수지, 내세지들이 대표적인 특수 기능지라고 할 수 있다. 기능지는 사회의 다양화에 따라 종래으 단순한 패키지 가공 필름이나 알루미늄의 합지품에서 리싸이클이 가능하고 분리 폐기가 가능한 '환경 적응성' 기능지들이 요구 되고 있다. 인스턴트식품으 수요증가와 맞물린 새로운 옷, 새로운 특수 기능지들을 알아본다.

  • PDF

주가와 지가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 최승은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6.10a
    • /
    • pp.313-316
    • /
    • 1996
  • 주식과 부동산은 각각 금융자산(financial asset)과 실물자산(real asset)의 대표 격으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투자대상이다. 투자자들은 경제 여건의 변화에 따라 나타나는 두 자산의 수익률 차이를 최대한 이용하려고 노력해 왔다. 흔히들 주가와 지가는 서로 대칭적인 것으로 주가가 오르면 지가가 떨어지고, 지가가 오르면 부동산 시장으로 자금이 몰려서 주가가 떨어지는 것으로 얘기하는 경우가 많으나, 실제로는 동행관계로서 완급차이가 있을 뿐이다. 경기변동 곡선을 따라 경기변동에 민감한 주가가 우선적으로 반응하고 뒤이어 지가가 1년여의 시차를 두고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논문은 지가결정 모형을 세우기 위한 것으로 주가 이외에도 다른 여러 독립 변수들이 지가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였다. 지가가 종속변수로서 여러 가지 실물 경기의 상황에 영향을 받는 것처럼 주가도 역시 다른 경기지표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과거 30여년간의 우리나라 주가와 지가의 움직임을 통하여 주가와 지가 사이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즉 주가와 지가 사이에 일방적인 인과관계가 있어서 주가가 지가에 선행하는지, 혹은 주가와 지가 사이에 상호적인 인과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Method of Representing Anchorage Using Occupancy Rate - Simulation Based on Ulsan E Anchorage - (정박지 점유율을 이용한 집단 정박지 면적 제시 방법 연구 - 울산항 E 정박지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

  • Park, Jun-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2
    • /
    • pp.167-173
    • /
    • 2016
  • This study aims to present methodology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anchorage area through the simulation reproduces the maritime transport environment, and analysis of the adequacy of anchorage applied at Ulsan E anchorage, suggests the formula of anchorage occupancy rater per hour and necessary anchorage area for this purpose. And configured simulation algorithm and modeling using MATLAB program, and applied Ulsan E anchorage, compared anchorage area with anchorage occupancy rate per hour. As a result, E1 necessary anchorage is 1.41 times, E2 necessary anchorage is 0.90 times and E3 necessary anchorage is 0.96 times compared to total anchorage area. If the result of adequacy analysis of anchor area reflect anchorage design criteria, it is determined to be helpful for the safety of the vessel using the anchorage.

A Study on Advanced Model for GIS Implementation in Local Governments (지차체 GIS 고도화 모델 연구)

  • Kim, Eun-Hyung;Park, Jun-Gu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87-94
    • /
    • 2007
  • 지자체 GIS 정보화가 확산되어감에 따라 구축된 공간정보의 활용확산, 타 정보와의 연계 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지자체 GIS 통합 연계는 지자체 정보화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지자체에서는 도로, 상하수도 등 공간정보 수요가 높은 업무 분야를 중심으로 지자체 GIS 통합연계를 추진하고 있으며, 지자체 지리정보 담당부서의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어 지자체 전 부서 대상의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선 지자체 내 전부서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을 위한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이 필요하다. 지자체 GIS 통합연계 고도화 모델은 지자체 지리 정보 담당부서 중심의 통합연계에서 확대하여 지자체 전 부서 및 국가적 차원에서의 협력체계를 고려한 모델로서 지자체의 수평적 수직적 통합연계 모델이다.

  • PDF

Box-Cox 변형(變形)을 이용한 지가함수(地價函數)의 추정(推定)

  • Son, Jae-Yeong;An, Hong-Gi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v.16 no.2
    • /
    • pp.21-49
    • /
    • 1994
  • 공시지가제도하에서 개별필지 가격산정은 지가함수(地價函數) 추정, 비준표(比準表) 작성, 인근 유사 표준지(標準地)와의 특성차이를 감안한 가격결정 과정을 거치는데, 각 단계의 기술적 문제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이 글은 지가함수(地價函數) 추정에서 log-log함수형태가 통계학적으로 또는 실제 활용상 적합한가의 문제와 지가함수(地價函數) 추정결과를 그대로 지가예측식(地價豫測式)으로 이용할 수 있는가의 두가지 문제를 다루고 있다. 서울시 서초구와 강남구자료에 대해 Box-Cox 변형(變型)을 이용한 지가함수(地價函數)와 log-log형태의 지가함수(地價函數)를 추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통계학적으로는 전자가 우월하지만, 지가추정(地價推定)에서 양자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추정비용(推定費用), 활용(活用)의 용이성 등의 관점에서는 후자가 선호되었다. 또 지가함수(地價函數) 추정결과를 현재와 같이 표준지와 여타 토지간의 가격차이(價格差異)를 계산하는 용도로 한정하는 것이 표준지가격(標準地價格) 자체가 가진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Application of Batteries for DC Power System in Korea Nuclear Power Plant (원자력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 적용사례)

  • Kim, Dae-Sik;Cha, Han-Ju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173-1174
    • /
    • 2011
  • 원자력발전소에 사용되는 직류전원계통은 발전소 운전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축전지는 교류전원 상실시 전원이 회복될 때까지 발전소의 계통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계측제어설비의 전원공급과 발전소의 안전정지 등에 대비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설비이다. 발전소 직류전원계통용 축전지에 대한 설계 및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국내 외 기술기준과 축전지 용량 및 동작책무 그리고 안전등급 축전지가 공급하는 부하, 축전지의 점검 및 성능시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현재 전기자동차에 사용될 축전지와 신재생에너지의 출력변동 보상용 축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향후 축전지의 연구개발로 축전지 형식이 납축전지에서 기타 다른 우수한 방식의 축전지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사용될 축전지의 특성, 배터리관리시스템, 축전지에 대한 원자력발전소용 기술기준의 개발에 관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nalog Gauge Reading with Image Patch-bas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이미지 패치 기반 합성곱 신경망을 통한 아날로그 게이지 인식)

  • Minsu Kyeon;Seunghan Paek;Jong-II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95-98
    • /
    • 2022
  • 아날로그 게이지는 여전히 많은 산업 시설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게이지 값을 사람이 수동으로 읽기 때문에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모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합성곱 신경망을 사용하여 아날로그 게이지 값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은 게이지가 촬영된 영상을 그대로 입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은 사람이 게이지를 읽는 과정을 고려하였을 때 불필요한 부분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게이지 전체 이미지를 학습에 사용하지 않고, 게이지의 특정 이미지 패치 기반으로 아날로그 게이지 값을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게이지의 중심, 눈금의 최소, 최대, 지침의 좌표를 기반으로 이미지 패치를 생성하고 채널 축으로 병합하여 학습을 진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게이지의 각도를 계산한다. 이는 게이지의 평균 각도 오차를 통해 제안한 방법이 게이지 값을 인식하는데 우수한 성능이 보였으며, 게이지 이미지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게이지 값을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Development of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for the Reduction of Runoff (우수유출저감용 저류지의 간편설계기법 개발)

  • Lee, Jae-Joon;Kwak, Chang-Ja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1 no.7
    • /
    • pp.693-700
    • /
    • 2008
  • Detention pond has an important role in peak flow reduction to mitigate flood damage. Design of detention pond is accomplished through the preliminary stage, and design stage in general. New development projects produce increased peak flow and flow amounts.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detention pond easily and simply. A simplified design method of the detention pond is suggested in this study. Used design variables are peak flow ratio(${\alpha}$) and storage ratio($S_r$). ${\alpha}$ is the peak flow ratio of before and after development of the basin. $S_r$ is a ratio of storage volume to total runoff volum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also proved. The simple procedure of detention pond design is proposed in this study.

Establishment of the Detention Model for the Prevention of Unban Innundation (도시침수방지를 위한 저류지 모형 확립)

  • Park, Jae-Hong;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56-1660
    • /
    • 2006
  • 도시 주변의 급격한 택지개발, 도시 인구의 집중, 대규모 계획단지의 개발은 유역의 유출특성에 큰 영향을 주게 되고,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 표면이 증가되고 침투율이 감소됨으로써 유출계수의 증가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역의 자연 저류지 기능이 저하되고, 우수가 하천으로 유입되는 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첨두홍수량 뿐만 아니라 유출총량의 증대를 초래하여 도시 주변의 중소하천 유역에서는 막대한 재산 및 인명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화로 인해 증가된 유출량을 저감시키는 구조적 방안으로 대부분 강우 유출수를 일시 저류하여 유출량을 조절하는 우수유출 억제시설이 권장되고 있으나, 이들 시설에 대한 수리학적 침수방어능력이 명확히 규명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지역 침수방지 대책 수립에 필요한 On/Off-Line 저류지의 평가 및 설계에 기존 부정류 모형들의 모의가능성을 평가 비교하고, 가상하도와 실제하도에 적용하여 모형을 검보정 함으로서 저류지 해석의 실용화 모형을 확립함에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도시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홍수방어시스템의 일환으로 구축함으로써, 도시지역에서 저류지 홍수저감효과를 평가하는 등 침수재해와 연계된 구조적 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된 저류지 모형을 이용하여 On-Line 및 Off-Line 저류지에 적용한 결과 두 종류의 저류지 모두 홍수방어를 위해 이용될 수 있었다. On/Off-Line 저류지 모두 첨두유량이 발생할 경우 어느정도의 첨두값의 감쇠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저류지 상류단의 수위감소는 저류지로 유출로 인해 저류지 상류 하도부에서 유속의 증가를 발생시켰고 이로 인해 수위는 저류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다. On-Line 저류지의 경우 Off-Line 의 경우에 비해 수위, 유량이 저류지의 상류단에서 크게 나타났다. On-Line 저류지의 경우 Off-Line 의 경우에 비해 같은 값의 첨두홍수량을 저류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넓은 저류면적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대등한 수위감소값의 홍수저감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On-Line 저류지 면적은 Off-Line 저류지에 비 두배 이상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졌다.

  • PDF